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다차원스마트아이티융합시스템연구단 Center for Intergrated Smart Sensor |
연구책임자 |
경종민
|
참여연구자 |
박원철
,
박인철
,
천홍구
,
전상범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02 |
과제시작연도 |
2020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등록번호 |
TRKO202100017218 |
과제고유번호 |
1711104531 |
사업명 |
글로벌프론티어지원(R&D) |
DB 구축일자 |
2022-02-12
|
키워드 |
나노 소자.IT 플랫폼.IT 융합 시스템.센서 인터페이스.스마트 센서.Nano devices.IT platform.IT convergence system.Sensor Interface.Smart sensor.
|
초록
▼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의 목적
IT 발전의 정체요인을 극복하는 혁신적인 소자, 회로와 요소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집적하여 새로운 시장을 열어 줄 수 있는 시스템화 기술을 개발함. 다양한 기능을 갖는 소자와 센서를 탑재할 공통 플랫폼을 개발하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술을 융합한 최적화 설계 플랫폼을 기반으로 정보 처리 속도, 에너지, 그리고 부피 등을 종합한 양도지수가 획기적으로 향상된 ‘다차원 스마트 IT 융합 시스템’을 창출함
■ 연구의 내용
○ 제1핵심과제 (나노 혁신 소자)
- 2, 3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의 목적
IT 발전의 정체요인을 극복하는 혁신적인 소자, 회로와 요소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집적하여 새로운 시장을 열어 줄 수 있는 시스템화 기술을 개발함. 다양한 기능을 갖는 소자와 센서를 탑재할 공통 플랫폼을 개발하고,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기술을 융합한 최적화 설계 플랫폼을 기반으로 정보 처리 속도, 에너지, 그리고 부피 등을 종합한 양도지수가 획기적으로 향상된 ‘다차원 스마트 IT 융합 시스템’을 창출함
■ 연구의 내용
○ 제1핵심과제 (나노 혁신 소자)
- 2, 3핵심과제를 지원하는 혁신적인 에너지 혁신 소자 기술의 개발
- 전력소모의 획기적인 감소 및 정보 저장 및 처리용량의 획기적인 증대를 위한 기존의 반도체 소자를 뛰어넘는 새로운 형태의 전자 소자 제안 및 제작기술 개발
- 신호 전송 능력의 획기적인 발전을 위한 3차원 집적 구조 및 고속 데이터 전송 나노소자 기술 개발
○ 제2핵심과제 (스마트 IT 융합 플랫폼)
- 1핵심과제에서 개발된 에너지 혁신 소자 기술을 이용한 설계를 통해 플랫폼의 성능 최대화
- 개발된 플랫폼에 제3핵심과제에서 연구된 저전력 센서들을 저전력으로 구현
- 다양한 기능의 에너지 혁신소자, 스마트 센서들을 탑재할 수 있는 공통 플랫폼 기술 개발
○ 제3핵심과제 (다차원 스마트 센서 시스템)
- 제1핵심과제에서 창출된 소자 기술을 기반으로 제2핵심과제에서 구축된 플랫폼을 활용하여 획기적으로 발전된 세상을 위해 필요한 스마트 센서 시스템 기술 개발
- 생체진단 바이오센서, 신경센서, 환경센서, 스마트 카메라센서 등 스마트 센서 개발
□ 연구개발성과
○ 828편의 SCI 논문과 880건의 국내외 특허 출원, 401건의 국내외 특허 등록, 기술실시계약 49건 및 기술 창업 35건 등 우수한 성과를 달성하였으며, 특히 해당 분야 논문 영향력 지수 76.64점(100점 만점)으로 질적 수준 또한 우수함
○ 대표적인 성과로는 구조물 안전 진단을 위한 핵심 원천기술 확보, 실시간 휴대용 뇌 영상장치 개발, 3차원 영상 획득 가능한 내시현미경 시스템, 유전체 도파관을 이용한 저전력 고속 칩투칩 인터페이스, 세계 최초 반영구적 자가 발전 심장박동기 개발, 내쉬는 숨으로 각종 질병을 조기 진단하는 고성능 초소형 센서 개발 등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적 성과를 달성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다차원 스마트 IT 융합 소자, 회로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총괄적 플랫폼 창출
○ 새로운 IT, NT, BT, ET 융합 산업의 핵심 원천기술 확보
○ 선도형 연구개발을 통해 스마트 IT 융합 시스템, 바이오메디컬, 환경산업 및 관련 서비스 산업 등 세계 선도형 산업 및 일자리 창출
○ 국제 유명학회 주도적 개최와 국외 유수기관과의 협력, 세계 표준화 선도를 통하여 차세대 IT 융합 시스템 분야의 국제적 선도위치 확보
○ 차세대 IT 융합 소자, 스마트 융합 플랫폼, 고성능 생체/환경 진단 시스템 분야에서 FoM이 향상된 핵심 소자, 회로, 센서 또는 시스템 다종 개발
○ 상기 영역에서 창의적이며 실용적 능력을 갖춘 석/박사 신진 인력 양성
(출처 : 요약문 4p)
Abstract
▼
□ Purpose & Contents
○ We develop innovative devices, circuits, and element technologies to overcome the stagnant factors blocking the growth of IT and develop systemization technologies to open new markets in IT convergence industry. Our main goals are to develop common platforms on which variou
□ Purpose & Contents
○ We develop innovative devices, circuits, and element technologies to overcome the stagnant factors blocking the growth of IT and develop systemization technologies to open new markets in IT convergence industry. Our main goals are to develop common platforms on which various devices and sensors can be loaded and to optimize the platform performances through convergence of hardwares and softwares. Multi-dimensional smart IT convergence systems are eventually created through epochal improvements in overall figure-of-merits in the performances of energy consumption, processing speed, sensitivity, size, and so on.
○ Core project 1 (Nano innovative devices):
- To develop innovative energy device technology in order to support Core project 1 and 2
- To propose new types of electronic devices and develop production technique over semiconductor device in order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increase data storage capacity and process capability
- To develop 3D integration structure and nano device for high-speed data transmission in order to obtain innovative development of signal transmission capacity
○ Core project 2 (Smart IT convergence platform):
- To maximize performance of platforms by using energy innovative device technology developed from Core project 1
- To implement low-power consumption on platforms with low-power sensors developed from Core project 3
- To develop common platform technology for energy innovative device and smart sensor with various functions
○ Core project 3 (Multi-dimensional smart sensor system technology):
- To develop smart sensor system technology for 1,000 times better world, using platforms from Core project 2 based on innovative device technology created from Core project 1
- To develop smart sensor such as bio-health analysis sensor, smart brain sensor, environment sensor, smart camera sensor
□ Results
○ There are a number of great research performances, CISS achieved such as 828 SCI journals, 880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s and 401 registrations, 49 contracts for the transfer of technology and 35 business foundations. Not only is it exceptional in the level of quantity but quality as it ranks 76.64 (out of 100) in impact factor of the relative academic journals within its field.
□ Expected Contribution
○ Initiation of IT convergence system platforms integrating multi-dimensional smart devices, circuits, and systems
○ Securing core technologies for new IT, NT, BT, and ET convergent industries
○ Leading new world industries and providing new job positions through frontier research in smart IT convergence systems, bio-medical, environmental, and related service industries
○ Hosting and leading internationally reputable conferences;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ly prominent institutions; Leading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s; Leading researches in IT convergence systems areas
○ Development of smart components (devices, circuits, sensors or platforms) more than 10 items with improved FoMs in new IT convergence devices, smart IT convergence platform, and high-performance bio/environment sensor systems
○ Cultivation of MS/PhD man powers possessing creative and practical capabilities in the IT convergence areas above
(출처 : SUMMARY 5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4
- SUMMARY ... 5
- 목차 ... 6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8
- 1. 연구개발 목적 ... 8
- 2. 연구개발의 필요성 ... 8
- 3. 연구개발 범위 ... 10
- 제2장 연구수행내용 및 성과 ... 12
- 1. 연구성과 목표 및 실적 ... 12
- 2. 세부과제별 연구실적 ... 15
- 제3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 분야 기여도 ... 91
- 1. 최종 목표 ... 91
- 2. 목표 달성여부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 94
- 3. 관련분야 기여도 ... 99
- 4. 목표 미달성 시 원인(사유) 및 차후 대책(후속연구의 필요성 등) ... 107
- 제4장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등 ... 108
- 4-1. 연구개발 결과의 활용방안 ... 108
- 4-2. 연구개발 결과의 기대효과 ... 110
- 제5장 연구개발성과의 보안등급 ... 111
- 제6장 국가과학기술종합정보시스템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 111
- 제7장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 조치 이행 실적 ... 111
- 제8장 연구개발과제의 대표 연구 실적 ... 112
- 제9장 기타 사항 ... 127
- 제10장 참고문헌 ... 127
- [별첨 1] 글로벌프런티어사업 4G 관리지표 및 실적 ... 128
- 끝페이지 ... 13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