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도시스템 Smart 기술연구
The Development of Smart Technology for Railway System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이재호
참여연구자 최강윤 , 박현준 , 김용규 , 권삼영 , 김종기 , 류상환 , 이준석 , 이희업 , 장석각 , 김형진 , 황종규 , 윤용기 , 조용현 , 정의진 , 백종현 , 구병춘 , 양승용 , 김백현 , 박영 , 신덕호 , 장동욱 , 최일윤 , 김성일 , 정원석 , 김재훈 , 최일윤 , 김성일 , 조봉관 , 이주범 , 이준호 , 김형철 , 방춘석 , 이영훈 , 변윤섭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05-12
과제시작연도 2005
주관부처 과학기술부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등록번호 TRKO202200001232
과제고유번호 1350008322
사업명 한국철도기술연구원
DB 구축일자 2022-06-04
키워드 스마트 철도기술.열차제어.진로제어.무선통신.자동진단.스마트 레일.궤도/토목 감시 기법.

초록

철도 운영효율의 향상을 위해서 자동화, 유연화, 진단기술과 같은 철도기술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서 핵심전장품에 대한 자동진단기술, 신호통신 스마트기술, 궤도/토목구조물의 스마트 기술 도입에 의한 감시기법을 연구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당해연도에서는 차세대 flexible 열차제어를 위한 간격 제어 기술 및 알고리즘 개발, 철도분야에의 위치기반서비스 적용을 위한 무선 통신네트워크 해석․평가 모델 개발, 열차위치검지 및 안전성확보관련 조사․분석, 열차진로제어 알고리즘 연구, Smart 철도구조물 모니터링 및

Abstract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ervice for the railway system, the necessity is increasing about the railway technology such as automative, flexibility and diagnosis. So, this project aims at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diagnosis technology for the core electric equipment, the smart technology for si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문 ... 3
  • 요 약 문 ... 5
  • 목차 ... 61
  • Ⅰ 총 론 ... 62
  • 1. 연구개발의 필요성 ... 63
  • 2.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 65
  • 3. 기대성과 및 활용방안 ... 71
  • Ⅱ 차세대 flexible 열차제어기술 연구 ... 73
  • 목차 ... 74
  • 표목차 ... 76
  • 그림목차 ... 77
  • 제 1 장 과제 개요 ... 80
  • 제 1 절 연구 목적 ... 80
  • 제 2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배경 ... 80
  • 제 3 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82
  • 제 2 장 차세대 flexible 열차제어 알고리즘 연구 ... 84
  • 제 1 절 열차간격제어의 중요성 ... 84
  • 제 2 절 불연속제어방식 열차제어 알고리즘 ... 84
  • 제 3 절 연속제어방식 열차제어 알고리즘 ... 95
  • 제 3 장 차세대 flexible 열차제어 알고리즘 적용을 위한 축소모형 개발 ... 104
  • 제 1 절 서 론 ... 104
  • 제 2 절 차상제어장치 개발 ... 107
  • 제 3 절 지상제어장치 개발 ... 134
  • 제 4 장 자기부상열차 속도검지 ... 180
  • 제 1 절 연구 목적 ... 180
  • 제 2 절 자가부상열차의 속도검지 ... 180
  • 제 3 절 개선된 자가부상열차의 속도검지 ... 187
  • 제 5 장 결 론 ... 192
  • 제 6 장 향후연구 ... 194
  • 참 고 문 헌 ... 195
  • Ⅲ Smart 진로제어 시스템 기술연구 ... 197
  • 목차 ... 198
  • 표목차 ... 200
  • 그림목차 ... 201
  • 제 1 장 서론 ... 204
  • 제 2 장 Smart열차진로제어시스템사양설계 ... 208
  • 제 1 절 Smart열차진로제어시스템 요구사항 ... 208
  • 제 2 절 Smart열차진로제어시스템 설계 ... 218
  • 제 3 장 Smart열차진로제어시스템설계 및 제작 ... 234
  • 제 1 절 Smart열차진로제어시스템 설계 ... 234
  • 제 2 절 Smart열차진로제어시스템 제작 ... 307
  • 제 4 장 Smart열차진로제어시스템 시험계획 ... 340
  • 1. 기존 연동시스템의 연동검사 ... 340
  • 2. Smart열차진로제어시스템의 연동검사 ... 343
  • 제 5 장 결 론 ... 352
  • 참 고 문 헌 ... 354
  • Ⅳ 철도용 무선응용 위치 기반서비스 기술연구 ... 357
  • 목차 ... 358
  • 제 1 장 서 론 ... 360
  • 제 2 장 IETF NEMO 표준화 동향 분석 ... 363
  • 제 1 절 NEMO 이동성 관련 표준화 동향 ... 363
  • 제 2 절 멀티호밍 표준화 동향 ... 366
  • 제 3 장 이동성 지원을 위한 NEMO 핸드오버 기술 ... 372
  • 제 1 절 NEMO basic의 개요 ... 372
  • 제 2 절 NEMO 핸드오버 지연 요소 및 핸드오버 수행 절차 ... 377
  • 제 3 절 이중 이동 라우터를 이용한 끊김 없는 핸드오버 방안 ... 379
  • 제 4 장 NEMO 지원 시뮬레이터의 설계 및 구현 ... 390
  • 제 1 절 NS2 시뮬레이터의 소개 ... 390
  • 제 2 절 NEMO 지원 시뮬레이터의 설계 및 구현 ... 399
  • 제 5 장 철도 차량 네트워크의 이동성 지원 방안 성능 분석 ... 414
  • 제 1 절 NEMO Basic 시뮬레이션 환경 ... 414
  • 제 2 절 NEMO Basic과 이중 이동 라우터 방안 성능 평가 ... 416
  • 제 6 장 결론 ... 426
  • 참 고 문 헌 ... 428
  • 부 록 A. NEMO 지원 시뮬레이터 환경 구축 ... 431
  • 부 록 B. NEMO 지원 시뮬레이터 실행 방법 ... 440
  • Ⅴ 지능재료 구조물을 이용한 차량 손상검지 및 제어에 관한 연구 ... 455
  • 목차 ... 456
  • 표목차 ... 458
  • 제 1 장 과제 개요 ... 459
  • 제 1 절 연구 목적 ... 459
  • 제 2 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및 배경 ... 459
  • 제 3 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461
  • 제 2 장 지능형 복합재료 인장특성 연구 ... 463
  • 제 1 절 복합재료 시편제작 ... 463
  • 제 2 절 지적효과 가시화 시험 ... 469
  • 제 3 절 전기저항 측정 시험 ... 485
  • 제 3 장 지능형 복합재료 충격특성 연구 ... 487
  • 제 1 절 서론 ... 487
  • 제 2 절 실험방법 ... 490
  • 제 3 절 결과 및 고찰 ... 496
  • 제 4 절 결론 ... 521
  • 제 5 절 향후연구 ... 523
  • 제 4 장 지능형 복합재료의 수치해석 ... 525
  • 제 1 절 탄소섬유 복합재료의 자기 진단 ... 525
  • 제 2 절 형상기억합금의 기계적 특성 ... 530
  • 제 3 절 TiNi 와이어와 CFRP 복합재료의 분리 시뮬레이션 ... 545
  • 참 고 문 헌 ... 551
  • Ⅵ 스마트 철도구조물 기술 연구 ... 553
  • 목차 ... 554
  • 표목차 ... 556
  • 그림목차 ... 557
  • 제 1 장 서 론 ... 560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560
  • 제 2 절 연구목적 및 내용 ... 563
  • 제 2 장 광섬유센서 기술연구 ... 566
  • 제 1 절 광섬유 센서의 필요성 ... 566
  • 제 2 절 철도교 처짐 유추방법 ... 572
  • 제 3 절 Long-gauge 광섬유 센서의 적용 ... 575
  • 제 4 절 FBG 광섬유 센서의 적용 ... 595
  • 제 5 절 광섬유 센서의 적용성 요약 ... 618
  • 제 3 장 스마트 보수보강 기술 분석 ... 620
  • 제 1 절 FRP 복합소재 ... 620
  • 제 2 절 FRP 외부보강기법 ... 629
  • 제 3 절 FRP 보강재 ... 650
  • 제 4 장 결론 및 향후 연구과제 ... 660
  • 제 1 절 연구요약 ... 660
  • 참 고 문 헌 ... 666
  • Ⅶ 철도분야주요장치 고장진단 감시기술 연구 ... 673
  • 목차 ... 674
  • 표목차 ... 676
  • 그림목차 ... 677
  • 제 1 장 서 론 ... 680
  • 제 2 장 절연열화 상태 분석 ... 683
  • 제 1 절 전동기 열화 기구 ... 683
  • 제 2 절 열화상태 판정을 위한 부분방전 패턴 분석 ... 691
  • 제 3 장 견인전동기 절연열화 상태 및 분석 ... 700
  • 제 1 절 견인전동기 모델권선 제작 및 분석 ... 700
  • 제 2 절 견인전동기 모델권선의 유전정접 및 교류전류 특성 ... 705
  • 제 3 절 견인전동기 부분방전 특성 측정 ... 714
  • 제 4 절 센서를 활용한 부분방전 패턴 분석 ... 725
  • 제 5 절 모델권선의 서지시험 ... 744
  • 제 6 절 모델권선의 절연열화 ... 755
  • 제 4 장 운전중 자동진단 장치 하드웨어 적립 및 시스템 고안 ... 760
  • 제 1 절 운전중 진단시스템 알고리즘 ... 760
  • 제 2 절 진단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및 시험결과 분석 ... 766
  • 제 5 장 결 론 ... 787
  • 참 고 문 헌 ... 789
  • 서지정보 ... 791
  • 끝페이지 ... 792

표/그림 (300)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