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연구책임자 |
이준섭
|
참여연구자 |
여화진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01 |
과제시작연도 |
2020 |
주관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Korea Evaluation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
등록번호 |
TRKO202200005904 |
과제고유번호 |
1415167420 |
사업명 |
국가표준기술개발및보급(R&D) |
DB 구축일자 |
2022-07-30
|
키워드 |
스마트시티.공개 데이터.도시 플랫폼.도시 통합관제 센터.성능평가지표 활용 가이드.표준적용 가이드.
|
초록
▼
1. 최종년도 목표
2. 당해 사업 목적 및 중요성
○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에 따른 자원 및 인프라 부족, 교통 혼잡, 에너지 부족 등 각종 도시문제가 점차 심화될 것으로 전망
- 한국, 일본, 미국, 영국의 도시화율은 각각 82.5%, 93.5%, 81.6%, 82.6%임(UN, ‘15년)
-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시 인프라 확충 대신 기존 인프라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저비용으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접근방식이 주목
○ 도시문제의 효율적 해결과 함께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新성장 동력
1. 최종년도 목표
2. 당해 사업 목적 및 중요성
○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에 따른 자원 및 인프라 부족, 교통 혼잡, 에너지 부족 등 각종 도시문제가 점차 심화될 것으로 전망
- 한국, 일본, 미국, 영국의 도시화율은 각각 82.5%, 93.5%, 81.6%, 82.6%임(UN, ‘15년)
-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시 인프라 확충 대신 기존 인프라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저비용으로 도시문제를 해결하는 접근방식이 주목
○ 도시문제의 효율적 해결과 함께 4차 산업혁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新성장 동력을 창출하고자 스마트시티가 빠르게 확산 중(출처: 도시혁신 및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한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18년 1월)
- 글로벌 저성장 추세, 첨단 ICT의 급격한 발전, 증가하는 도시개발 수요를 바탕으로 전 세계 각국에서 경쟁적으로 추진
- 스마트시티 시장에 대한 전망은 조사기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부분의 조사기관에서 공통적으로 폭발적인 성장 잠재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 Markets& market와 Frost&Sullivan은 ’20년 스마트시티 시장규모를 각각 1.1조 달러와 1.5조 달러로 예측
- Pike Research에 따르면 현재 150여 개의 대형 스마트시티 프로젝트가 진행 중이며, 연평균 18%대의 성장으로 ‘20년에는 약 1.26조 달러 규모의 시장 예상
-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은 ‘16년 1.7조원에서 ’20년 2.9조원으로 성정할 것으로 전망(출처: 현대경제연구원)
○ 선진국의 표준화 활동 현황
- 일본은 IEC SyC Smart Cities의 의장으로 활동해 왔으며, IEC SyC Smart Cities에서 재난 발생 시 도시 서비스의 지속적인 제공을 위한 전기 공급의 역할을 정의하는 IEC 63152의 개발을 주도하고 있음
- 영국은 일본 의장의 사임으로 IEC SyC Smart Cities의 ‘18년부터 의장 직무 대행을 수행하고 있으며, 차기 의장 후보로 거론되고 있음
- 영국은 자국의 표준을 기반으로 IEC SyC Smart Cities, JTC 1/WG 11의 표준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 스페인은 ITU-T SG20에서 스마트시티 플랫폼 및 스마트시티 응용 분야에 대한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음
- 캐나다는 JTC 1/WG 11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
- 중국은 JTC 1/WG 11의 의장, IEC SyC Smart Cities의 WG 의장 및 ITU-T SG20의 부의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응용 분야에 대한 표준화에 집중하고 있음
○ 정부에서 추진 중인 혁신성장 선도 사업, 4차 산업혁명 관련 新기술의 성과 가시화를 위하여 스마트시티 조성 및 확산이 필수
○ ISO SAG_SCities, SEG1(Systems Evaluation Group 1, IEC SyC Smart Cities의 전신), JTC 1/SG11(Study Group 1, JTC 1/WG 11의 전신)에 ETRI 이준섭 책임연구원이 한국 전문가로 참여하여 표준화 기반 조성 활동을 수행한 바 있음
○ ISO TC 268에 대해 O-member로서 국제표준화 대응 활동이 없었으며, ’17년 11월에 국가기술표준원 전기전자표준과로 담당과 변경이 되면서 P-member로 전환하였고 표준안 검토 및 의견 반영 등 국제표준화 대응 활동이 시작됨
○ ITU-T SG20에는 ETRI 표준연구본부에서 의장단으로 활동 중이나, 기술 표준의 개발을 위한 국내 전문가의 참여가 미미하였음
- ITU-T SG20 부의장 및 SG20/WP1 의장: ETRI 김형준 본부장
- ITU-T SG20 Question 1 의장: ETRI 이준섭 책임연구원
○ 우리나라는 그동안 IEC SyC Smart Cities, ISO TC268, ISO/IEC JTC 1/WG 11 및 ITU-T SG20의 표준화 활동에 상황관리 측면의 활동만을 진행해 왔으며, 본격적인 기술 표준화를 위한 활동이 요구됨
○ 아직 초기 단계에 있는 국제표준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旣개발된 국내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기술을 IEC SyC Smart Cities, ISO TC 268, JTC 1/WG 11 및 ITU-T 등에서 진행 중인 국제표준에 반영
○ 향후 추진이 예상되는 다양한 스마트시티 서비스 관련 표준화 활동을 위한 우호 세력 형성 가능
3. 수행내용 및 범위
○ 스마트시티 플랫폼 참조 모델 국제표준 개발
- 국내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관련 기술을 ISO TC 268, IEC SyC Smart cities, JTC 1/WG 11, ITU-T SG 20 등의 旣 진행 국제표준에 반영
○ 스마트시티 공개데이터 관리체계 국제표준 개발 (CD 승인(ISO stage code 30.99))
○ 스마트시티 성능평가지표 분석 및 활용/확산 전략 수립
- UN SDG 및 스마트시티 KPI(ITU-T L.1600 시리즈 및 ISO 37120) 분석 보고서 개발
- 스마트시티 KPI 활용 전략 보고서 개발
- 스마트시티 KPI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 스마트시티 표준맵 개발 및 갭 분석
- 스마트시티 표준맵 개발
- 스마트시티 표준 갭 분석 보고서 개발
○ 스마트시티 표준 동향, 표준 라이브러리 및 백서 발간
○ 스마트시티 기술관련 이해당사자(부처, 연구기관, 기업, 협단체) 협의체 운영
- 「스마트시티 표준정책 패널」(가칭) 운영 지원
○ 스마트시티 표준맵 기반 국내 스마트시티 표준 적용 실태 조사
- 플랫폼, 헬스, 모빌리티 및 에너지 분야에 대한 표준적용 실태조사 보고서 개발
- 스마트시티 표준적용 가이드라인 개발
○ 스마트시티 표준기반 인증체계 활성화 전략 수립
- 스마트시티 인증체계 현황 분석 보고서 개발
- 스마트시티 인증체계 활성화 전략 보고서 개발
○ 국제표준을 국내 기술 솔루션에 반영을 위한 기업대상 인력 양성 세미나 개최 (6회/년2회)
4. 과제 수행 성과
5.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 ISO TC 268 회의에 스마트시티 공개데이터 관리체계 국제표준 개발 제안을 통해 신규 표준 개발을 진행하였으며, 그동안 국제표준화 무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던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스마트시티 관련 후속 표준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됨
○ ISO TC 268, IEC SyC Smart cities, ITU-T SG20, World Smart City Forum의 참가 및 투표 문서 검토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제출함으로써 스마트시티 관련 국제표준화 기구에서 우리나라의 입지를 강화함
○ ITU-T SG20에서 旣진행 중인 스마트시티 플랫폼 관련 국제표준에 국내 스마트시티 통합 플랫폼 기술을 반영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
○ 스마트시티 아시아 표준 포럼과 국제 스마트시티 표준 포럼의 개최를 통해 우리나라의 스마트시티 국제표준화 주도를 위한 기반을 마련
○ 「스마트시티 표준정책 패널」 운영 지원을 통해 국내 스마트시티 관련 정부 부처 및 이해당사자들의 소통을 위한 기반을 마련
○ 스마트시티 플랫폼, 헬스, 모빌리티 및 에너지 분야 표준 적용 실태조사 보고서 개발을 통해 관련 표준의 적용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인 표준 개발 및 표준 정책 수립을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 가능
○ 스마트시티 표준맵 및 갭분석 보고서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표준 개발 및 표준 정책 수립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
○ 스마트시티에서 적용가능한 ICT 관련 성능평가지표에 분석 보고서의 개발을 통해, 국내 도시에서 성능평가지표 적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
(출처 : 요약서(초록) 5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요 약 서 (초 록) ... 5
- 목차 ... 11
- 제1장 사업 개요 ... 13
- 제1절 최종 사업목표 및 내용 ... 13
- 제2절 당해년도 사업목표 및 내용 ... 19
- 제3절 사업 변경 내역 ... 21
- 제2장 사업 추진실적 ... 22
- 제1절 추진실적 현황 ... 22
- 제2절 추진 내용 ... 25
- 제3장 정성적 성과 및 파급효과 ... 40
- 제1절 정성적 성과 ... 40
- 제2절 파급효과 ... 41
- 제4장 성과활용계획 ... 42
- 제1절 성과활용 방향 ... 42
- 제2절 성과활용 차수별 활용계획 ... 42
- [붙임] 자체보안관리진단표 ... 43
- 성과 증빙 자료 ... 45
- (증빙 1) 스마트시티 공개데이터 관리체계 국제표준 PWIP 제안 및 발표 관련 증빙 ... 47
- (증빙 2) 스마트시티 공개데이터 관리체계 CD 승인 관련 증빙 ... 49
- (증빙 3) ISO 37110 Project leader 수임 관련 증빙 ... 63
- (증빙 4) 스마트시티 표준적용 가이드라인 개발 및 보급 관련 증빙 ... 65
- (증빙 5) 스마트시티 인증체계 활성화 전략 보고서 개발 관련 증빙 ... 155
- (증빙 6) 스마트시티 KPI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및 보급 관련 증빙 ... 197
- 끝페이지 ... 30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