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전북대학교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한주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2-03 |
과제시작연도 |
2020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등록번호 |
TRKO202200013612 |
과제고유번호 |
1711147312 |
사업명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DB 구축일자 |
2022-10-20
|
키워드 |
나노복합재.전기방사.촉매.전도성.슈퍼캐퍼시터.composite.Electrosoinning.Catalyst.Conductive.Supercapacitor.
|
초록
▼
□ 연구개요
본 연구는 최근 국제적 환경문제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책의 일환으로 유독성이 많은 금속물질의 유해성의 제거, 환경적 유해, 오염물질의 정화용 위하여 환경촉매 설계기술 및 친환경적 나노물질의 고 효율 전도성 흡착제 제조기술 연구로 이 합성기술을 응용하여 신소재 복합소재, 친환경적 전도성 흡수, 흡착제인 신소재 나노복합재, 멤브레인의 제조 및 설계기술의 응용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소재는 전도성 물질 기반(카본, 그래핀, G-CN, FeWO4, MnO2 등), 다공성의 나노세공체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합성 물질에
□ 연구개요
본 연구는 최근 국제적 환경문제에 대한 획기적인 개선책의 일환으로 유독성이 많은 금속물질의 유해성의 제거, 환경적 유해, 오염물질의 정화용 위하여 환경촉매 설계기술 및 친환경적 나노물질의 고 효율 전도성 흡착제 제조기술 연구로 이 합성기술을 응용하여 신소재 복합소재, 친환경적 전도성 흡수, 흡착제인 신소재 나노복합재, 멤브레인의 제조 및 설계기술의 응용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기본 소재는 전도성 물질 기반(카본, 그래핀, G-CN, FeWO4, MnO2 등), 다공성의 나노세공체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합성 물질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며, 전도성 흡수,흡착제 신소재 제조 연구로 유해물질, 요소를 제거하는 다용도성 및 산업용에 이르기까지 실용성을 고려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 기초연구 및 신소재 제조, 평가용 실험장치 구축 등
연구결과(2020.06,01. ~ 2021.2.28.)
● 기초연구 및 신소재용 나노섬유 제조, 평가용 실험장치 구축
- 나노입자 합성 조성비 설정 및 제조 기술 확보
● 나노 멤브레인 3D 구조체 제조 기술 확보 및 활성화 방안 검토
- 나노멤브레인 이용 및 기능성 나노입자 임베디드 제조 기술 확보
- 전기로를 이용, 나노섬유의 카본화 및 시제품 안정화 기술 숙지
● 신소제 복합소재 전도성 기능 측정 기술 확보 ; CV 실험평가
- Capacitor용 복합소재를 응용한 신소재 제조 연구
❍ 2차년도 ; 전도성 합성물질 제조 및 고효율 전도성 흡착제 응용
연구 결과(2021.03.01. ~ 2022.2.28.)
● 전도성 물질기반(Fe, Carbon, Graphene, MnO2, g-CN 등)으로 촉매성(TiO2, ZnO 등) 합성물질의 제조
● 3D 구조체에 기능성 Cross Linker 제조 - Gel, Polymer 등의 Frame 제조 등
● 다공성의 나노 Network를 포함한 하이브리드 합성물질촉매 재료특성 조사,합성
- 촉매, 친환경 물질 (무기물질) 적용한 복합재, 멤브레인 제조
- 친환경 물질의 도핑요소 합성을 위한 표면코팅층 개질화와 농도 조건 최적화
- 유독성 미세먼지, 광반응에 대한 흡착제의 효율성,공기정화 및 유기물 제거 등
- 유해요소 및 공해요소(CO2 및 VOCs) 제거를 위한 복합소재, 멤브레인 제조
- 무기물질, doped TiO2, Ag, Mo 등 혼합 조성비 설정 최적화 제조기술 확립
- 샘플소재 나노섬유 ICE 드라이, 탈탄화, 전도성 평가시험 등 제조기술 정립
- 촉매 기능입자의 임베디드 제조기술, 시제품분석,평가 및 항균성 시험기술 확립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연구 개발성과의 활용계획 ; 사업화 기술
- 환경분야 ; 유독성, 유해물질 제거기술에 대한 독창성 응용 확대
나노기술 및 에너지 저장 기술의 합성에 의한 융합기술기대
- 자동차 분야 ; 공기정화기 등 미세만지, VOCs 등 유해인자 제거 기술에 응용
- 에너지 분야 ; 연료전지 등 에너지 저장장치 개발에 매우 유효한 기술
- 의학분야 ; 친환경성 기능성 나노섬유를 응용한 항균성 필터 응용
○ 기술적 산업적인 기대효과
- 환경개선용 신기술 개발로 인력양성 상당 및 투자유치 10억이상, 인푸라구축 등
- 전도성 흡수, 흡착제 합성소재가 제조 개발될 경우, 다목적 유해한 환경개선, 유해요소 및 유독물질 크게 개선, 제거기술 관련 파격적 효과.
- 전도성물질 기반이 조성된 흡수, 흡착제 신복합소재 제조기술 확대
- 흡착제의 결과물 기반, 미세먼지. 유독물질 제거용 응용기술이 사업화에 기대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결과 요약문 ... 2
- 목차 ... 3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4
- 1.1 연구개발의 목적 ... 4
- 1.2 연구의 필요성 ... 4
- 1.3 연구의 범위 ... 4
-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5
- 2.1 1차년도 연구내용(2020.06.01. ~ 2021.2.28.) ... 5
- 2.2 2차년도 연구내용(2021.03.01. ~ 2022.02.28.) ... 6
-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수준 ... 8
- 1) 정성적 연구개발성과 ... 8
- 2) 세부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8
- 3) 목표 달성 수준 ... 9
- 4.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9
- 5.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9
- 6. 참고문헌 ... 10
- [붙임1] 세부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11
- [붙임2] 연구책임자 대표적 연구실적 및 증빙(요약문 및 사본) ... 14
- 끝페이지 ... 2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