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기반 자원순환 평가 시스템 구축 및 녹색전환 전략 마련 연구
A Study on a Region-based Resource Circulation Evaluation System and Strategies for Green Transition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환경연구원
연구책임자 이소라
참여연구자 김근한 , 이진혁 , 강수정 , 이진영 , 김현수 , 김근섭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1-12
주관부처 국무조정실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등록번호 TRKO202200017592
DB 구축일자 2022-12-05
키워드 지속가능성.자원순환 플랫폼.디지털 전환.폐기물 적정처리.Sustainability.Resource Circulation Platform.Digital Transformation.Proper Waste Treatment.

초록

Ⅵ. 결론 및 제언
❏ 폐기물 데이터 축적을 위한 기준 마련 및 신뢰성 검증
ㅇ 자원순환 디지털 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위해서는 폐기물의 발생부터 이동, 처리 과정의 전 주기적인 데이터에 대한 실시간 자료 축적이 필수적임
❏ 시스템 활용성 제고를 위한 각종 계획 및 이용 대상 확대
ㅇ 자원순환 디지털 정보 시스템의 구성을 바탕으로 국가 단위의 자원순환 계획 및 지자체 단위의 도시계획, 시설 확충계획 등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효율성을 극대화
❏ 디지털 기반 종량제의 도입을 위한 개선사항
ㅇ 디지털 기반의

Abstract

Ⅵ. Conclusion and Suggestions
1. The need to standardize and verify waste-related data
❏ Collecting real-time data on the full lifecycle of waste, from generation to transportation to treatment is essential for building a digital information system for resource circulation.

2. Plans to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서 언 ... 3
  • 요 약 ... 5
  • 목차 ... 15
  • 표목차 ... 17
  • 그림목차 ... 18
  • 제1장 서 론 ... 23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3
  • 2. 연구의 범위 및 내용 ... 26
  • 3. 연구 수행 체계 ... 28
  • 제2장 지역단위 폐기물 처리역량 제고 및 주민상생을 위한 정책 추진 경과 ... 29
  • 1. 지자체별 폐기물 부적정 처리 추진내용 및 주요 이슈 ... 29
  • 2. 불법폐기물 처리·후속조치 경과 및 환경부 업무 추진 동향 ... 41
  • 3. 주민 편익 시설 관련 수용 사례 ... 46
  • 4. 주민지원, 갈등 대응 사례 및 시사점 ... 52
  • 5. 지역단위 자원순환 지속가능성 요소 및 내용 검토 ... 60
  • 제3장 지역별 처리능력 수준 및 향후 전망 ... 65
  • 1. 지역별 폐기물 발생 현황 및 처리시설 기초자료 분석 개요 ... 65
  • 2. 권역별 폐기물 발생량 현황 및 분석 ... 67
  • 3. 권역별 폐기물 처리시설 용량 및 발생량 전망 ... 70
  • 4. 시도별 폐기물 발생량 현황 및 전망 ... 72
  • 5. 시도별 폐기물 처리시설 용량 비교 ... 78
  • 6. 주요 시사점 ... 81
  • 제4장 자원순환 지속가능성 평가 시스템 구축안 검토 ... 82
  • 1. 자원순환 평가 시스템 구축 개요 ... 82
  • 2. 공간 DBMS를 이용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방안 ... 82
  • 3. 자원순환 디지털 정보 시스템 구성 방향(안) ... 89
  • 4. 자원순환 디지털 정보 시스템 시범구현 현황 ... 99
  • 5. 시범지역 대상 폐기물 배출패턴 분석(제주) ... 105
  • 제5장 자원순환 분야 녹색전환을 위한 전략 마련 ... 115
  • 1. 녹색전환을 위한 전략 마련 구성 개요 ... 115
  • 2. 이해관계자 포럼 및 의견조사 ... 115
  • 3. 지역기반 자원순환 디지털 정보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방안 ... 122
  • 4. 녹색전환을 위한 정책화 매트릭스 구성 ... 139
  • 제6장 결론 및 제언 ... 152
  • 1. 주요 연구결과 요약 ... 152
  • 2. 정책 제언 ... 157
  • 3. 연구의 학술적·정책적 활용 기대효과 ... 165
  • 참고문헌 ... 167
  • 부록 ... 177
  • 부록Ⅰ. 전국 폐기물발생 및 처리현황 통계표 구성 항목 ... 179
  • 부록Ⅱ. 자원순환 지표 산정방법 및 산정식 ... 188
  • 부록Ⅲ. 시도별 폐기물 처리시설 처리현황 ... 202
  • 부록Ⅳ. 제주 지역별 폐기물 배출량(1회 배출당 평균값) ... 204
  • Executive Summary ... 209
  • 끝페이지 ... 239

표/그림 (91)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