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한밭대학교 Hanbat University |
연구책임자 |
김호영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09 |
과제시작연도 |
2020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연구재단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
등록번호 |
TRKO202200018925 |
과제고유번호 |
1711122514 |
사업명 |
개인기초연구(과기정통부)(R&D) |
DB 구축일자 |
2023-03-08
|
키워드 |
건축설계 매체.시각 레퍼런스.다이어그램.삼차원 모델링.삼차원 프린팅.Archi tectural Media.Visual Reference.Diagram.3D Modeling.3D Printing.
|
초록
▼
□ 연구개요
본 연구는 건축설계 매체의 전환기에서의 매체 특성과 역할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건축설계 프로세스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세 단계, 즉 기초, 종합, 응용 단계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한다. 각 단계별 과정을 통해서, 기초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진행하고, 소규모 회의나 세미나, 학술발표를 활용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며, 앞 선 단계의 결과들을 논문으로 정리하고 실험과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응용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990년대
□ 연구개요
본 연구는 건축설계 매체의 전환기에서의 매체 특성과 역할을 이해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건축설계 프로세스에 활용하기 위한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세 단계, 즉 기초, 종합, 응용 단계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한다. 각 단계별 과정을 통해서, 기초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진행하고, 소규모 회의나 세미나, 학술발표를 활용하여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며, 앞 선 단계의 결과들을 논문으로 정리하고 실험과 디자인 스튜디오에서 응용한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990년대 초반, 진보적인 디지털 건축가들은 디지털로의 전환을 천명했고, 그들의 건축설계 매체는 이차원에 투사하는 방식에서 삼차원으로 프린팅되는 방식으로의 전환을 준비했다. 이러한 표면적 현상을 기술 결정론에만 기대지 않고, 다양한 시선을 통해 디지털 시대의 건축설계 매체의 역할을 관찰하고 분석하는 것에 집중했다.
우선, 건축설계 매체의 특성과 사용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 양상을 이해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건축 관련 출판물과 간행물, 디지털 플렛폼에서 수집했고, 그 자료들을 매체의 활용 방식에 따라 분류하고 분석했다. 이는 전체 연구의 큰 틀거리를 잡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 아날로그 형식의 간행물들에서 강조되었던 이미지와 텍스트 위주의 편집 전략이 디지털 형식의 플랫폼에서는 3가지 방향으로 분화되고 있었다. 즉, 전문적인 편집자에 의한 이미지-텍스트의 기획과 편집,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이미지-텍스트 기획과 편집, 불특정 다수에 의한 이미지들의 임의적인 구성이 바로 그 방향이다.
그 과정에서, 디지털 시대에 주목받는 매체들, 즉 다이어그램, 3D 모델링, 3D 프린팅을 파악했다. 그 매체들 중심으로, 디지털 시대의 매체의 특성과 역할, 한계 등을 살펴보았고, 의미 있는 결과들을 도출했다. 첫 번째, 디지털 시대에 재등장한 다이어그램의 역할 확장과 단속적인 특성의 한계를 파악했고, 연속적인 영상 매체로의 전환이 불가피함을 이해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분리되었던 설계와 시공을 연결하는 시도들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특히, 3D 모델링 파일을 3D 프린팅 파일로 전환하는 경우 비번하게 발생하는 오류 현상과 원인들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학술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에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건축설계매체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면서, 디지털 환경에서 부여받은 그것의 새로운 혹은 확대된 역할을 인식할 수 계기가 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건축설계매체 사용의 저변에 형성되어 있는 현대 건축의 패러다임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 분야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어 온 다이어그램, 모델링, 3D 프린팅이 건축 디자인 실무와 교육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건축에서 사용하는 건축설계매체에 대한 역할을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사고의 틀을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사고의 틀을 바탕으로, 건축 분야에서는 그러한 건축설계매체를 수동적으로 모방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 성과를 토대로, 개별적인 주제들은 국내/국제 학술지에 투고하여 게재할 계획이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 설계매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예정이며, 타 분야와의 매체 연구에 대한 교류를 확대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것이다. 더불어, 건축설계 교육에서, 건축전공 학생들에게 건축설계매체에 대한 이해와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디지털 매체의 본질과 특성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적절한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연구결과 요약문 ... 2
- 목차 ... 3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4
- 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4
- 2) 연구의 범위와 목표, 그리고 한계 ... 4
-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5
- 1) 기초 단계 ... 5
- 2) 종합 단계 ... 6
- 3) 응용 단계 ... 10
-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수준 ... 13
- 1) 정성적 연구개발성과(연구개발결과) ... 13
- 2) 세부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13
- 3) 목표 달성 수준 ... 14
- 4) 목표 미달 시 원인 분석 ... 14
- 4.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14
- 5.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15
- 6. 참고문헌 ... 15
- 붙임1 세부 정량적 연구개발성과 ... 17
- 끝페이지 ... 20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