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심도 철도 사고대응 피난관제 핵심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ore technology for evacuation control in the accident case at very deep railway tunnel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Korea Railroad Research Institute
연구책임자 이덕희
참여연구자 권태순 , 박원희 , 윤수환 , 정우태 , 김용기 , 장동욱 , 이철규 , 최진유 , 이지하 , 함영삼 , 김진성 , 안승호 , 조영민 , 이영걸 , 정주영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1-12
과제시작연도 2021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등록번호 TRKO202200019475
과제고유번호 1711152010
사업명 한국철도기술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DB 구축일자 2023-03-14
키워드 대심도 철도.피난관제.주행로봇.증강현실.능동대책.Very deep railway.Evacuation control.Rail Robot.Augmented Reality.Active measures.

초록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최근 개발중인 GTX 대심도 철도 터널의 평균심도 지하 40미터 이상의 장대 터널과 지하 다층 구조로 수용인원이 수만명에 달하는 복합역사 시설물을 건설 중이다. 철도의 대심도화·장대화에 따라 피난경로의 확대 및 소방대의 신속한 접근성이 심각하게 떨어지면서 피난안정성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해외 대심도 철도는 안전성 확보를 위해 단선 병렬로 시공하여 사고 발생시 교차통로를 통해 반대편 터널이나 서비스 터널로 이동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대심도 철도 및 터널에 대한 사고대

Abstract

Ⅱ. Purpose and Needs
Recently, a long tunnel with depth of more than 40 meters underground and a multi-story underground structure like GTX is being constructed. Social concerns about evacuation stability are increasing as the evacuation route is expanded and the quick access of fire brigade is s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5
  • 보고서 요약서 ... 7
  • 요 약 문 ... 8
  • SUMMARY ... 10
  • Contents ... 13
  • 목차 ... 14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9
  • 제1절 연구개발 배경 및 필요성 ... 21
  • 제2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24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 25
  • 제1절 주행형 사고대응 로봇 기술 ... 27
  • 제2절 통합 피난 관제 기술 ... 28
  • 제3절 피난/제어기술 ... 33
  • 제4절 가상/증강현실(VR/AR) 기술 ... 34
  •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 35
  • 제1절 대심도 터널 실시간 피난관제 주행로봇 시스템 개발 ... 37
  • 제2절 대심도 철도 사고현장 실감 대응형 훈련 키트 개발 ... 108
  • 참고문헌 ... 124
  • 표목차 ... 15
  • 표 2-2-1 핵심기술 및 발전방향 ... 32
  • 표 2-3-1 터널내 방재시설 ... 33
  • 표 3-1-1 신형 전동차 HRR 그래프 ... 37
  • 표 3-1-2 2000년~2002년에 측정된 서울시의 PM-10과 TSP의 농도 수준 ... 39
  • 표 3-1-3 국내 도시철도의 역사 및 터널의 PM-10 농도 ... 40
  • 표 3-1-4 로봇 운용환경 분석 결과 ... 44
  • 표 3-1-5 주행로봇 디자인시 고려사항 ... 45
  • 표 3-1-6 주행로봇 디자인 선호도 조사결과 ... 47
  • 표 3-1-7 주행로봇 사이즈 검토 ... 48
  • 표 3-1-8 주행로봇 설계 요구사항 ... 51
  • 표 3-1-9 주행로봇 3D 설계도면 목록 ... 58
  • 표 3-1-10 운영화면에서의 기능 및 비기능 요구사항 ... 67
  • 표 3-1-11 피난제어 상황에서의 기능 및 비기능 요구사항 ... 67
  • 표 3-1-12 UI요구사항 분석 결과표 ... 68
  • 표 3-1-13 UI요구사항 분석 및 검증 스토리보드 ... 69
  • 표 3-1-14 연계시스템 기능구현 규약 조건 ... 72
  • 표 3-1-15 카메라 및 영상스트리밍 정보 제공 ... 73
  • 표 3-1-16 영상요청 파라미터 ... 74
  • 표 3-1-17 로봇제어 파라미터 ... 75
  • 표 3-1-18 로봇제어명령 ... 76
  • 표 3-1-19 로봇상태정보 및 대기환경정보 ... 77
  • 표 3-1-20 환경정보 수신 데이터 포맷 ... 78
  • 표 3-1-21 로봇상태 및 환경정보 수신 JSON 형식 ... 78
  • 표 3-1-22 KAFKA 메시지 형식 ... 79
  • 표 3-1-23 Database 관리체계 분류 ... 80
  • 표 3-1-24 주행로봇 피난제어 영상관제시스템 데이터테이블 구조 ... 82
  • 표 3-1-25 화면 레이아웃 구성(평시 터널관제)-1안, 2안, 3안 ... 92
  • 표 3-1-26 유한요소 모델링 정보 ... 102
  • 표 3-2-1 프로그램 입력조건 ... 109
  • 표 3-2-2 호흡 온도분포 및 연기거동 – 승강장 ... 111
  • 표 3-2-3 호흡 온도분포 및 연기거동 – 대합실 ... 112
  • 그림목차 ... 16
  • 그림 1-1-1 동탄역 지하 환승체계도(좌) 및 영동대로 지하복합환승센터 계획도(우) ... 21
  • 그림 1-1-2 영불해저터널 병렬터널 단면도 ... 21
  • 그림 1-1-3 비상시 피난 및 안전작업 관제용 무인이동체 개념도 ... 22
  • 그림 1-1-4 증강현실(AR) 기반의 현장 맞춤형 피난/구난 시뮬레이션 키드 활용 개념도 ... 23
  • 그림 2-1-1 탱크테크 주행형 소화 시스템 (출처: 소방안전 119 기술개발사업 최종 보고서) ... 27
  • 그림 2-1-2 개발된 레일형 감시 로봇(출처: KBS 뉴스, 아이뉴스24, 로봇신문) ... 27
  • 그림 2-4-1 가상현실(VR) 기반의 피난 기술 체험 사례(출처:한국소방안전원 웹진 소방안전플러스) ... 34
  • 그림 3-1-1 터널화재의 거리에 따른 온도 분포 ... 38
  • 그림 3-1-2 서울 지하철 3개 역사에서 TSP, PM-10, PM-2.5의 분포 ... 39
  • 그림 3-1-3 대심도 터널의 시간에 따른 미세먼지 농도 변화 양상 ... 41
  • 그림 3-1-4 율현터널 수직탈출로 단면도 ... 42
  • 그림 3-1-5 다양한 레일로봇 설치 현장 방문 ... 43
  • 그림 3-1-6 오송 철도기술연구원 시험센터 ... 44
  • 그림 3-1-7 도출된 디자인 컨셉 (01 ~ 05) ... 46
  • 그림 3-1-8 도출된 디자인 컨셉 (06 ~ 10) ... 46
  • 그림 3-1-9 선호도 조사결과 선정된 3개의 디자인 컨셉 ... 47
  • 그림 3-1-10 주행로봇 사이즈(본체) ... 48
  • 그림 3-1-11 주행로봇 사이즈(레일 거치 상태) ... 48
  • 그림 3-1-12 최종 선호 디자인 렌더링 (사이즈 포함) ... 49
  • 그림 3-1-13 Type02 디자인(레일에 거치) ... 49
  • 그림 3-1-14 Type02 디자인(로봇 구동바퀴 표시) ... 49
  • 그림 3-1-15 Type02 디자인(Bottom view) ... 50
  • 그림 3-1-16 Type02 디자인(Top view) ... 50
  • 그림 3-1-17 Type02 디자인(상단 구성부품 표시) ... 50
  • 그림 3-1-18 Type02 디자인(하단 구성부품 표시) ... 50
  • 그림 3-1-19 가이드 롤러 설계 ... 53
  • 그림 3-1-20 구동부 좌우측 3D 설계 결과물 (좌측 vs 우측) ... 53
  • 그림 3-1-21 본체 내부의 구성 ... 55
  • 그림 3-1-22 본체 하부(좌) 및 상부(우) 3D 설계 결과물 ... 55
  • 그림 3-1-23 본체와 구동부간 연결방식 ... 56
  • 그림 3-1-24 전원제어기 회로 구성 ... 57
  • 그림 3-1-25 주행로봇 부품 구성도 ... 59
  • 그림 3-1-26 주행로봇 전력공급 장치도 ... 59
  • 그림 3-1-27 주행로봇 통신 구성도 ... 60
  • 그림 3-1-28 주행로봇 영상관제 구성도 ... 60
  • 그림 3-1-29 주행로봇 BLDC 모터 드라이버 회로도 ... 61
  • 그림 3-1-30 주행로봇 본체 및 주행부(좌측) 3D 설계도면 ... 61
  • 그림 3-1-31 주행로봇 본체 및 주행부(우측) 3D 설계도면 ... 62
  • 그림 3-1-32 주행로봇 본체 상부 3D 설계도면 ... 62
  • 그림 3-1-33 주행로봇 본체 하부 3D 설계도면 ... 63
  • 그림 3-1-34 주행로봇 본체 프레임 3D 설계도면 ... 63
  • 그림 3-1-35 주행로봇 정면(전방) 3D 설계도면 ... 64
  • 그림 3-1-36 주행로봇 정면(후방) 3D 설계도면 ... 65
  • 그림 3-1-37 주행로봇 3D 프린팅 목업 ... 66
  • 그림 3-1-38 로봇 게이트웨이 시스템 S/W 구성도 ... 70
  • 그림 3-1-39 Database 관계도 ... 81
  • 그림 3-1-40 데이터 흐름 관계도 ... 83
  • 그림 3-1-41 법무부 범죄예방시스템 ... 84
  • 그림 3-1-42 신재생발전설비 통합모니터링 시스템 ... 85
  • 그림 3-1-43 한국도로공사 교통정보센터 ... 86
  • 그림 3-1-44 지정 폰트 사용 예시 ... 88
  • 그림 3-1-45 메뉴 배치 예시 (상단배치) ... 89
  • 그림 3-1-46 메뉴 배치 예시 (좌측 배치) ... 89
  • 그림 3-1-47 메뉴 네비게이션 ... 90
  • 그림 3-1-48 기본화면 및 레이어 단계별 배치 구성 ... 91
  • 그림 3-1-49 평시 터널관제 화면 예시 화면 ... 93
  • 그림 3-1-50 화면 레이아웃 구성(긴급상황시 로봇제어)-1안 ... 94
  • 그림 3-1-51 화면 레이아웃 구성(긴급상황시 로봇제어)-2안 ... 94
  • 그림 3-1-52 긴급상황시 로봇제어 예시 화면 ... 94
  • 그림 3-1-53 화면 레이아웃 구성(로봇 관리) ... 95
  • 그림 3-1-54 로봇관리 예시 화면 ... 96
  • 그림 3-1-55 화면 레이아웃 구성(영상 관리) ... 96
  • 그림 3-1-56 영상관리 예시 화면 ... 97
  • 그림 3-1-57 화면 레이아웃 구성(이벤트 관리) ... 97
  • 그림 3-1-58 이벤트 관리 예시 화면 ... 98
  • 그림 3-1-59 화면 레이아웃 구성(시스템 관리) ... 98
  • 그림 3-1-60 시스템관리 예시 화면 ... 99
  • 그림 3-1-61 주행레일 절곡 제작을 위한 설계도면 ... 100
  • 그림 3-1-62 실험실내 구축된 주행레일에 거치된 주행로봇(3D 프린팅 목업) ... 101
  • 그림 3-1-63 주행레일에 거치된 주행로봇(3D 프린팅 목업) ... 101
  • 그림 3-1-64 주행로봇 모델링 ... 102
  • 그림 3-1-65 주행로봇 동적 응력 해석을 위한 메쉬 ... 103
  • 그림 3-1-66 주행레일의 응력 분포 ... 103
  • 그림 3-1-67 시간에 따른 최대 스트레스 변화 ... 103
  • 그림 3-1-68 레일의 볼팅 간격 ... 104
  • 그림 3-1-69 볼팅 간격에 따른 모드 형상 ... 105
  • 그림 3-1-70 대피 안내 모델의 고유값 분석 ... 107
  • 그림 3-2-1 화재 시나리오 순서도 ... 108
  • 그림 3-2-2 화재해석 모델 기본 형상 변경 ... 109
  • 그림 3-2-3 화재해석 격자형상 ... 109
  • 그림 3-2-4 대피스크린 내부설치시 급기풍량 ... 110
  • 그림 3-2-5 ASET 측정위치 및 시각 ... 110
  • 그림 3-2-6 ASET 분석 결과 ... 113
  • 그림 3-2-7 센서 시나리오 ... 113
  • 그림 3-2-8 MRTK 주요기능 ... 116
  • 그림 3-2-9 Effect Particle System 예시 ... 117
  • 그림 3-2-10 System Architecture ... 117
  • 그림 3-2-11 다양한 화재 현상 예시 ... 118
  • 그림 3-2-12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한 3D 공간 복원 예시 ... 120
  • 그림 3-2-13 Point Cloud 형태의 맵 시각화 예 ... 120
  • 그림 3-2-14 Point Cloud 형태의 데이터 수집 예 ... 121
  • 그림 3-2-15 ORB-SLAM 동작화면 예 ... 122
  • 그림 3-2-16 ORB-SLAM 기반 맵 시각화 예 ... 122
  • 그림 3-2-17 3D 위치 매핑 자체 테스트 예 ... 123
  • 끝페이지 ... 125

표/그림 (107)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