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서울아산병원 Asan Medical Center |
연구책임자 |
권순억
|
참여연구자 |
이은재
,
김남국
,
김효재
,
김중구
,
황정은
,
장미소
,
장준영
,
김범준
,
권하님
,
문성신
,
서다영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02 |
과제시작연도 |
2020 |
주관부처 |
질병관리청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KDCA) |
연구관리전문기관 |
질병관리청 |
등록번호 |
TRKO202300000337 |
과제고유번호 |
1465031142 |
사업명 |
미세먼지기인질병대응연구(R&D) |
DB 구축일자 |
2023-03-28
|
키워드 |
미세먼지.대기오염.뇌졸중.Fine particulate matter.air pollution.stroke.
|
초록
▼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이 뇌졸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세먼지로 인한 질환 예방관리 근거를 찾고자 하였음.
우선 최신 연구동향을 알기 위해 문헌고찰을 수행하였으며, 논문 검색엔진을 통해 미세먼지와 뇌졸중과 관련된 논문을 찾아 289편을 review 하였음. 아직 국내에서 전국단위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뇌졸중 분석결과가 없음을 확인하고, 여성에서 미세먼지로 인한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날 가능성을 알게 됨. 이는 본 연구과제 분석에 적용되었음.
미세먼지와 뇌졸중 위험 분석에 앞서, 지역별 대기오염과 뇌졸중 발생률을 연계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이 뇌졸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미세먼지로 인한 질환 예방관리 근거를 찾고자 하였음.
우선 최신 연구동향을 알기 위해 문헌고찰을 수행하였으며, 논문 검색엔진을 통해 미세먼지와 뇌졸중과 관련된 논문을 찾아 289편을 review 하였음. 아직 국내에서 전국단위의 빅데이터를 이용한 뇌졸중 분석결과가 없음을 확인하고, 여성에서 미세먼지로 인한 위험이 더 높게 나타날 가능성을 알게 됨. 이는 본 연구과제 분석에 적용되었음.
미세먼지와 뇌졸중 위험 분석에 앞서, 지역별 대기오염과 뇌졸중 발생률을 연계한 시계열 분석방법론을 개발했으며 GIS기반 Inverse Distance Weighted Interpolation 방법론을 개발 완료하였음.
본 연구를 위해 대기오염자료와 사망자료, 응급실 이용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각각 에어코리아, 통계청 MDIS, 중앙응급 NEDIS를 통해 수집완료하였음.
미세먼지 노출 관련 뇌졸중 발생 및 사망 현황 분석을 위해 2001년부터 2018년까지 연도별 변화를 그래프로 나타내서 분석하였음. 이 기간 동안 시간에 따라 대기오염 농도(CO, NO2, SO2, PM10 등)가 감소하고, 뇌졸중(뇌경색, 뇌출혈)으로 인한 사망률 역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음.
미세먼지 장기노출에 대한 영향을 알기 위해 미세먼지의 노출농도와 뇌졸중의 사망률을 분석하였음. 모든 뇌혈관질환(I60-69)의 사망률이 SO2, PM10, PM2.5 농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뇌경색(I63)에서 이런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남. 뇌출혈의 경우 뇌내출혈(I61)과 지주막하출혈(I60)의 경향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뇌내출혈로 인한 사망률은 미세먼지 노출과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으나, 지주막하출혈로 인한 사망률은 SO2, PM10, PM2.5 등의 노출 정도에 따라 그 위험이 높았음. 특히 미세먼지 노출에 따른 지주막하출혈의 사망률 증가는 여성에서 높게 나타나서, 성별에 따른 미세먼지 대책 전략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음. 연령에 따른 위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음. 노출기간 설정을 변경하여 분석을 진행했을 때, 대기오염이 상대적으로 심각했던 과거에 비해 최근 연도로 노출 기간을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으로 변경하였을 때 대기오염과 사망률 간 상관관계가 유의미성을 잃어가는 모습이 관찰되었음.
미세먼지 단기노출에 대한 영향을 알기 위해 미세먼지 노출농도와 뇌졸중 발생으로 인한 응급실 방문 건수를 분석하였음. 노출에 따른 지연효과(Lag effect)를 고려하여 분석하였음.
본 과제에서 사용한 데이터셋에서는 미세먼지의 단기노출에 따른 뇌졸중의 응급실 방문 증가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음. 이는 국내 뇌졸중 급성 발생에 있어, 미세먼지 단기노출보다 다른 중요한 원인들이 더 많이 있음을 시사함. 다만 뇌졸중으로 인한 응급실 사망률이 미세먼지의 단기노출 정도와 연관이 있었는데, 이는 심각한 뇌졸중의 발생에는 미세먼지 단기노출이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할 수 있겠음. 조금 더 연관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후속 연구가 필요함.
미세먼지 패턴이 다른 지역 분석을 위해 제주도 코호트 데이터를 사용하였음. 제주대병원 뇌졸중센터 9년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으며, 뇌졸중의 아형과 위험인자 등을 미세먼지의 주간변화(weekly change)와 연관해 분석하였음. 그러나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없었으며, 이는 뇌졸중 발생 숫자 (n=2045)가 적었기 때문으로 생각함.
장기노출 분석결과를 2020년 국제학회(Asia Pacific Stroke Conference)에서 구연 발표하였으며, 이 abstract는 SCI 저널에 소개되었음(Cerebrovascular diseases, mrnIF = 52). 현재 관련데이터는 논문작업을 마쳐 영어교정 중에 있으며 곧 submission 예정임.
본 과제를 통한 분석 결과 일체는 질병관리청에 제공할 것이며, 장기노출에 대한 논문이 나오는대로 병원 홍보팀을 통해 언론홍보를 계획 중에 있음. 또한 연구책임자가 이사장으로 있는 대한뇌졸중학회를 통해 더 많은 대국민 홍보와 정책 제안을 수행할 예정임. 본 과제 연구결과를 통해, 미세먼지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국민들에게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불필요한 불안 및 공포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맞춤형 미세먼지 관련 예방대책을 세우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함.
(출처 : 요약문 4p)
Abstract
▼
We aimed to build a scientific basis for stroke prevention and management by analyzing the effect of air pollution including fine particulate matter.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latest research trends, and 289 articles were reviewed by searching for papers related to
We aimed to build a scientific basis for stroke prevention and management by analyzing the effect of air pollution including fine particulate matter.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latest research trends, and 289 articles were reviewed by searching for papers related to air pollution, fine particulate matter, and stroke through the scientific literature search platform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no results of stroke analysis using national big data in Korea to date. An on reviewing the literatures, we developed a hypothesis that females may be more susceptible to air pollution concerning subarachnoid hemorrhage.
Prior to the analysis of fine dust and stroke risk, a time series analysis methodology was developed that linked regional air pollution and stroke incidence and mortality utilizing a GIS-based distance-weighted interpolation model.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following big-data platforms: Air Korea, Statistics Korea MDIS, and Central Emergency NEDIS DB.
During this period of 2001 to 2018, we found out a decrease in the air pollutant concentrations (CO, NO2, SO2, and PM10) and mortality rates by cerebral infarction, cerebral hemorrhage) over time.
The mortality rate of all cerebrovascular diseases (I60-69) increased with SO2,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and this trend was particularly prominent in cerebral infarction (I63). In the case of cerebral hemorrhage, the trends of intracranial hemorrhage (I61) and subarachnoid hemorrhage (I60) differed, and the mortality rate from intracranial hemorrhage did not show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exposure to air pollution. However, the mortality rate from subarachnoid hemorrhage with SO2 and PM10 were positively associated, particularly in females. It implies that different strategy may be needed for the management of subarachnoid hemorrhage in men and women. No age-related risk difference were observed.
A multi-variate, time-lagged generalized linear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explore the associations between short-term exposure to air pollution and stroke. The number of emergency room visits due to stroke were analyzed. In the dataset used in this project, there was no trend of increase in emergency room visits for stroke due to short-term exposure to air pollution. This suggests that there are more important causes than short-term exposure to air pollution in the acute incidence of domestic stroke. However, the emergency room mortality due to stroke was related to the degree of short-term exposure of fine dust, which may suggest that short-term exposure to air pollution may affect the stroke severity leading to death. Further study is guaranteed to find out more specified conclusions.
Jeju Island cohort data was used to analyze regions with different air pollution pattern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the 9-year stroke center at Jeju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the subtypes and risk factors of stroke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weekly changes in fine dust. However, no significant analysis result were found. This may be due to the small number of stroke events (n=2045) in the cohort.
The results of long-term exposure analysis were presented in Asia Pacific Stroke Conference 2020, and the abstract was introduced in the SCI journal (Cerebrovascular diseases, mrnIF = 52).
All the data analysis results of this project will be provided to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as soon as the paper on long-term exposure is released, we will make a press release via Asan Medical Center’s public relations team. In addition, more public relations and policy proposals will be carried out through the Korean Stroke Society.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project are expected to be of great help in reducing anxiety by providing scientific basis on this issue to the public, and to more tailored air-pollution-related stroke management and prevention.
(source : Summary 6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목차 ... 3
- 요약문 ... 4
- Summary ... 6
- 학술연구개발용역과제 연구결과 ... 8
- 제1장 최종 목표 ... 8
- 제2장 국내외 기술 현황 ... 17
- 제3장 최종 연구 내용 및 방법 ... 18
- 제4장 최종 연구 결과 ... 48
- 제5장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 100
- 제6장 연구성과 및 활용계획 ... 101
- 제7장 연구용역과제 진행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 105
- 제8장 기타 중요변경사항 ... 106
- 제9장 연구비 사용 내역 및 연구원 분담표 ... 107
- 제10장 참고문헌 ... 109
- 제11장 첨부서류 ... 110
- 제12장 부록 ... 111
- 끝페이지 ... 17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