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SAI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Data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Edison 바로가기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Kafe 바로가기주관연구기관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
연구책임자 | 전환돈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12 |
과제시작연도 | 2021 |
주관부처 |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
연구관리전문기관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
등록번호 | TRKO202300003777 |
과제고유번호 | 1485017745 |
사업명 | 지능형도시수자원관리(R&D) |
DB 구축일자 | 2023-07-19 |
키워드 | 사이버물리시스템.실시간시뮬레이터.디지털 물 트윈.동적의사결정.스마트워터.Cyber Physical System.Real-time Simulator.Digital Water Twin.Dynamic Decision Making.Smart Water. |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목표1] CPS 기반 도시 수자원 연계 실시간 시뮬레이터 개발
[목표2] 도시수자원 핵심 인프라 디지털 트윈(DT) 구현 및 분석가시화 연계 모형 개발
[목표3] 디지털 트윈 기반 물 인프라 운영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
◼ 전체 내용
[목표1]
○ 가상물리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s, CPS) 기반 도시 수자원 통합 시스템 구조 설계
○ 도시 수자원 모듈별 운영 특성을 고려한 통합 시뮬레이터 연계 기술 개발
○ 도시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목표1] CPS 기반 도시 수자원 연계 실시간 시뮬레이터 개발
[목표2] 도시수자원 핵심 인프라 디지털 트윈(DT) 구현 및 분석가시화 연계 모형 개발
[목표3] 디지털 트윈 기반 물 인프라 운영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
◼ 전체 내용
[목표1]
○ 가상물리시스템(Cyber Physical Systems, CPS) 기반 도시 수자원 통합 시스템 구조 설계
○ 도시 수자원 모듈별 운영 특성을 고려한 통합 시뮬레이터 연계 기술 개발
○ 도시 수자원 수량 및 수질 요소별 실시간 시뮬레이터 모듈 개발
○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이용한 도시 수자원 시스템의 개별 시뮬레이터 모듈 패키지화
[목표2]
○ 도시 수자원 핵심 인프라 운영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 및 개발
○ 도시 수자원 핵심 인프라에 분석가시화 연계 모형 개발
○ 인프라 운영자/수요자 체감형 분석-가시화 모듈 개발
○ 도시 수자원 맞춤형 패키지 개발
[목표3]
○ 디지털 트윈 기반 물 인프라 운영 의사결정 시스템 구축 및 개발
○ 실시간 데이터 및 최적화 기반 의사결정 결과를 실 운영에 반영할 수 있는 자율형 의사결정 시스템 구현
○ 의사결정 변동이 발생 가능한 사건 (비정상상황 중심) 발생 시 실시간 시뮬레이션 실시 및 가시화
◼ 해당 연도
❏ 목표
○ 도시수자원 실시간 시뮬레이터 고도화 및 패키지화
○ 분석 모듈 평가 시나리오 구축 및 평가 모델 개발(의사결정)
○ DT 핵심 모델 연계 및 구축 검증 및 실증/확인
○ 개발된 CPS 실시간 도시 수자원 시뮬레이터의 국내외 공개 및 Feed back
○ 도시수자원 개별 모듈별 특성을 고려한 CPS 기반 운영 시나리오 개발 및 DSS 모형구축
○ 디지털 트윈 물 인프라 운영 의사결정 시스템 개발
○ Living Lab 운영 계획 설계
❏ 내용
- 실시간 하수처리단계 분석 모듈 개발 (Massflow 분석 – 다양한 수처리 공정 및 Online Monitoring 연계), 정수처리단계구현
- Living Lab 대상지 맟춤형 도시수자원 인프라 통합 CPS 기반 실시간 시뮬레이터 구성
- Living Lab 대상지 도시 수자원 요소 및 운영결과분석
- Living Lab 운영을 통한 사용자 feedback 수집 및 통합 시스템 고도화 방안 제안
- 모듈별 편익 분석 및 성능 (신뢰성, 취약성) 평가
- 물공급 DT (Water Supply Twin) - 취수시설 시스템 대상, 취수장 펌프운영-배수지수위 연계
- 도시침수해석 Digital Twin 개발
- 그린 인프라시설 도입에 따른 통합 시스템 편익 및 지속가능성 평가 방법 개발
- LID 시스템 – 기본모듈 개발
- (정상, 비정상상황) 상수관망, 정수&하수, LID 대표 시나리오 및 방법론 제시
□ 연구개발성과
논문 게제 (SCI(E) 8건, 국내등재지 18건), 특허 (출원 5건, 등록 2건), 보고서 원문 (연차별 세부 결과보고서 1부씩 총 4부 제출), 저작권(소프트웨어) 등록 (관련 SW 4건), 국내 및 국제 학술 회의 발표 (20건), 주요 게재논문(SCI(E)) 영향력 지수 평균 (60점), 의사결정시스템 신뢰도 (90%), 기술거래(이전) (2건), 사업화 진행 고용 창출 (4명), 전문 연구 인력 양성 (10명)
□ 연구개발성과 활용계획 및 기대 효과
○ 국가스마트시티 플랫폼 물관리 핵심 모듈로 탑재
○ 도시수자원 모듈 연계를 통한 효율적 물 관리 기술 및 가상화 시스템 구축을 통한 지능형 의사결정
○ Digital Twin 기반 도시 수자원 인프라 가시화를 통해 다양한 운영상황 시 대응을 위한 사전모의 및 체감기술 보급
○ 도시수자원 안전성 및 안정성 확보를 통한 물환경 전체의 안정적 운영 및 인근 주거 지역 환경 개선
○ 도시수자원 운영의사결정시스템 개발을 통해 의사결정 구간의 변동 발생 시 단기간 내 시각화를 진행하며, 빠른 대응 방안 수립
(출처 : 요약문 3p)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과제명(ProjectTitle) : | - |
---|---|
연구책임자(Manager) : | - |
과제기간(DetailSeriesProject) : | - |
총연구비 (DetailSeriesProject) : | - |
키워드(keyword) : | - |
과제수행기간(LeadAgency) : | - |
연구목표(Goal) : | - |
연구내용(Abstract) : | - |
기대효과(Effect) : | - |
내보내기 구분 |
|
---|---|
구성항목 |
관리번호, 제목(한글), 저자명(한글), 발행일자, 전자원문, 초록(한글), 초록(영문) 관리번호, 제목(한글), 제목(영문), 저자명(한글), 저자명(영문), 주관연구기관(한글), 주관연구기관(영문), 발행일자, 총페이지수, 주관부처명, 과제시작일, 보고서번호, 과제종료일, 주제분류, 키워드(한글), 전자원문, 키워드(영문), 입수제어번호, 초록(한글), 초록(영문), 목차 |
저장형식 |
|
메일정보 |
|
안내 |
총 건의 자료가 검색되었습니다. 다운받으실 자료의 인덱스를 입력하세요. (1-10,000) 검색결과의 순서대로 최대 10,000건 까지 다운로드가 가능합니다. 데이타가 많을 경우 속도가 느려질 수 있습니다.(최대 2~3분 소요) 다운로드 파일은 UTF-8 형태로 저장됩니다. ~ |
Copyright KISTI. All Rights Reserved.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사용하고 있는 오픈소스 모델과 라이센스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AI-Helper uses Open Source Models. You can find the source code of these open source models, along with applicable license information below. (helpdesk@kisti.re.kr)
OpenAI의 API Key를 브라우저에 등록하여야 ChatGPT 모델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등록키는 삭제 버튼을 누르거나, PDF 창을 닫으면 삭제됩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