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중부권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사업 기획연구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연구책임자 이주한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0-04
과제시작연도 2020
주관부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2300005184
과제고유번호 1711123496
사업명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연구운영비지원(R&D)(주요사업비)
DB 구축일자 2023-08-16

초록

1. 사업개요
• 사업기간 : 2022년 ~2027년(6년)
• 총사업비 : 8,000억 원(정부 8,000억 원)
• 사업목적 : “제조 강국 실현을 위한 세계 최고 수준 방사광가속기 구축 및 운영”
• 사업목표 : 중부권 차세대 방사광가속기 구축
- (3대 목표) 4GeV, 피코미터급 원형 방사광가속기 구축, 산업지원 전용 빔라인 30% 구축, 기초연구 전문 인력 양성 및 산업체 육성
• 추진근거
- 문재인정부의 20대 국정전략 ′과학기술 발전이 선도하는 4차 산업혁명′, 34.′고부가 가치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약문 ... 3
  • 목차 ... 17
  • 표목차 ... 21
  • 그림목차 ... 25
  • 제1장 사업 개요 ... 31
  • 제1절 사업의 정의 및 범위 ... 33
  • 1. 사업의 정의 ... 33
  • 2. 사업의 범위 ... 39
  • 제2절 사업의 배경 및 필요성 ... 43
  • 1. 사업의 배경 ... 43
  • 2. 사업의 필요성 및 시급성 ... 45
  • 3. 국고지원의 적절성 ... 51
  • 제3절 추진근거 ... 53
  • 1. 법적 근거 ... 53
  • 2. 국정과제 근거 ... 54
  • 3. 국가계획 근거 ... 54
  • 4. 부처계획 근거 ... 55
  • 제4절 기획 추진 체계 및 경과 ... 58
  • 1. 사업 기획 추진체계 ... 58
  • 2. 사업 기획 추진경과 ... 59
  • 제2장 대내외 환경분석 ... 67
  • 제1절 정책적 환경 ... 69
  • 1. 국외 정책동향 ... 69
  • 2. 국내 정책동향 ... 82
  • 제2절 경제적 환경 ... 87
  • 1. 국외 시장동향 ... 87
  • 2. 국내 시장동향 ... 95
  • 제3절 과학기술적 환경 ... 101
  • 1. 국외 연구개발 동향 ... 101
  • 2. 국내 연구개발 동향 ... 112
  • 제4절 인프라 환경 ... 122
  • 1. 국외 인프라 동향 ... 122
  • 2. 국내 인프라 동향 ... 144
  • 제5절 종합분석(PETI) ... 153
  • 제3장 국내 R&D 역량분석 ... 157
  • 제1절 R&D 투자 현황분석 ... 159
  • 1. 기초연구분야 R&D 투자동향 ... 159
  • 2. 가속기 관련 R&D 투자동향 ... 160
  • 제2절 가속기 구축 관련 기술역량 분석 ... 171
  • 1. 특허/논문 동향 분석 ... 171
  • 2. 기술 수준 분석 ... 174
  • 제3절 R&D 인프라 현황 ... 178
  • 1. 연구인력 현황 ... 178
  • 2. 연구시설·장비 현황 ... 180
  • 3. 연구기관 현황 ... 191
  • 제4절 주요 시사점 ... 197
  • 제4장 기존 유사사업의 성과 분석 ... 199
  • 제1절 기존 유사사업 현황 및 추진경과 ... 201
  • 1. 기존 유사사업 성과분석 개요 ... 201
  • 2. 사업 개요 ... 202
  • 3. 기존 유사사업 추진경과 및 개편내용 ... 203
  • 4. 사업의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 ... 204
  • 5. 사업비 현황 ... 206
  • 6. 사업 추진체계 ... 206
  • 7. 사업목표 및 주요 실적 ... 208
  • 제2절 기존 유사사업 성과분석 ... 213
  • 제5장 사업설계를 위한 조사분석 ... 217
  • 제1절 방사광가속기 구축 타당성 설문조사 ... 219
  • 1. 설문조사 개요 ... 219
  • 2. 설문조사 결과 ... 221
  • 3. 설문조사 결과 종합분석 ... 232
  • 제2절 방사광가속기 활용 수요조사 ... 235
  • 제6장 사업 추진계획(안) ... 237
  • 제1절 사업방향 ... 239
  • 1. 종합분석(SWOT) ... 239
  • 2. SWOT 분석을 통한 사업의 추진방향 도출 ... 242
  • 3. 사업의 중점 추진방향 및 전략분야 도출 ... 243
  • 제2절 사업비전 및 목표 ... 244
  • 1. 사업비전 ... 244
  • 2. 사업목표 및 추진전략 ... 245
  • 3. 성과목표 및 지표 ... 249
  • 4. 논리모형 ... 250
  • 제7장 방사광가속기 입지계획(안) ... 251
  • 제1절 입지계획(안) ... 253
  • 1. 입지선정 배경 ... 253
  • 2. 입지 개요 ... 259
  • 제2절 방사광가속기 구성(안) ... 268
  • 제8장 방사광가속기 활용방안 ... 269
  • 제1절 개요 ... 271
  • 제2절 활용분야 ... 272
  • 제9장 사업 운영관리계획(안) ... 281
  • 제1절 사업운영체계 및 관리방안 ... 283
  • 1. 운영추진체계 및 역할 ... 283
  • 2. 운영관리방안 ... 285
  • 제2절 소요예산 및 재원조달 방안 ... 290
  • 제3절 향후 운영방안(안) ... 292
  • 1. 방사광가속기 운영기관 미션 및 역할 ... 292
  • 2. 방사광가속기 운영체계 ... 293
  • 3. 방사광가속기 운영 ... 294
  • 4. 방사광가속기 운영 예산 ... 297
  • 5. 방사광가속기 운영 인력 ... 300
  • 6. 인력양성 추진 방안 ... 302
  • 제4절 파급효과 ... 309
  • 1. 과학기술적 파급효과 ... 309
  • 2. 경제사회적 파급효과 ... 313
  • 3. 정량적 파급효과 ... 316
  • 제10장 사전 타당성 분석 ... 319
  • 제1절 사전타당성 분석 방법론 ... 321
  • 1. 개요 ... 321
  • 2. 영역별 타당성 분석 수행 체계 ... 321
  • 제2절 정책적 타당성 분석 ... 326
  • 1. 정부지원의 필요성 ... 326
  • 2. 정책적 일관성 및 사업 추진의지 ... 328
  • 3. 사업추진 상의 위험요인 및 대응방안 ... 331
  • 제3절 과학기술적 타당성 분석 ... 332
  • 1. 사업기획의 적절성 ... 332
  • 2. 사업목표의 적절성 ... 337
  • 3. 기술개발 성공 가능성 ... 342
  • 제4절 경제적 타당성 ... 347
  • 1. 경제적 타당성 분석 개요 ... 347
  • 2. 경제성 분석 ... 347
  • 3. 편익도출 ... 355
  • 4. 경제적 편익 분석 결과 ... 359
  • 끝페이지 ... 360

표/그림 (299)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