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국립생물자원관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연구책임자 |
최현기
|
참여연구자 |
이경진
,
김병직
,
유정선
,
은예
,
김태호
,
김광수
,
김형근
,
박태서
,
정종우
,
박지선
,
이다민
,
이정희
,
김성현
,
박진호
,
이승현
,
박승환
,
김상길
,
김이주
,
강주원
,
장목인
,
강성훈
,
정유석
,
정경훈
,
오종화
,
김동영
,
이준기
,
이준호
,
김상우
,
동민수
,
최선경
,
이슬
,
오지나
,
김현수
,
전소현
,
박찬용
,
최종문
,
이영은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2-12 |
과제시작연도 |
2022 |
주관부처 |
환경부 Ministry of Environment |
연구관리전문기관 |
국립생물자원관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
등록번호 |
TRKO202300005328 |
과제고유번호 |
1485018771 |
사업명 |
생물자원발굴및분류연구 |
DB 구축일자 |
2023-08-30
|
초록
▼
4. 연구결과
가. 미탐사 서식지 유형별 조사 결과(신종 10종, 미기록 20종 발굴)
○ 수중 미탐사 서식지(대심도 구간 포함)
- 미기록종 후보 5종, 신종 후보 8종(다모류, 갑각류 emd) 발굴
- 제주 서귀포 조하대 생물상 종목록 532종(대심도 구간 43종 포함) 확인
- 무척추동물(다모류, 갑각류 등) 확증표본 70점 확보
○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조사
- 잘피 군락(동해 새우말 군락) 21종 62점 표본확보
- 연안 갯벌(전남 함평, 인천 영종 2개소) 모니터링 72종
4. 연구결과
가. 미탐사 서식지 유형별 조사 결과(신종 10종, 미기록 20종 발굴)
○ 수중 미탐사 서식지(대심도 구간 포함)
- 미기록종 후보 5종, 신종 후보 8종(다모류, 갑각류 emd) 발굴
- 제주 서귀포 조하대 생물상 종목록 532종(대심도 구간 43종 포함) 확인
- 무척추동물(다모류, 갑각류 등) 확증표본 70점 확보
○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조사
- 잘피 군락(동해 새우말 군락) 21종 62점 표본확보
- 연안 갯벌(전남 함평, 인천 영종 2개소) 모니터링 72종 449점 시계열 표본확보
※2개소(함평, 영종) 정점별 월별(3-11월) 조사 완료
○ 주요 관심 서식지
- 공생성 생물서식지(굴, 말미잘, 실해송) 미기록 5종(새우류, 어류) 발굴
- 지중구간(토양) 미기록 2종(원생동물) 발굴, 표본 확보 100점 완료
- 조간대(암반) 미기록 3종 발굴(다모류), 표본 확보 50점
- 담수 하천 및 저수지 미기록 7종(빈모류, 원생동물) 발굴
가. 지난 발굴 결과(2018년 ∼ 2022년)
- 총 211종(신종 56종, 미기록종 125종) 발굴되었으며, 서식지 별로는 조하대 서식지 117종이 발굴되어 가장 높은 발굴 종수를 나타냄
(출처 : 요약문 8p)
Abstract
▼
Animal species including the invertebrate, urochordate, and fish were discovered from unexplored habitats consisted of the aquatic areas (rocky and soft bottom) in subtidal zone, symbiotic organism, seagrass beds, and some other habitats. Among these habitats, exploration was carried out using scuba
Animal species including the invertebrate, urochordate, and fish were discovered from unexplored habitats consisted of the aquatic areas (rocky and soft bottom) in subtidal zone, symbiotic organism, seagrass beds, and some other habitats. Among these habitats, exploration was carried out using scuba diving in the underwater rocky area, and in the case of high depth area under 30m depth, exploration was carried out using the Trimix technical scuba diving technique. Van Veen grab sampler and benthic trawling were used to obtain soft sand and muddy bottom sediment. In the territorial habitats, we investigated the spider fauna using malaise and pitfall traps. In this study, a total of 30 species, 10 species new to sinece nominated and 20 species new to Korea nominated beloning to amoeba, polychaetes, oligochaetes, crustaceans, fish etc. were newly discovered.
(source : Abstract 14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요 약 문 ... 7
- 목차 ... 10
- 표목차 ... 11
- 그림목차 ... 12
- Contents ... 13
- Abstract ... 14
- Ⅰ. 서론 ... 15
- Ⅱ. 연구방법 ... 18
- 1. 탐사지역 선정 및 서식지 유형 구분 ... 18
- 가. 미탐사 서식지 유형별 구분 ... 18
- 2. 미탐사 서식지 탐사를 통한 연구대상 표본 확보 ... 20
- 가. 5차년도 미탐사 서식지 유형별 조사 방법 ... 20
- 나. 확보 표본의 후처리 ... 23
- 3. 종 동정을 위한 COI 염기서열 분석 ... 24
- Ⅲ. 연구결과 ... 25
- 1. 미탐사 서식지 대상 미발굴 동물자원 발굴 ... 25
- 가. 수중 미탐사 서식지 ... 25
- 나. 생물다양성 모니터링 조사 ... 39
- 다. 주요 관심 서식지 ... 42
- 2. 미탐사 서식지 대상 미발굴종 조사 결과(2018년∼2022년) ... 60
- Ⅳ. 고 찰 ... 63
- V. 결 론 ... 64
- VI. 참고문헌 ... 65
- 끝페이지 ... 66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