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기계학습과 시물레이션을 이용한 치매진행모델 개발 및 조기진단 시스템 개발
Modelling dementia progression and early diagnosis system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simulation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연구책임자 한철
참여연구자 고명섭 , 김대겸 , 박재희 , 서유진 , 윤예지 , 정병창 , 최근영 , 최명원 , 정현강 , HYUNG WILLIAM WONSEOK , 강영수 , 김준형 , 유보희 , 윤현철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1-12
과제시작연도 2020
주관부처 보건복지부
[Ministry of Health & Welfare(MW)(MW)
연구관리전문기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등록번호 TRKO202400001200
DB 구축일자 2024-07-10
키워드 치매.알츠하이머병.인공지능.시물레이션.백색질 네트워크.Dementia.Alzheimer’s Disease.Artificial Intelligence.Simulation.White Matter Networks.

초록

○ 연구의 개요
• 국내외 치매 환자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사회적 비용부담이 매우 커지고 있어, 국가적 대응이 필요한 질병임.
• 치매치료제들의 임상실험이 계속 실패함에 따라, 치매조기진단을 통한 선제적 대응이 보다 효과적인 전략이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 뇌영상을 활용한 인공지능 진단보조시스템의 발달로 정확하고 보다 빠른 진단이 가능해졌음.
• 그러나, 이러한 인공지능도 환자와 정상인의 뇌영상의 차이가 적은 초기에는 진단을 할 수가 없음.
• 알츠하이머성 치매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타우단백질과 아

Abstract

○ Overview of the study
• The number of dementia patients is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ir social cost burden is also increasing. Thus, there requires an urgent national response.
• As clinical trials of dementia treatment drugs continue to fail, a preemptive response through early diagno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출문 ... 2
  • 보고서 요약서 ... 3
  • 요약문 ... 5
  • SUMMARY ... 6
  • 총괄연구개발과제의 연구성과 실적 및 향후 계획 ... 7
  • 연구성과 유형별 세부 내역 ... 9
  • 참여연구원 현황표 ... 10
  • 목차 ... 11
  •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 12
  • 2.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18
  • 3. 연구개발과제의 수행 결과 및 목표 달성 정도 ... 39
  • 1) 연구수행 결과 ... 39
  • 2) 목표 달성 수준 ... 46
  • 4. 목표 미달 시 원인분석 ... 47
  • 1) 목표 미달 원인(사유) 자체분석 내용 ... 47
  • 2) 자체 보완활동 ... 49
  • 3) 연구개발 과정의 성실성 ... 50
  • 5. 연구개발성과의 관련 분야에 대한 기여 정도 ... 52
  • 6. 연구개발성과의 관리 및 활용 계획 ... 54
  • 7. 참고문헌 ... 58
  • 끝페이지 ... 60

표/그림 (37)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