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
미래전파공학연구소 |
연구책임자 |
김성한
|
참여연구자 |
김태홍
,
최주평
,
권호진
,
이재성
,
권재광
,
서범규
|
보고서유형 | 최종보고서 |
발행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발행년월 | 2021-12 |
과제시작연도 |
2021 |
주관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Ministry of Science and ICT |
연구관리전문기관 |
정보통신기획평가원 Institute of Information&Communications Technology Planning&Evaluation |
등록번호 |
TRKO202400004617 |
과제고유번호 |
1711141212 |
사업명 |
ICT진흥및혁신기반조성(R&D) |
DB 구축일자 |
2024-07-22
|
초록
▼
4. 연구 내용 및 결과
가. 안티드론시스템 성능을 위한 실태조사
산업체들은 안티드론시스템 성능 연구를 위해 인천 청라지역, 육군 군부대, 민간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테스트를 위해 장거리 이동 문제점과 성능시험을 위한 신청 등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장비개발 과정에서의 보안 노출 우려의 극복 및 시험결과서 발급이 있었으면 하는 의견이 있었다. 의견을 종합하면 접근이 용이하며, 개발장비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적합한 장소로 이천 전파시험인증센터, 전남 광
4. 연구 내용 및 결과
가. 안티드론시스템 성능을 위한 실태조사
산업체들은 안티드론시스템 성능 연구를 위해 인천 청라지역, 육군 군부대, 민간 드론 전용 비행시험장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 테스트를 위해 장거리 이동 문제점과 성능시험을 위한 신청 등으로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장비개발 과정에서의 보안 노출 우려의 극복 및 시험결과서 발급이 있었으면 하는 의견이 있었다. 의견을 종합하면 접근이 용이하며, 개발장비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적합한 장소로 이천 전파시험인증센터, 전남 광주전파관리소 등 부지를 확인했다.
나. 전문가 및 산업체 의견 종합
안티드론과 관련된 전문가 및 산업체는 국가중요시설에 대한 테러 대응 개념을 적용하기 위해서라도 안티드론시스템 실증이 야외에서 필요하며, 안티드론 장비의 현 수준을 검증받을 수 있는 야외시험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공통적이었다.
민간 드론전용 비행시험장 등에서 성능테스트를 진행할 경우, 장비에 대한 보안이 노출될 수 있다는 점과 테스트 과정에서 드론 장비의 추락으로 민간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주변 인근 시설로 소방시설, 군부대 등에 전파로 악역향을 끼치는 점을 식별하고, 드론비행 및 안티드론 성능테스트에 주요 방해요소가 없어야 하며, 사전에 관제권 등을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 공통적인 의견이었다.
다. 이천 전파시험인증센터 타당성 검토 결과
먼저, 드론 비행이 가능한 관제권을 확인했으며, 해당 부지 인근으로 100m 이격 거리는 가능하다는 의견으로, 관제권을 회피하는 방안에서 센터 남쪽 방향으로 타당성을 검토했다. 5km 이격된 노성산 방향에서 탐지 및 무력화 장비에 대한 성능시험을 할 수 있는 조건을 우선적으로 조종사 위치 고려, 센터 내 부지인 고지군 일대에 2층 타워를 설립하면 시험 장소로 타당하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라. 전남 광주전파관리소 타당성 검토 결과
관제권을 확인했을 때 제한사항은 없었으며, 전 방향으로 드론이 접근할 수 있는 지형으로 안티드론시스템 야외시험장을 제한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단, 부지 공간이 협소하여 휴대용 무력화 장비에 대한 야외시험장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했다. 추가적으로 드론 순찰형 및 드론 사고조사와 같은 테스트를 진행하는 부지로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마. 강원 영월 등 민간 드론전용 비행시험장 타당성 결과
민간 드론전용 비행시험장으로 안티드론시스템 성능을 진행할 수 있는 여건은 마련되어 있으나, 보안 취약성, 이동거리에 대한 애로사항 등의 제한이 있다.
산업체 입장에서는 다양한 지형조건을 활용한 성능 테스트를 별도로 진행한다면 제한 사항은 없으나, 이 연구에서는 민간 부지에 대한 타당성은 제외했다.
(출처 : 요약문 18p)
Abstract
▼
4. Study Results
가. A. Survey on the Performance of Anti-drone System
Industries conducted tests in Cheongna, Incheon, Army military unit bases, and private drone-only flight test sites to study the performance of anti-drone systems. For this test, we confirmed limitations that it takes a
4. Study Results
가. A. Survey on the Performance of Anti-drone System
Industries conducted tests in Cheongna, Incheon, Army military unit bases, and private drone-only flight test sites to study the performance of anti-drone systems. For this test, we confirmed limitations that it takes a lot of time due to long-distance problems and applications for performance tests. In addition, there were opinions on overcoming concerns about security exposure to the equipment development process and issuing test reports. Accordingly, when industries checked suitable places to test the performance of development equipment and easy access, sites such as the Icheon Radio Test Certification Center and the Gwangju Radio Management Office in South Jeolla Province were checked.
나. Comprehensive Opinions of Experts and Industries
Experts and industries related to anti-drone shared the common opinion that demonstration of anti-drone systems is necessary outdoors and that outdoor testing sites are needed to verify the current level of equipment, even in order to apply the concept of terrorist response to important national facilities.
In addition, representatives were concerned that the security of equipment could be exposed when performance tests are conducted at private drone flight test sites, and that falling drone equipment could cause civilian damage during the test process. Considering that nearby facilities have a bad influence on fire fighting facilities and military units, the common opinion was that drones and anti-drone performance should be free from other obstacles and that they should cooperate in advance.
다. Validity results of Icheon Radio Test Certification Center
First, the control right to fly drones was confirmed, and with the opinion that a 100m distance to the site is possible, the validity was reviewed in the south direction in a plan to avoid the control right. As for the opinion that performance tests on detection and neutralization equipment can be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Mount Noseong, which is 5km apart, it was found that it is valid as a suitable test site by considering the location of the pilot and establishing a two-story tower on the site.
라. The feasibility review results of the Gwangju Radio Management Office in South Jeolla Province
There were no restrictions when confirming control, and the anti-drone system can be created within a limited range in an environment accessible to drones in all directions. However, due to the small site space, it was considered suitable as an outdoor test site for portable neutralization equipment. In addition, it was judged to be suitable as a site for testing such as drone patrol type and drone accident investigation.
마. Validity results of private drone operation test sites such as Yeongwol, Gangwon Province
Conditions for conducting anti-drone system performance are provided as a flight test site exclusively for private drones, but there are limitations due to security vulnerabilities and difficulties in travel distance. From the standpoint of industries, there is no problem if performance tests using various topographic conditions are conducted separately, but this study excluded the validity of private sites.
(source : SUMMARY 22p)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제 출 문 ... 3
- 목차 ... 4
- 표목차 ... 8
- 그림목차 ... 11
- 요 약 문 ... 16
- SUMMARY ... 21
- 제1장 서론 ... 26
- 제1절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26
- 1. 연구 필요성 ... 26
- 2. 연구 목적 ... 28
- 제2절 연구 범위 및 방법 ... 30
- 1. 연구 범위 ... 30
- 2. 연구 방법 ... 31
- 3. 연구수행방법 ... 33
- 제2장 드론 환경 및 동향 ... 35
- 제1절 드론 개요 및 종류 ... 35
- 1. 드론 개요 ... 35
- 2. 드론 정의 및 용어 ... 35
- 3. 드론 분류기준 ... 37
- 4. 드론 종류 ... 38
- 제2절 드론 산업과 환경 ... 39
- 1. 드론 산업 ... 39
- 2. 국내외 드론 시장 동향 ... 40
- 3. 드론 등록 및 항공법 위반 현황 ... 42
- 4. 드론 안전관리 ... 42
- 제3절 드론 특징 및 관련법 ... 43
- 1. 드론 조종원리 및 특징 ... 43
- 2. 드론 관련 법 규제 ... 45
- 3. 드론 비행금지구역 ... 49
- 제4절 드론 주파수 운영 및 기술 환경 ... 53
- 1. 드론 주파수 운용 및 식별 진폭 ... 53
- 2. 드론탐지레이다 주파수 이용 ... 54
- 3. 드론 기술의 발전방향 ... 56
- 4. 드론과 조종기 간 고려요소 ... 57
- 5. 시뮬레이션 환경 ... 59
- 제5절 드론 테러 공격 유형 ... 60
- 1. 드론 테러의 개념과 위협 ... 60
- 2. 최근 드론 테러 사례 ... 63
- 3. 테러의 위협대상인 국가중요시설 ... 68
- 제3장 안티드론시스템 ... 70
- 제1절 안티드론시스템 구성 ... 70
- 1. 안티드론시스템 개요 ... 70
- 2. 안티드론 시장 규모 ... 72
- 제2절 안티드론시스템 현황분석 ... 75
- 1. 산업현황 ... 75
- 2. 국내외 현황 ... 77
- 3. 탐지 및 식별 시스템 ... 79
- 4. 무력화 시스템 ... 87
- 제3절 국내외 안티드론시스템 구축 사례 ... 90
- 1. 영국 개트윅 공항 ... 90
- 2. 국내 공공기관 사례 ... 91
- 3. 원자력발전소 실증 시험 ... 93
- 제4절 드론 탐지, 식별, 무력화 기술 ... 97
- 1. 탐지 기술 ... 97
- 2. 식별 기술 ... 101
- 3. 무력화 기술 ... 102
- 제5절 안티드론시스템 대응책 마련 ... 105
- 1. 안티드론시스템 구축단계 ... 105
- 2. 불법드론 대응 시나리오 적용 방안 ... 108
- 3. 불법드론 대응 통합시스템 개발 ... 110
- 4. 위협수준에 따른 시스템 구분 ... 111
- 제4장 안티드론 야외시험장 타당성 분석 ... 113
- 제1절 계층분석(AHP)를 통한 산업체 요구사항 식별 ... 113
- 1. 요구사항 식별 ... 113
- 2. 대안에 대한 평가결과 분석 ... 119
- 제2절 드론방호체계의 기술적 요구사항 사례 ... 124
- 1. 세종청사 ... 124
- 2. 인천공항 ... 125
- 3. 항공안전기술원 ... 126
- 제3절 안티드론 성능분석 모의 시뮬레이션 사례 ... 129
- 제4절 국내 안티드론시스템 관련 산업 수준 ... 134
- 제5절 야외시험장 구축 요구사항 ... 137
- 1. 야외시험장 구축 필요사항 ... 137
- 2. 이착륙 장소, 영상관리, 전파방해 요소 등 ... 138
- 제6절 야외시험장 조건 분석 ... 142
- 1. 해외 드론 야외시험장 구축 사례 ... 142
- 2. 국내 드론 시험장 구축 사례(실외, 민간) ... 145
- 3. 국내 드론 시험장 구축 사례(실내) ... 147
- 제7절 야외시험장 가능 부지 선정 ... 149
- 1. 국가 관리 기반의 안티드론 시험장 도입 분석 ... 149
- 2. 민간 안티드론 시험장 도입 분석 ... 154
- 제8절 야외시험장 타당성 분석 ... 159
- 1. 이천 전파시험인증센터 ... 159
- 2. 광주 전파관리소 ... 167
- 제9절 야외시험장 공간구성 ... 170
- 1. 이천 전파시험인증센터 ... 170
- 2. 시험시설 구성 ... 173
- 3. 장비시설 구성 및 점검 내용 ... 175
- 4. 건축비용 추정 ... 182
- 5. 시설 구축 및 운영 소요 비용 ... 183
- 제10절 운영 인력 구성 ... 184
- 1. 시설 관리 및 전담 인력 구성 ... 184
- 2. 운영 방안 ... 184
- 제5장 소결론 ... 185
- 1. 부지 타당성 검토 ... 185
- 2. 안티드론시스템 야외시험장 구축 비용 ... 187
- 3. 시험 고려사항 ... 187
- 4. 현실적 제약사항 ... 188
- 제6장 전파차단장치 야외시험장 제안 ... 189
- 제7장 기대효과 ... 191
- 참고문헌 ... 192
- 끝페이지 ... 19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