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가R&D연구보고서] 200m급 목구조 대공간 건축물 건설 기술개발 기획
Development Planning of 200m-scale Wooden Large Space Structure Building Technology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기술교육대학교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연구책임자 이승재
참여연구자 이돈우 , 노승현 , 이경석 , 성종혁 , 소재민 , 이규민 , 김태연 , 김동현 , 김세은 , 동현석 , 정민영 , 하기주 , 이동렬 , 양승혁 , 조효식 , 하영주 , 이창희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24-08
과제시작연도 2023
주관부처 국토교통부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연구관리전문기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등록번호 TRKO202500000089
DB 구축일자 2025-03-26
키워드 목구조 대공간 건축물 재료.목구조 대공간 건축물 설계기술.목구조 대공간 건축물 시공 기술.목구조 대공간 건축물 친환경 기술.테스트베드.Material of Wooden Large Space Structure.Design Technology of Wooden Large Space Structure.Construction Technology of Wooden Large Space Structure.Eco-Friendly Technology of Wooden Large Space Structure.Test-bed.

초록

□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 최종 목표
2050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목재를 활용한 세계 최대 200미터급 목조 대공간 건축물의 재료·환경·설계·시공·유지관리 핵심기술개발 및 실증

◼ 전체 내용
1. 연구기획 개요
○ 전 세계 이상기온과 탄소 배출량의 관계
- 전 세계적으로 기온 상승 등의 이상기후로 인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고 있으며, 2023년 UNDRR(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의 의하면 이상기후의 약 75%가 탄소

목차 Contents

  • 표지 ... 1
  • 최종보고서 ... 2
  • 제출문 ... 4
  • 요약문 ... 5
  • 목차 ... 10
  • 1장. 기획연구과제의 개요 ... 14
  • 1절. 기획연구과제의 정의 및 범위 ... 14
  • 1. 기획연구과제의 정의 ... 14
  • 2. 기획연구과제의 적용 범위 ... 17
  • 2절. 추진배경 및 필요성 ... 18
  • 1. 추진배경 및 필요성 ... 18
  • 2. 사업추진의 시급성 ... 24
  • 3절. 기획 추진체계 ... 25
  • 1. 수행 체계 ... 25
  • 2. 추진 절차 ... 26
  • 3. 추진 경과 및 내용 ... 35
  • 2장. 기획연구과제의 수행 과정 및 수행 내용 ... 45
  • 1절. 정책적 환경분석 ... 45
  • 1. 국외 정책 동향 ... 45
  • 2. 국내 정책 동향 ... 48
  • 3. 결론 및 시사점 ... 54
  • 2절. 경제적 환경분석 ... 55
  • 1. 국외 시장현황 및 전망 ... 55
  • 2. 국내 시장현황 및 전망 ... 62
  • 3. 결론 및 시사점 ... 67
  • 3절. 기술적 환경분석 ... 68
  • 1. 국외 기술 동향 ... 68
  • 2. 국내 기술 동향 ... 104
  • 3. 결론 및 시사점 ... 113
  • 4절. 특허 및 연구 환경분석 ... 114
  • 1. 특허 환경분석 ... 114
  • 2. 연구 환경분석 ... 127
  • 3. 논문 환경분석 ... 135
  • 4. 결론 및 시사점 ... 150
  • 5절. 국내 인프라 환경분석 ... 152
  • 1. 연구기관 현황 ... 152
  • 2. 산업체 현황 ... 157
  • 3. 목조건축 교육 현황 ... 161
  • 4. 국내 산림자원 현황 ... 163
  • 5. 대공간 건축물 현황 (리모델링 관점) ... 169
  • 6. 결론 및 시사점 ... 172
  • 6절. 종합분석 ... 173
  • 1. SWOT 분석 ... 173
  • 2. SWOT 분석을 통한 전략 도출 ... 174
  • 3장. 신규 연구개발과제 구성 및 추진전략 ... 175
  • 1절. 비전 및 목표 ... 175
  • 2절. 연구개발과제 구성 ... 176
  • 1. 전문가 의견 조사 ... 176
  • 2. 기술수요조사 ... 177
  • 3. 연구개발과제 도출 ... 210
  • 3절. 핵심기술요소(CTE) 선정 및 기술성숙도(TRL) 목표 ... 212
  • 1. 핵심기술요소(CTE) 후보 기술 선정 ... 214
  • 2. 핵심기술요소(CTE) 선정 ... 217
  • 3. 기술성숙도(TRL) 단계별 목표 ... 221
  • 4. 단위 연구개발과제 도출 ... 222
  • 4절.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및 추진전략 ... 223
  • 1. 세부과제별 주요 내용 ... 223
  • 2. 예상 성과 및 목표 수준 ... 231
  • 3. 세부과제별 연계도 ... 235
  • 5절. 세부 및 연차별 기술로드맵 ... 236
  • 6절. 연구수행체계 제안 ... 241
  • 1. 연구수행체계 구성 개요 ... 241
  • 2. 연구수행 추진 절차 ... 243
  • 7절. 성과의 활용방안 ... 244
  • 4장. 인력투입계획 및 소요 예산 산정 ... 246
  • 1절. 연구 일정에 따른 인력투입계획 ... 246
  • 1. 전체사업 인력투입계획 ... 246
  • 2. 세부과제별 인력투입 ... 247
  • 2절. 소요예산 산정 ... 249
  • 1. 예산 산정방법 ... 249
  • 2. 전체사업 소요예산 ... 250
  • 3. 세부과제별 소요예산 ... 251
  • 5장. 파급효과 ... 255
  • 1절. 정책적 파급효과 ... 255
  • 2절. 사회적 파급효과 ... 256
  • 3절. 기술적 파급효과 ... 256
  • 4절. 경제적 파급효과 ... 257
  • 6장. 사전타당성 검토 ... 258
  • 1절. 정책적 타당성 ... 258
  • 1. 국가계획 부합성 ... 258
  • 2. 정부 관련부처 사업추진 의지 ... 259
  • 2절. 기술적 타당성 ... 262
  • 1. 문제 및 이슈 도출의 적절성 ... 262
  • 2. 기술개발 계획의 적절성 ... 263
  • 3. 추진전략의 적절성 ... 273
  • 3절. 경제적 타당성 ... 274
  • 1. 경제성 분석 방법 ... 274
  • 2. 분석 결과 ... 276
  • 4절. 참여의향서 ... 277
  • 7장. 과제 제안요구서(RFP) ... 280
  • 8장. 전략계획서 ... 292
  • 9장. 참고문헌 ... 321
  • 끝페이지 ... 324

표/그림 (155)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보고서

해당 보고서가 속한 카테고리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