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국가별 바이오연료 정책현황

2008-07-31

1. 개 요
○ 최근 기술발전으로 인한 바이오연료 생산 비용 절감 및 국제적인 고유가로 인해 바이오연료의 생산과 소비가 급격히 증가(’07년 세계 수송연료 소비의 1.8% 차지)
※ 바이오연료 : 동․식물 등 바이오매스(biomass)에서 추출되는 신재생에너지로서, 각각 경유와 휘발유를 대체할 수 있는 바이오디젤과 바이오에탄올이 대표적
○ 바이오연료가 온실가스 배출 감소, 에너지 안보 증진, 농촌지역의 소득 및 농산물의 새로운 시장 개척 등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어 각국에서는 바이오연료에 대한 지원정책 추진
- 지원정책은 ①예산상의 지원(바이오연료 생산자․판매자․사용자에 대한 세금 감면 또는 직접적인 보조금 부과), ②최소혼합비율 강제, ③수입 바이오연료에 대한 수입관세 부과 등의 유형

2. 주요 국가들의 바이오연료 관련 현황
○ 바이오연료 생산량 : 미국과 브라질이 전세계 생산량의 3분의 2 차지
- 미국에서 최근 조세유인을 통해 주로 옥수수를 원료로 한 바이오에탄올 생산량이 급증하여 브라질을 추월
- 독일, 프랑스가 바이오디젤의 최대 생산국이었으나, 미국이 최근독일 다음으로 바이오디젤을 많이 생산
- 그 외에도 중국과 인도가 바이오에탄올의 주요 생산국가로,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가 유럽 시장을 목표로 바이오디젤 프로그램에 착수

첨부파일 도표 참조-국가별 바이오연료 생산량(2007)
첨부파일 그림 참조-세계 바이오에텐올 생산량 추이(2000~2007)
첨부파일 그림 참조-세계 바이오디젤 생산량 추이(2000~2007)


○ 바이오연료 무역
- 브라질이 바이오에탄올의 최대 수출국이며, 미국은 최대 수입국
- 중국이 최근 바이오에탄올 수출국으로 부상하였으며, 상대국은 주로 한국과 일본
- 바이오디젤에 있어서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가 주요 수출국


첨부파일 그림 참조-바이오에탄올 국제 무역(2006)
첨부파일 그림 참조-바이오디젤 국제 무역(2007)



○ 국가별 바이오연료 지원정책























국가바이오연료 지원정책 주요내용
미국에너지부(DOE)에서 6개의 바이오에탄올 식물 프로젝트에 3억 8천 5백만달러 지원
∙휘발유와 혼합한 바이오에탄올 1리터당 0.135달러, 휘발유와 혼합한 바이오디젤 1리터당 0.264달러의 세금 혜택
∙“에너지독립 및 안보에 관한 법률(2007)”에서는 2022년까지 1,360억 리터의 재생에너지 사용을 목표로 설정
캐나다∙연방정부에서 2010년까지 휘발유에 최소한 5% 이상의 재생에너지를 혼합하도록 의무화
EU∙"2003 Biofuel Directive"에서 회원국들이 전체 수송연료 중 바이오연료 사용 비중을 규정(평균적으로 2010년까지 3.5%)하고 바이오연료 사용에 대해 조세감면을 허용하도록 법제화
일본∙교토의정서 이후 바이오연료 개발 및 사용을 추진-’07년도 예산 중 9,250만달러를 바이오연료 생산에 투자하는 한편, 바이오연료 수입 관세를 최근 27.2%에서 20.3%로 감소
브라질∙바이오연료에 대한 조세감면 실시
중국∙몇몇 대도시에서 바이오연료 혼합비율을 규정하고 있으며, ’06년 바이오에탄올 생산자에게 1년에 1억 8,800만 달러를 보조하는 한편, 소비세의 5%를 감면


○ 국가별 바이오연료 R&D
- 많은 국가들에서 바이오연료 관련 R&D에 대한 투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미국을 중심으로 짚이나 목재 등 ‘非식용’ 작물을 이용한 2세대 바이오연료 개발에 대한 관심과 투자 제고
첨부파일 그림 참조-바이오연료에 대한 정부 R&D 투자(2004~2006, 백만달러)


3. 우리나라 현황 및 시사점
○ 우리나라에서는 ‘88년부터 대체에너지개발촉진법에 따라 정부차원의 바이오연료 기술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














바이오에탄올바이오디젤
세계 대비 기술수준64.9%74.1%
국산화율64.6%77.1%
자료원 : 신재생에너지 RD&D 2030


- 바이오연료의 공급을 ’07년 34만 8천톤에서 ’08년 52만 1천톤으로 증가시킬 계획(지식경제부, ’08년도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실행계획)
○ 우리나라는 기후적 여건 및 농지의 협소함으로 인해 바이오연료 확대에 있어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 장기적으로 고유가 및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에너지원 다변화의 일환으로 바이오연료의 생산․보급을 확대할 필요
- 바이오연료 생산 비용 절감 및 연료의 효율성 향상 등을 위한 연구개발에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


※ 본 내용은 OECD의 보고서 「Economic Assessment of Biofuel Support Policies」를 바탕으로 한 것이며, 이 중 바이오연료 정책에 대한 경제성 분석은 특정 평가모델에 근거한 내용이어서 각국의 정책 현황을 중심으로 정리하였음
* 도표 등과 관련된 상세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 본 자료는 교육과학기술부 과학기술정보과와 KISTI 정보분석센터, KISTEP 혁신경제팀 및 기술예측센터 등에서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 것입니다.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