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U의 프로젝트 ‘PASTEUR4OA’, EU 회원국들의 오픈액세스 대응 상황에 관한 보고서 공개

PASTEUR4OA publishes EU Member State’s readiness for Open Access report

2015-09-03

지난 8월 19일 유럽의 오픈액세스와 오픈데이터 정책 발전의 촉진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인 PASTEUR4OA(Open Access Policy Alignment Strategies for European Union Research)에서 EU 각국의 오픈액세스 대응 상황에 관한 보고서 , “Assessing Readiness for Open Access Policy Implementation across Europe"를 공개했다. 본 보고서는 EU 각국의 오픈액세스 정책, 특히 유럽위원회(EC)가 지원하는 Horizon2020의 오픈액세스 정책에 대한 대응 상황을 평가하는 사례 연구를 제공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오픈액세스를 달성하기 위한 인프라에 관한 내용이다. 기반이 탄탄한 인프라는 성공적인 오픈액세스 정책의 전제조건이며 이는 주로 오픈액세스 정책에 따라 연구물을 연구정보 표준에 따라 파일링하는 콘텐츠 관리시스템의 네트워크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시스템들이 바로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이다. OpenDOAR 리포지터리 디렉토리에 따르면, 유럽에는 2014년 9월 기준으로 1,250여개의 리포지터리가 있는데 전세계 리포지터리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수량이다. 이는 DRIVER 프로젝트의 직접적인 결과이며 그 이후 OpenAIRE 프로젝트의 지속적인 작업의 영향이기도 하다. 이러한 인프라는 H2020 오픈액세스 정책 구현의 기반을 제공해 준다.

그 외에 Current Research Information Systems(이하 CRIS)도 오픈액세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시스템이다. CRIS는 표준에 따라 연구물들을 저장하는 대안 플랫폼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CRIS의 목표는 연구 기금, 연구 기관, 연구자 등과 같은 종합적인 연구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CRIS와 리포지터리의 상호운용성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특히 중부 및 동부 유럽지역에서는 CRIS-리포지터리 상호운용성을 구현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접근하고 있다.

제2장에서는 오픈액세스 정책 구현을 위한 추가적인 요소들을 제안하고 있다. 최상의 설계와 이용, 유지를 하고 있는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 네트워크의 가용성 외에 국가적 OpenAIRE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광범위한 연구결과물의 수집을 비롯하여 연구자 및 학자들의 인식제고에 효과적인 활동을 보장하는 관련 작업절차가 요구된다.

제3장에서는 오픈액세스 정책 구현에 필요한 준비사항들을 검토한 이후, 먼저 오픈액세스 구현 성공의 정도를 나누고, 다양한 국가들의 오픈액세스 현황이 소개된다. 첫 번째 상황으로는 오픈액세스 목적 달성 우선순위에 정책입안자, 자금제공자 및 기관을 두고 대학 및 연구기관에 구현을 위한 효과적인 조정기구와 조직이 존재하는 것으로써, 포르투갈, 네덜란드, 벨기에, 아일랜드, 그리고 영국과 독일의 일부 사례가 이에 해당된다. 두 번째 상황은 이용가능한 광범위 오픈액세스 리포지터리 네트워크는 있지만 조정기구는 없는 상황이다. 스페인과 이탈리아가 이러한 사례에 속한다. 마지막으로 비교적 저개발된 리포지터리 네트워크(특히 OpenAIRE과의 호환측면에서)를 보여주는 상황이다. 현재 대부분의 중부 및 동부 유럽권역의 국가들이 이에 속한다. 다음으로 독일, 프랑스, 오스트리아, 체코공화국, 에스토니아 등 각 국의 사례들을 간단히 소개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유럽 전역에서 오픈액세스 정책 구현하기 위해 어느 정도 준비가 되어 있는지를 평가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분석 결과 리포지터리와 같은 인프라가 부족하거나 사회 및 기술 조정 기구가 없음에도 성공적으로 오픈액세스 정책을 구현하고 있는 국가가 있는 반면 일부 국가는 이미 오픈액세스 정책을 성공적으로 적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오히려 현재 불안한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이에 대체 조정 기구와 CRIS, OpenAIRE 가이드 적용들을 효과적으로 적용함으로써 보다 단기간에 오픈액세스 정책 구현에 도달할 수 것이라고 제언하고 있다. 또한 OpenAIRE와 같은 유럽 프로젝트는 국가의 리포지터리 및 오픈액세스 구현과 관련한 지침들을 조화롭게 융합될 수 있도록 중요한 역할을 해왔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남아있는 미비점들을 PASTEUR4OA가 이를 충족시켜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이고 있다.

관련 콘텐츠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