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을타는 남자, 호르몬에 담긴 비밀

2010-08-23

위 시는 전재승 시인이 쓴 ‘가을ll’의 일부분이다. 이 시를 읽고 있노라면 고개가 절로 끄덕여진다. 가을하면 떠오르는 낙엽 사이를 거닐며 책을 읽는 우수에 찬 남자의 모습.
지난 7일, 입추가 지났다. 시끄럽던 매미소리 대신 밤이 되면 귀뚜라미 소리가 들리기 시작했다. 흔히 가을은 ‘남자의 계절’이라 부른다. 유독 가을이 되면 남성들이 여성보다 더 감성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왜 남자가 여자보다 더 가을을 타는 것일까? 그 답은 호르몬에서 찾을 수 있다.


‘멜라토닌 증가’가 기분 울적하게 만들어

가을을 타게 하는 일차적 원인은 일조량에 있다. 가을이 되면 낮의 길이가 짧아지고 밤의 길이가 길어지면서 사람이 햇빛을 받을 수 있는 양인 일조량이 줄어든다. 일조량은 다양한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주는데 그 중 가을을 타게 하는 주범인 ‘멜라토닌’ 분비에도 관여하게 된다.
멜라토닌(melatonin)은 뇌에 일부인 송과선(松果腺, pineal gland)에서 생성되는 신경전달물질로 빛을 감지해 우리 몸의 생체시계(bio-clock)역할을 한다. 여기서 생체시계란 사람의 다양한 생리, 대사, 수면패턴, 여성의 월경 등의 주기적 리듬을 조절하는 몸 속 시계를 말한다.
멜라토닌은 빛의 양과 관계가 있으며 광(光)주기를 이용해 수면패턴에 영향을 준다. 이 호르몬은 빛의 양이 적을수록 분비량이 많아진다. 빛이 적은 밤에는 많은 양이 분비돼 잠을 유도하고, 빛이 많은 아침에는 급격히 줄어들어 잠에서 깨도록 하는 것이다. 또 혈압을 내리고 심박수를 낮추는 등 흥분을 가라앉혀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숙면을 도와 수면보조제로 이용되기도 한다. 즉 멜라토닌이 증가하면 사람의 기분은 가라앉게 되는 것이다.
가을이 되면 멜라토닌의 양은 남·녀 상관없이 증가한다. 그런데 유독 남자가 더 가을을 타는 이유는 멜라토닌 특성 자체가 여성의 신체리듬에 별다른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남성의 생체시계는 가을에 맞춰져 있어 이 시기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이다.


‘성호르몬 증가’로 봄 타는 여자

가을이 ‘남자의 계절’이었다면, 봄은 ‘여자의 계절’이다. 지난 2008년 4월, 온라인 취업사이트 사람인(www.saramin.co.kr)이 자사회원인 20~30대 성인남녀 1,215명을 대상으로 한 ‘현재 봄을 타고 있습니까?’라는 설문조사 결과, 여성이 79.3%로 남성(54.3%)보다 훨씬 많았다. 그러면 왜 봄은 여자가 더 타는 것일까?
봄이 되면 일조량이 늘어나고 기온이 상승하면서 멜라토닌의 분비가 감소한다. 이때 갑작스런 일조량의 변화는 멜라토닌의 불균형을 초래해 신체리듬에 영향을 준다. 봄에 춘곤증과 피로감을 느끼는 것도 이 때문이다.
그러나 봄 타는 것의 원인은 멜라토닌의 영향보다는 여성이 남성보다 시각, 후각이 더 발달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여성은 남성보다 후각이 민감하다. 냄새는 후각신경을 거쳐 뇌의 변연계라는 곳에 직접 전달된다. 변연계(limbic system)란 대뇌반구의 안쪽과 밑면에 존재하며 체온, 혈압, 호르몬분비 등 항상성 유지와 기억, 감정을 담당하는 곳이다.
봄이 되면 꽃향기가 그윽하다. 이때 봄 냄새는 후각신경을 거쳐 변연계를 자극하고 변연계는 성호르몬의 분비를 촉진시키게 된다. 이때 분비되는 성호르몬은 사람의 기분에 영향을 준다. 즉 냄새가 변연계에 도달하면 성호르몬이 분비되고 이 호르몬이 여성의 기분을 들뜨게 만드는 것이다. 생리 전 여성의 감정기복이 심한 것도 여성호르몬의 작용 때문이다.
시각적으론 주위환경의 색이 화사해지고, 햇빛의 양이 많아지면 뇌의 기능이 활성화 돼 호르몬 분비에 영향을 주게 되는 것이다.


사랑의 묘약 ‘페닐에틸아민’

어느덧 한해의 3분의 2가 지나갔다. 아직 사랑하는 사람을 만나지 못했는가. 그렇다면 ‘페닐에틸아민(phenylethylamine, PEA)’ 을 이용해보자.

페닐에틸아민(이하 PEA)은 뇌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중추신경과 교감신경을 흥분시키는 각성제인 암페타민(amphetamine)과 유사하다. PEA는 사람의 기분을 로맨틱하게 만들어줘 ‘사랑호르몬’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뇌에서 이것이 부족하면 우울증에 걸릴 수 있으며, 현재 우울증 치료제에 사용되고 있다.
PEA는 사랑을 고백할 때 많이 쓰이는 초콜릿에 들어있다. 그래서 보통 초콜릿을 먹으면 기분이 좋아지는 것이다. 그 외에는 PEA를 직접 음식으로 섭취할 수 없다. 대신 단백질이 풍부한 육류와 콩에는 체내에서 PEA로 전환되는 ‘페닐알라닌’이란 아미노산이 포함돼있다. 그래서 몸속에 PEA대신 페닐알라닌이 들어있는 고기와 콩을 섭취해도 된다.
올 가을, 사랑을 고백하고 싶다면 멜라토닌으로 뒤숭숭해진 이성과 고기와 초콜릿을 먹어보는 건 어떨까.

관련 콘텐츠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