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소재 탄소나노튜브 컴퓨터 세계 최초 개발

2013-09-27

미국 스탠퍼드대 연구진이 ‘꿈의 신소재’ 탄소나노튜브(CNT)로 이뤄진 컴퓨터 칩을 처음으로 개발했다.
CNT 칩은 현재 널리 쓰이는 실리콘 칩이 지닌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는 차세대 소자가 되리라고 점쳐져 왔으나, 실제로 이를 이용해 작동하는 컴퓨터가 만들어진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스탠퍼드대 수브하시시 미트라 교수와 필립 웡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25일(현지시간) 과학 학술지 ‘네이처’에 이런 내용의 연구 결과를 온라인으로 발표했다. 이 논문은 26일자로 발간될 종이 학술지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될 예정이다.
연구진은 수만개의 CNT로 178개의 트랜지스터를 지닌 칩을 만들었는데, 이는 실리콘 칩 초기인 1950년대의 컴퓨터와 비슷한 수준이다.
이들은 이런 개별 칩을 985개 모아 칩 기판에 심는 데 성공했으며, 이를 이용해 20개의 서로 다른 명령어를 구현함으로써 CNT 칩으로 컴퓨터를 만들었음을 보였다.
연구 단계의 컴퓨터이므로 성능은 보잘것없다. 요즘 나오는 상용 실리콘 칩이 엄지손톱만한 크기에 20억 개의 트랜지스터를 집적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현격히 뒤진다.
논문의 제1저자 겸 교신저자인 박사과정생 맥스 슐레이커는 “이 컴퓨터에서 64비트 윈도를 돌리는 것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그럴 경우 수백만년 걸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단 연구실 수준에서 최초로 실제 컴퓨터를 만들 수 있음을 보였다는 점 자체에 매우 큰 의미가 있다.
CNT로 트랜지스터가 만들어진 것은 1998년이지만, 이를 회로로 만들고 집적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일이 쉽지 않아 기술 진척이 매우 더디게 이뤄져 왔다.
그러나 이번에 CNT만을 이용해 만든 컴퓨터 실물이 만들어짐에 따라, 진공관에 이어 실리콘의 시대도 결국 저물고 탄소나노튜브 시대가 개막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