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루투스 부활시킨 ‘비콘’

2015-07-20

한때 각광받던 블루투스(Bluetooth) 기술은 와이파이의 확산과 4세대 이동통신의 요금 인하로 사람들로부터 잊혀지는 듯했다. 하지만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아 비콘과 결합하면서, 블루투스는 이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결하는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에 꼭 필요한 기술이 되었다.
사물인터넷 시대에서 몰락하던 블루투스 기술을 부활시킨 것은 바로 ‘비콘’(Beacon)이다. 비콘은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 장치를 말하며, 최대 70m 이내의 장치들과 교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애초에 사물인터넷 시대를 이끌 기술로 근접무선방식(NFC)이 각광받았지만, 10cm 미만의 거리에 적용되며 태그를 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사용자들이 외면하기 시작했다. 그래서 주목받은 것이 바로 직접 태그하지 않고 멀리서도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다.
하지만 사물인터넷 시대에 들어 비콘은 조금 다르게 사용되기 시작했다. O2O 서비스가 시작되면서부터 거리는 멀지만 정확하게 사용자에게 정보를 전하는 기술이 필요했다. 그래서 시작된 것이 바로 비콘이다.
비콘을 이용하면 특정 장소에서 안내 서비스나 모바일 쿠폰을 이용할 수 있다. 일부 대형마트에서 위치정보에 동의하고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이용자 주변에 있는 물건과 관련된 쿠폰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바로 대표적인 사례다. 근거리 마케팅의 한 방법이다.
비콘의 사용처는 사실 무궁무진하다.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것은 ’무선 결제’와 관련된 분야이다. 기존의 모바일 결제는 전자상거래에 특화되어 있었다. 비콘은 오프라인 매장의 결제 방식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산대 앞에 줄서지 않아도 쇼핑백에 넣고 매장을 나가는 것만으로도 결제가 될 수 있다.

정확한 위치 파악 가능, 개인정보 수집 우려

비콘은 NFC보다 가용거리가 길지만, 5~10cm 단위의 구별이 가능할 정도로 정확성이 높다. 위성통신으로 실외에서만 가능한 GPS 기술에 비해, 실내에서는 GPS보다 정교한 위치 파악이 가능하다. 이는 비콘 만이 가지고 있는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무엇보다 경제성과 효율성이 크다. 개당 가격은 2만원에 불과하며, 크기도 작은 편이다. 뿐만 아니라 저전력으로 스마트폰의 배터리 소모량도 적다. 이러한 경제성과 효율성을 바탕으로 사물인터넷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있어 기본이 되고 있다.
비콘 역시 단점은 있다. 스마트폰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개인정보 수집에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사용자의 동의 없이 비콘을 사용하게 되고, 이러한 특성으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스팸을 받을 수도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비콘에 기반을 둔 위치서비스의 세계 시장 규모를 2018년 2억 1670만 달러로 예상하고 있다. 2013년 3170만 달러로 예상했던 것보다 7배 가량 급증한 규모이다.  (관련링크)

비콘으로 국립수목원 나무와도 대화

비콘에 기반을 둔 위치서비스의 시장 규모가 커지자 정부도 이를 적극 활용할 예정이다. 경기도 포천에 위치한 국립수목원에서 시행되는 시범사업은 비콘을 통해 주변에 있는 생물정보와 관람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국립수목원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스마트폰을 통해서 수목원 내에 있는 다양한 식물에 대한 관람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방법은 간단하다. 수목원에 입장할 때,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동시에 스마트폰의 블루투스 기능을 활성화하면 된다.
이 기능이 활성화되면 주변에 설치된 비콘이 스마트폰을 자동으로 인식, 수목원 내에 있는 산림생물과 희귀식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스탬프, 이동경로에 따른 산소 소모량 제공 등 여러 기능이 제공될 것으로 보인다.
사실 이미 비콘은 외국에서 활용되기 시작했다. 2013년 6월 애플은 ‘월드 와이드 개발자 컨퍼런스’(WWDC)를 통해 ‘아이비콘’이라는 애플의 비콘 서비스를 발표하기도 했다. 아이비콘을 이용한 신용카드 결제 시스템을 언급했고, 이는 단번에 안드로이드의 NFC와 비교되는 기술로 떠올랐다. (관련링크)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문제점이 남아있지만, 비콘은 경제성과 효율성이 좋다는 장점을 가지고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앞으로 사물인터넷 인프라의 구축이 중요한 시대에서 비콘의 활용도는 더욱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