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억은 어디에 쌓일까”, 기억저장 시냅스 발견

2018-04-27

며칠 전 유명 ‘맛집’서 점심을 먹은 일, 친구와 만나 나눈 이야기 등 삶의 매 순간은 머릿속에 사진처럼 남는다. 이런 소중한 기억들은 뇌 속 어디에 저장되는 걸까. 1949년 캐나다의 심리학자인 도널드 헵 박사는 신경세포의 연결지점인 ‘시냅스’에 기억이 저장된다는 가설을 제안했다.
지금껏 기술적인 한계로 이 가설을 아무도 입증하지 못했는데, 최근 서울대 연구진이 이를 실험으로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강봉균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동물 실험을 통해 기억이 저장되는 시냅스를 찾았다고 27일 밝혔다. 약 70년간 유지됐던 가설을 실험으로 확인해낸 것이다.
연구진이 이런 ‘기억저장 시냅스’를 찾을 수 있었던 건, 신경세포 한 개에 있는 시냅스를 종류별로 구분할 수 있는 기술(dual-eGRASP)을 개발한 덕분이다.
이 기술은 형광 표식을 이용해 시냅스를 색으로 구분하는 것이다. 가령 종류가 다른 시냅스를 각각 청록색과 노란색 형광으로 표시하면, 현미경으로 관찰할 때 쉽게 구별할 수 있다.
연구진은 쥐의 뇌를 이루는 세포에 이 기술을 적용했다. 기억 담당 부위인 해마 속 신경세포의 시냅스를 관찰한 결과, 기억이 생성될 때 ‘엔그램 세포’(engram cells) 간 시냅스의 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 세포 수상돌기의 가시 크기가 증가하는 등 구조 변화도 확인됐다.
강봉균 교수는 “한 신경세포의 시냅스를 구분할 수 있는 신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기억이 어디에 저장되는지 그 위치를 규명했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이어 “이번 연구는 치매,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등 기억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데도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의 지원으로 수행했으며, 연구 결과는 이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실렸다.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