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기술 개발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해야”

2020-12-23

국내 과학기술 성과를 조망하고, 전문가가 모여 과학기술 미래를 조망하는 ‘2020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이 지난 22일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둘째 날인 23일에는 녹색기술을 주제로 ‘그린포럼’ 행사가 진행됐다.

기후 대응을 위해서는 ‘신기술’ 개발이 중요

정병기 녹색기술센터(GTC) 소장은 개회사를 통해 국내 그린뉴딜 추진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리고 기조연설에 나선 잉거 앤더슨(Inger Anderson) 유엔환경계획(UNEP) 사무총장인은 ‘녹색회복(Green Recovery)’을 강조하면서 국내 정부의 그린뉴딜 정책의 바람직함을 언급했다.
앤더슨 사무총장은 녹색회복을 위한 전략으로 가장 먼저 ‘기술투자’를 언급했다. 특히 전력 절감을 위한 기술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전력 사용이 탄소배출량과 큰 상관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기차, 고효율가전기기, 스마트그리트, 친환경건축물 등에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는데, 국내의 경우에는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부분과 고효율가전기기 부분에서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리고 앤더슨 사무총장은 덜 알려진 기후 대응 기술 투자가 필요하다는 말을 전하며, 중앙발전소로부터 설치된 파이프의 기술 개발로 인한 냉난방 효율 개선을 예로 들었다. 앤더슨 사무총장의 말에 따르면 집단에너지인시티이니셔티브(District Energies in Cities Iniative)라는 과제가 이러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향후 20년동안 1800만톤의 탄소배출이 절감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어서 맨자나레스 부사무총장이 기조연설을 이어갔다. 맨자나레스또한 서두에 ‘신기술’을 강조했는데, 기술개발을 통해 탄소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신재생에너지 투자, 에너지효율화시스템 등으로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자비어 맨자나레스(Javier Manzanares) 녹색기후기금(GCF) 부사무총장은 기후변화 대응 기술개발은 2015년 파리협약에 따른 지구 평균기온을 1.5도 제한을 이행하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맨나나레스 부사무총장은 자신이 속한 GCF의 역할을 소개됐다. 대표적인 예로 칠레에서 추진 중인 ‘타라파카의 거울(Espejo de Tarapaca)’를 소개했다. 타라파카의 거울은 세계 최대 규모인 수력발전소를 건설하는 프로젝트로, 수력 발전소 외에도 561메가와트 규모의 태양광발전과 300메가와트 규모의 양수발전이 건설되고 있다.
유영숙 기후변화센터 이사장은 기조연설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 전략으로 세 가지를 언급했다. 첫째는 재정지원을 통한 기후기술 협력 강화이다. 둘째는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활용한 기술기술 협력 강화이다. 여기서 유 이사장은 중앙정부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 또한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국가, 지자체, 산학, 기업 등의 협력체계도 함께 언급했다.
셋째는 정보통신기술(ICT) 활용이다. ICT 기술을 기후 대응기술에 접목할 뿐만 아니라, ICT 기반의 비대면교육으로 기후 대응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술 선도국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 기술 협력 이뤄야 해

기조연설에 이어 주제발표가 진행됐다. 총 4명의 연사가 나와 주제발표를 진행했다.
김형주 녹색기술센터 선임부장은 ‘탄소중립과 녹색경제성장을 위한 신 기후기술 협력 패러다임’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선임부장은 기후 대응 기술개발 추진방안으로 4가지를 강조했다. 첫째는 기술 수요분석과 매칭 체계화이다. 기술수요국가의 필요기술을 명확히 이해하고, 보유기술국가의 기술을 명확히 분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둘째는 기후기술 융복합이다. 기술, 정책 그리고 재정 등이 융복합을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셋째는 기후 대응사업 추진을 위한 재정지원을 체계화하는 것이다. 끝으로 기후 대응을 위한 디지털 플랫폼 구축이다.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국가기후기술정보시스템의 운영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발표자로 나선 로즈 므웨바자(Rose Mwebaza) 기술기후협력센터·네트워크(CTCN) 국장은 ‘기후기술 혁신을 위한 CTCN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기술혁신을 위해서는 체계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네 가지 오픈 모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모델로는 오픈 협력체계, 기술 지원을 위한 열린 수용 체계, 열린 기술이전 및 재정지원, 대중을 위한 오픈 정보 등이다.
세 번째 발표자로 나선 디트레에프 스프린즈(Detlef F. Sprinz) 포츠담기후영향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장기 기후 정책을 위한 기후클럽’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스프린즈 책임연구원은 기후클럽을 조성해 기술협력체계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지막 발표로 나선 박형건 녹색기후기금(GCF) 팀장은 ‘기후기술 재정지원’을 주제로 발표했다. GCF에서는 3가지 재정 지원체계를 가지고 지원하고 있다. 사업준비지원(Readiness), 사업수행준비지원(Project Preparation Facility) 그리고 재정지원 제안((Funding Proposal)이 이에 해당한다.
여러 사례가 소개됐는데, 이 중 박 팀장은 케냐와 르완다의 신재생에너지 구축 사업을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2500억 달러의 자금이 투자됐는데, 150만 상당의 이산화탄소가 절감될 것으로 분석된다.

관련 콘텐츠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