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경상분지 북부에 분포하는 온정리 화강암에 대한 암석화학적, 동위원소 지구화학적 연구 : 경상분지 다른 지역과 서남 일본 내대에 분포하는 백악기-제 3기 화강암류와의 비교 고찰 Geochemical and Isotopic Study of the Onjeongri Granite in the Northern Gyeongsang Basin, Korea : Comparison with Cretaceous to Tertiary Granitic Rocks in the Other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and the Inner Zone of Southwest Japan원문보기
경상분지 북부에 위치한 온정리 화강암의 암석화학적, 동위원소 지구화학적 특징으로부터 암체의 성인과 기원물질의 특징 등을 고찰하였다. 온정리 화강암의 연대에 대해 선백악기, 또는 백악기라는 상반된 견해가 있었으나 야외지질학적인 특징과 K-Ar 자료로 볼 때 백악기 말(87 Ma 내외)로 판단된다. 각섬석 지압계를 적용시켜 보았을 때 온정리 화강암의 정치 압력은 2 kbar 이하로 계산된다. 온정리 화강암의 암석화학적, 동위원소적 특징은 비교적 미 성숙된 호 환경에서 생성되었음을 지시한다. 온정리 화강암의 $SiO_2$ 함량과 $^{87}Sr/^{86}Sr$ 초기치는 부(-)의 직선관계를 잘 보이며 $^{207}Pb/^{204}Pb$ 초기치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두 단성분 사이의 불완전한 혼합, 또는 동화작용의 가능성을 지시한다. 그러나 현재 노출되어 있는 암체 중 오염체로 고려할 만한 단성분을 찾기는 어려우며 따라서 혼합이나 동화 작용을 일으킨 오염체가 하부지각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다. 경상분지 내에 분포하는 백악기-제 3기 화강암의 연대와 지화학적, 동위원소적 특징을 정리하고 온정리 화강암의 특징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이 얻어진다. 1) 화강암류의 연대는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경향성을 보여 경상 분지에서의 백악기 이후 화성 활동이 불연속적인 사건에 의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2) 화강암류는 젊은(9억년 이내) 하부지각에서 유래되었으며 그 동위원소적 특징은 기원물질의 불균질성을 반영한다고 보아진다. 전반적으로 경상분지 화강암류의 동위원소적 특징과 화학조성은 상부지각 혼염에 의해 조화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3) 경상분지 화강암류의 암상과 연대, 그리고 동위원소적 특징은 서남 일본 산인 벨트에 분포하는 화강암의 특징과 잘 일치한다. 4) 온정리 화강암의 Sr-Nd 동위원소비는 경상분지와 서남일본 내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이후 암체 중 비교적 초생적인 영역에 해당된다.
경상분지 북부에 위치한 온정리 화강암의 암석화학적, 동위원소 지구화학적 특징으로부터 암체의 성인과 기원물질의 특징 등을 고찰하였다. 온정리 화강암의 연대에 대해 선백악기, 또는 백악기라는 상반된 견해가 있었으나 야외지질학적인 특징과 K-Ar 자료로 볼 때 백악기 말(87 Ma 내외)로 판단된다. 각섬석 지압계를 적용시켜 보았을 때 온정리 화강암의 정치 압력은 2 kbar 이하로 계산된다. 온정리 화강암의 암석화학적, 동위원소적 특징은 비교적 미 성숙된 호 환경에서 생성되었음을 지시한다. 온정리 화강암의 $SiO_2$ 함량과 $^{87}Sr/^{86}Sr$ 초기치는 부(-)의 직선관계를 잘 보이며 $^{207}Pb/^{204}Pb$ 초기치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두 단성분 사이의 불완전한 혼합, 또는 동화작용의 가능성을 지시한다. 그러나 현재 노출되어 있는 암체 중 오염체로 고려할 만한 단성분을 찾기는 어려우며 따라서 혼합이나 동화 작용을 일으킨 오염체가 하부지각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다. 경상분지 내에 분포하는 백악기-제 3기 화강암의 연대와 지화학적, 동위원소적 특징을 정리하고 온정리 화강암의 특징과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이 얻어진다. 1) 화강암류의 연대는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경향성을 보여 경상 분지에서의 백악기 이후 화성 활동이 불연속적인 사건에 의해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2) 화강암류는 젊은(9억년 이내) 하부지각에서 유래되었으며 그 동위원소적 특징은 기원물질의 불균질성을 반영한다고 보아진다. 전반적으로 경상분지 화강암류의 동위원소적 특징과 화학조성은 상부지각 혼염에 의해 조화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3) 경상분지 화강암류의 암상과 연대, 그리고 동위원소적 특징은 서남 일본 산인 벨트에 분포하는 화강암의 특징과 잘 일치한다. 4) 온정리 화강암의 Sr-Nd 동위원소비는 경상분지와 서남일본 내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이후 암체 중 비교적 초생적인 영역에 해당된다.
We analyzed geochemical and radiogenic isotope data to investigate the genesis and source characteristics of the Onjeongri granit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Field observation and K-Ar ages confirm late Cretaceous intrusion (ca. 87 Ma) of the Onjeongri granite. The hornblende geob...
We analyzed geochemical and radiogenic isotope data to investigate the genesis and source characteristics of the Onjeongri granit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Field observation and K-Ar ages confirm late Cretaceous intrusion (ca. 87 Ma) of the Onjeongri granite. The hornblende geobarometery gives less than 2 kbar for the emplacement pressure of the Onjeongri granite. Geochemical and isotopic compositions suggest that the Onjeongri granite was formed in a relatively immature arc system. $SiO_2$ contents show a negative linear relationship with initial $^{87}Sr/^{86}Sr$ ratios, and an apparent positive correlation with $^{207}Pb/^{204}Pb$ ratios, suggesting an incomplete mixing or assimilation. However, the isotopic data known for any exposed rocks of the study area do not fit as an endmember, implying that the contaminant might reside in the lower crust. A review of published isotopic ages, geochemical, and Sr and Nd isotopic data for the Cretaceous to Tertiary granites in the Gyeongsang Basin indicates the followings. 1) Granitic magmatism in the Gyeongsang Basin were episodic. 2) Granitic rocks in the basin were derived from young (< 0.9 Ga) lower crust, and their isotopic signatures reflect heterogeneous source region. Geochemical and isotopic signatures of granitic rocks in the basin are difficult to explain by upper crustal contamination. 3) Granites in the Gyeongsang Basin have closely related to those in the San in Belt of the Inner Zone of Southwest Japan in terms of age, petrography, and isotopic and geochemical composition. 4) Sr-Nd isotopic signatures of the Onjeongri granite are relatively primitive compared with granitic rocks in the other parts of the Gyeongsang Basin and in the Inner Zone of Southwest Japan.
We analyzed geochemical and radiogenic isotope data to investigate the genesis and source characteristics of the Onjeongri granite in the northern part of the Gyeongsang Basin. Field observation and K-Ar ages confirm late Cretaceous intrusion (ca. 87 Ma) of the Onjeongri granite. The hornblende geobarometery gives less than 2 kbar for the emplacement pressure of the Onjeongri granite. Geochemical and isotopic compositions suggest that the Onjeongri granite was formed in a relatively immature arc system. $SiO_2$ contents show a negative linear relationship with initial $^{87}Sr/^{86}Sr$ ratios, and an apparent positive correlation with $^{207}Pb/^{204}Pb$ ratios, suggesting an incomplete mixing or assimilation. However, the isotopic data known for any exposed rocks of the study area do not fit as an endmember, implying that the contaminant might reside in the lower crust. A review of published isotopic ages, geochemical, and Sr and Nd isotopic data for the Cretaceous to Tertiary granites in the Gyeongsang Basin indicates the followings. 1) Granitic magmatism in the Gyeongsang Basin were episodic. 2) Granitic rocks in the basin were derived from young (< 0.9 Ga) lower crust, and their isotopic signatures reflect heterogeneous source region. Geochemical and isotopic signatures of granitic rocks in the basin are difficult to explain by upper crustal contamination. 3) Granites in the Gyeongsang Basin have closely related to those in the San in Belt of the Inner Zone of Southwest Japan in terms of age, petrography, and isotopic and geochemical composition. 4) Sr-Nd isotopic signatures of the Onjeongri granite are relatively primitive compared with granitic rocks in the other parts of the Gyeongsang Basin and in the Inner Zone of Southwest Japa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