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수십년 사이 우리나라 근해에서는 지각운동이 활발해져 해저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 서해안에는 향후 지진 발생 가능성이 큰 지진공백역이 존재하여 우리나라 동해안은 지진해일에 안전한 지역으로 볼 수 없다. 실제로 우리나라는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한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과 1993년 북해도 남서 외해 지진해일에 의해 동해안 일부 지역이 비교적 큰 피해를 입었다. 이처럼 국내에서도 지진해일 방재대책 수립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현재 우리나라의 지진 해일 재해대책은 재해예방보다는 재해가 발생한 후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 중점을 두고 있어 지진해일 발생 시 피해를 경감시키는데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 방재대책 중에서 가장 효율적인 예방대책으로 알려진 지진해일 재해정보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임원항을 대상으로 피해 현장조사와 대피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피소, 최적 대피경로 및 대응방법 등의 방재정보를 수립하고 범람 수치모의를 통해 최대 침수예상지역을 예측하여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제작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ocean area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the undersea earthquakes have occurred frequently during last decades. The ea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very vulnerable to tsunami attacks which occur along the Western Coast of Japan. In special, the middle areas of the eastern coast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지진해일 방재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었던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임원항을 대상으로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제작하였다. 먼저 피해 현장조사를 통해 대피소, 최적 대피경로 및 대응방법 등의 방재정보를 수립하고 대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인명피해를 예측하였으며 범람 수치모의를 통해 최대 침수예상지역을 예측하여 제작하였다.
  • 지역적인 특성에 따라 과학적으로 제작된 재해정보도는 지진해일이나 폭풍해일 등의 재난에 대한 피해를 예방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서해에서 생성된 지진해일의 내습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던 임원지역에 대해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를 제작하였다. 지진해일 재해지도 제작을 위해 먼저 임원항에 대한 피해 현장조사를 통해 대피 경로 및 대피소 위치 지정, 지역 주민 데이터 등 방재정보를 구축하고 대피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대피소요 시간과 인명 피해 규모를 예측하였다.
  • 지진해일 발생 시 안전한 대피를 위해 지진해일 처오름높이에 따른 최대범람역의 설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정보도의 최대범람역 설정을 위해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로 큰 피해를 입었던 임원항에 대하여 범람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1964년 니이가타 지진해일,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 및 1993년 북해도 남서 외해 지진해일에 대해서 범람 수치모의를 수행하였으며, 일본 지진조사 위원회에서 제공한 30년 발생가능 지진역의 위치로부터 선정된 11개의 발생원에 대한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 지진해일 재해정보도는 침수피해 가능범위를 예측하여 제작된 침수예상도 상에 대피소, 대피 경로 및 비상연락망 등의 방재정보를 기입한 지도로 재해 발생 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가설 설정

  • 첫 번째는 모든 주민이 대피소 위치에 대해 확실히 인지하고 있고 대피 훈련을 통해 이동 경로를 확실히 숙지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하여 주민들이 최단 경로를 통해 최단 시간 안에 대피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두 번째는 대피소 위치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부족하고 대피 훈련이 이루어지지 않아 대피소 이동경로를 숙지하지 못한 주민이 많이 존재하는 상황을 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임시대피소를 두지 않고 지정 대피소(임원중학교)만 존재하도록 설정하였다.
  • 지진해일이 도달하였을 경우 대피 상황 시나리오로 총 세 가지 상황을 가정하여 모의하였다. 첫 번째는 모든 주민이 대피소 위치에 대해 확실히 인지하고 있고 대피 훈련을 통해 이동 경로를 확실히 숙지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하여 주민들이 최단 경로를 통해 최단 시간 안에 대피소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3가지의 대피 가상시나리오에 대한 시뮬레이션의 결과로 알게 된 인명피해 발생에 큰 변수로 작용한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시나리오 2와 3의 경우에는 주민들 중 일부가 위험지역을 벗어나지 못하여 범람으로 인해 사망하는 결과가 발생하였다. 이를 통해 대피 경로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와 임시대피소의 유무여부가 인명피해 발생에 큰 변수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과거 지진해일과 가상 발생원에 대한 범람 수치모의를 통해 최대 침수예상도를 작성하였고 대피모형과 범람모형을 동일한 격자망으로 구성하고, 시간간격을 정확하게 일치시켜 기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으로 대피 시뮬레이션과 범람 수치모형을 동적 연결하여 정확도 높은 대피 상황을 예측하였다.
대부분의 지진해일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지진해일은 해저지진, 해저붕괴, 해저 화산분출 및 해저 핵실험 등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지진해일은 해저지진에 의하여 발생한다. 지진해일은 해안선에 접근할수록 파고는 증가하고 파장이 감소하여 항구나 만에서 상당한 크기의 처오름높이를 발생시켜 해안지역을 침수시킬 뿐만 아니라 해안 시설물에 심각한 피해를 끼칠 수 있다.
지진해일 가상 시나리오에 관해 설명하시오. 대피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먼저 임원항에 대한 지진해일 가상 시나리오를 작성해야 한다. 지진해일 가상 시나리오란 지진해일의 발생과 그에 따른 피해규모 및 방재계획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지역 주민들의 대피개시 시각, 대피 수단, 대피 경로, 대피소 개수 및 위치, 지역 주민들의 나이 및 건강상태, 지리인지도, 방재용 기자재 및 요원의 배치계획, 대피 유도인원 배치계획, 응급활동인원 동원계획, 정보전달 방법 및 시기 등이 포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Cho, Y.-S., Sohn, D.-H. and Lee, S.-O. (2007) Practical modified scheme of linear shallow-water equations for distant propagation of tsunamis. Ocean Engineering, Vol. 34, No. 8, pp.1769-1777. 

  2. Kajiura, K. and Shuto, N. (1990) Tsunami. The Sea, Edited by B. Le Mehaute and D.M. Hanes, Vol. 9, Part B, John Wiley & Sons, Inc., pp.395-420. 

  3. Liu, P.L.-F., Cho, Y.-S., Yoon, S.-B. and Seo, S.-N. (1994)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1960 Chilean tsunami propagation and inundation at Hilo. Hawaii. Recent Development in Tsunami Research, Edited by M.I. El-Sabh. Kluwer Academic Publishers. 

  4. Lim, C.-H., Bae, J.-S., Jeon, Y.-J. and Yoon, S.-B. (2007) Grid nesting for dispersion-correction finite difference model for tsunami simulation. Proceedings of 32nd Congress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Hydraulic Engineering and Research, Venice, Italy. 

  5. Park, D.-H., Cho, Y.-S., Kim, S.-M. (2007) Simulation of Inundation at Imwon Port during 1983 Central East Sea Tsunami.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pecial Issue 50, pp.1168-1172. 

  6. Yoon, S.-B. and Cho, J.-H. (2001) Numerical simulation of coastal inundation over discontinuous topography, Water Engineering Research,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2, No. 2, pp.75-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