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 운영평가 -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 점령기'를 중심으로 -
An Evaluation of A Youth Reading Promotion Program: Focusing on '1318 Bookworm Program'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22 no.2, 2011년, pp.181 - 200  

하은혜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장윤금 (숙명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권나현 (명지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청소년의 독서흥미를 고취하기 위하여 전국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수행하고 있는 청소년 독서진흥 프로그램의 운영을 심층적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7년부터 2010까지 이루어진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점령기'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교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그 운영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또한 독서진흥 프로그램의 경험이 풍부한 학교도서관 사서들과의 표적집단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분석 결과 첫째, 사업성과에 대한 응답자의 만족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학생들의 인지, 정서, 사회성 발달에 효과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기획과정, 계획과정, 운영과정의 만족도 중 계획과정, 운영과정의 만족도가 성과만족도를 예측하는 영역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서술형 문항에서 프로그램의 원활한 지원과 효율성을 위해 전문인력 충원 및 연구와 조직 확대의 필요성이 거론되었으며 다양한 콘텐츠 및 매뉴얼 개발과 보급 등이 제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urposed to evaluate a youth reading promotion program that is designed and operated by the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 Young Adults. The study specifically assessed the '1318 Bookworm Program' by conducting an in-depth survey and a focus group interview for school librarians who ha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수행한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의 독서진행 프로그램에 대한 개발 및 전반적인 평가를 위해 실시된 사전조사(장윤금 2010)에서 독서진흥프로그램의 긍정적인 측면이 확인됨에 따라 ‘1318’ 프로그램운영에 대한 심층적인 설문조사와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들과의 표적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 이처럼 독서진흥 프로그램이 긍정적으로 평가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립어린이 청소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독서진흥 프로그램 중 청소년의 독서흥미를 유발시키기 위하여 학교 도서관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1318’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그 프로그램 운영 전 과정을 세분화하여 과정별 운영평가 결과와 사업성과 및 개선방안을 심층적으로 평가하였다.
  • 이처럼 독서진흥 프로그램이 긍정적으로 평가됨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립어린이청소년 도서관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독서진흥 프로그램 중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청소년의 독서흥미를 유발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실시되고 있는 ‘1318 책벌레들의 도서관점령기' 프로그램(이하 ‘1318’ 프로그램)을 선정하여 전 과정을 (1) 사업 기획과정, (2) 사업 계획과정, (3) 사업 운영과정 및 (4) 사업성과 평가 등 네 단계로 세분화하여 그 운영과정을 평가하고 사업성과 및 개선방안을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서진흥 사업은 어떤 주요 과제로 구별되어 있는가? 국가도서관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우리나라 아동과 청소년들의 올바른 독서문화 확립과 독서진흥을 활성화 하기위해 다양한 독서진흥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널리 보급하고 있다. ‘독서실태 조사 및 모범사례 발굴’, ‘독서진흥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독서활동을 위한 협력 체제 구축’, 그리고 ‘독서지도 인력 양성 및 전문성 강화’의 네 가지 주요 과제로 구별된 독서진흥 사업은 크게 독서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워크숍, 공모전, 매뉴얼 개발 및 배포, 독서진흥을 위한 연구, 콘텐츠 개발 및 보급, 독서 칼럼 개발 및 웹사이트를 통한 독서진흥 확산 등의 구체적 사업 및 프로그램으로 진행되고 있다.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어떤 존재 이유를 두고 있는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은 중장기 발전방안을 모색하면서 어린이와 청소년대상 도서관 서비스 발전을 도모하는데 그 존재 이유를 두고, ‘어린이와 청소년(도서관)서비스 발전을 선도 하는 도서관’을 그 미션(사명)으로 하며, ‘즐거운 도서관, 창의적인 어린이와 청소년, 새로운 미래’라는 모토를 설정하였다(조현성 2006). 이러한 사명과 비전을 완수하기 위해 설정한 3대 목표로 (1) 심도 있는 정책 개발과 효율적인 보급, (2) 전문 인력 양성, (3) 독서진흥 기반 조성 등이 제시되었다.
공공도서관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여러 독서 진흥 프로그램과 학교도서관에서 실시되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 연구를 개관하면 무엇이 있는가? 최근 여러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은 다양한 독서진흥 프로그램을 통해서 아동과 청소년의 독서진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국 공공 도서관은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함께 인터넷이 등장함에 따라 인터넷을 활용한 독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웹에서 이야기를 (Stories from the Web)은 하루 평균 8,244명이 이용하는 등 정보화시대에 발맞춰 아동을 대상으로 독서활동을 활성화 시키고 있다(김영석 2007). 또한 미국의 공공도서관에서는 다양한 독서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는데 시카고 공공 도서관을 포함하여 일리노이 주에 위치한 20개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독서프로그램 중 단발성이 아닌 독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독서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총 194 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상희 2009). 최근까지 미국의 학교도서관과 관련된 연구들 중 학교도서관이 학생들의 학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들이 주된 관심사였다. 미국 전역의 16개 주(Alaska 2000; Colorado 2000; Florida 2002; Illinois 2005; Indiana 2004; Iowa 2002; Massachusetts 2002; Michigan 2003; Minnesota 2003; Missouri 2003; New Mexico 2002; North Carolina 2003; Ohio 2004; Oregon 2001; Pennsylvania 2000; Texas 2001) 에서 학업성취도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가 확인되었다. 이처럼 미국 학교도서관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성공적인 학교도서관의 요인, 즉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기위해 개발시켜 야할 요인 중 하나는 도서관에서 운영하는 실질적 프로그램이다(곽철완 2005). 뉴멕시코 주의 연구에서도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노스캐롤라이나 주에서 실시된 연구 결과 학교 도서관의 프로그램, 도서관 개방시간, 전문사서의 근무시간, 새로운 장서 보유율 등이 학업성취도 향상에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Lance 2002). 또한 미주리 주의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프로그램이 실시된 학교의 미주리 학업성취프로 그램(Missouri Assessment Program: MAP) 성적이 프로그램이 실시되지 않은 학교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Miller, Want, Whitacre 2003). 이처럼 학교도서관에서 지원하는 여러 프로그램들이 잘 적용된 경우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다는 연구결과들은 공공도서관에서 실시되는 독서프로그램의 중요성과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력을 다시 한 번 입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곽철완. 2005.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에 대한 효과분석과 만족도 조사연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7. 연차보고서 2006-2007.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3.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8. 연차보고서 2007-2008.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4.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9. 연차보고서 2008-2009.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5.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10. 연차보고서 2009-2010.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6. 김영석. 2007. 우리나라의 효율적인 공공도서관 확충 방안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1): 29-48. 

  7. 장윤금. 2010.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전략적 추진과제 운영 평가 및 발전방안 연구. 서울: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8. 정형숙. 2006.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아개념 및 학습습관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학과. 

  9. 조미아. 2006. 창의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독서교육의 영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0. 조현성. 2006.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중장기 발전방안. 서울: 문화관광정책연구원. 

  11. 최상희. 2009. 공공도서관의 독서 프로그램 운영 현황분석. 한국정보관리학회, 2009(-): 203-210. 

  12. 한윤옥. 2008. 독서교육과 자료의 활용.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3. Lance, K. C., Hamilton-Pennell, M. J. Rodney, and J. Marcia. 2000. Information Empowered: The School Librarian as an Agent of Academic Achievement in Alaska Schools. Revised Edition. Anchorage, AK: Alaska State Library. 

  14. Lance, K. C., M. J. Rodney, and C. Hamilton-Pennell. 2002a. How School Librarians Help Kids Achieve Standards: The Second Colorado Study. Spring, TX: Hi Willow Research and Publishing. 

  15. Lance, K. C., M. J. Rodney, and C. Hamilton-Pennell. 2002b. How School Librarians Improve Outcomes for Children: The New Mexico Study. Sante Fe, NM: New Mexico State Library. 

  16. Lance, K. C., M. J. Rodney, and C. Hamilton-Pennell. 2005. Powerful Libraries Make Powerful Learners: The Illinois Study. Canton, Il: Illinois School Library Media Associations. 

  17. Lance, K. C., M. J. Rodney, and B. Russell. 2007. How Students, Teachers, and Principals Benefit from Strong School Libraries: The Indiana Study. Indianapolis, IN: Association for IndianaMedia Educators. 

  18. Lance, K. C., M. J. Rodney, and B. Schwarz. 2009. How Idaho Librarians, Teachers, and Administrators Collaborate for Student Success. Idaho: Idaho Commission for Libraries. 

  19. Miller, J., J. Want, and L. Whitacre. 2003. Show me Connection: How School Library Media Center Services Impact Student Achievement. Jefferson City, MO: Missouri State Library. 

  20. Rodney, M. J., K. C. Lance, and C. Hamilton-Pennell. 2002. Make the Connection: Quality School Library Media Programs Impact Academic Achievement in Lowa. Bettendorf, IA: Mississippi Bend Area Education Agency. 

  21. Rodney, M. J., K. C. Lance, and C. Hamilton-Pennell. 2003. The Impact of Michigan School Librarians on Academic Achievement: Kids Who Have Libraries Succeed. Lancing, MI: Libraries of Michigan. 

  22. Smith, E. G. 2001. Texas School of Libraries: Standards, Resources, Services, and Students' Performance. Austin, TX: EGS Research & Consulting. 

  23. Sullivan, A. K. and H. R. Strang. 2003. "Bibliotherapy in the Classroom: Using Literature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Child Education, 79(2): 74-80. 

  24. Todd, R. J., C. C. Kuhthau, and OELMA. 2004. Student Learning through Ohio School Libraries: The Ohio Research Study. Columbus, OH: Ohio Educational Library Media Associ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