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에 있어 Glycerol과 EthyleneGlycol이 동결 융해 후 정자의 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lycerol and Ethylene Glycol on Post-Thawed Sperm Function in Jeju Horse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제주마 육성 및 산업화에 있어 성공적인 인공수정을 위한 안정적인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법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제주마 동결정액의 제조시 동결보호제로서 glycerol과 ethylene glycol의 사용이 동결-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정자의 첨체막 온전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제주마 정액의 동결 시 5% glycerol, 5% ethylene glycol, 8% glycerol 그리고 8% ethylene glycol을 사용하였으며,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첨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에 있어 실험구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생존율에 있어 8% glycerol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 ($39.85%{\pm}11.41$)을 나타냈으나, 5% glycerol 처리구 ($18.08%{\pm}1.61$)와의 비교에서만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p<0.05). 정자막 온전성에 있어서도 8% glycerol 처리구만이 $34.13%{\pm}11.02$로 모든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정자막 온전성을 나타냈다(p<0.05).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첨체막 변화에 있어 8%의 ethylene glycol을 처리시 5% glycerol과 5%의 ethylene glycol을 처리한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F pattern의 비율을 나타냈다. B pattern의 비율은 5% ethylene glycol 처리시 8% glycerol과 8% ethylene glycol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8% ethylene glyco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의 AR pattern 비율을 나타냈다 (p<0.05).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확립되지 않은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 과정에 있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마 육성 및 산업화에 있어 성공적인 인공수정을 위한 안정적인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법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제주마 동결정액의 제조시 동결보호제로서 glycerol과 ethylene glycol의 사용이 동결-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정자의 첨체막 온전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제주마 정액의 동결 시 5% glycerol, 5% ethylene glycol, 8% glycerol 그리고 8% ethylene glycol을 사용하였으며,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첨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에 있어 실험구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생존율에 있어 8% glycerol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 ($39.85%{\pm}11.41$)을 나타냈으나, 5% glycerol 처리구 ($18.08%{\pm}1.61$)와의 비교에서만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p<0.05). 정자막 온전성에 있어서도 8% glycerol 처리구만이 $34.13%{\pm}11.02$로 모든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정자막 온전성을 나타냈다(p<0.05).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첨체막 변화에 있어 8%의 ethylene glycol을 처리시 5% glycerol과 5%의 ethylene glycol을 처리한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F pattern의 비율을 나타냈다. B pattern의 비율은 5% ethylene glycol 처리시 8% glycerol과 8% ethylene glycol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8% ethylene glyco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의 AR pattern 비율을 나타냈다 (p<0.05).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확립되지 않은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 과정에 있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Cryopreservation induces sublethal damage to the spermatozoa, which leads to their reduced fertile lif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effect of glycerol and ethylene glycol as cryoprotectant in extender on improve the freezability of Jeju horse semen. The semen was cryopreserved with glucose...
Cryopreservation induces sublethal damage to the spermatozoa, which leads to their reduced fertile lif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effect of glycerol and ethylene glycol as cryoprotectant in extender on improve the freezability of Jeju horse semen. The semen was cryopreserved with glucose-EDTA extender containing each 5% glycerol, 5% ethylene glycol, 8% glycerol or 8% ethylene glycol, respectively. Post-thawed sperm were evaluated motility, viability, Membrane integrity and acrosome integrity. Post-thawed sperm mot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However, sperm vi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8% glycerol ($39.85%{\pm}11.41$) than in 5% glycerol treatment ($18.08%{\pm}1.61$). In membrane integrity, swelling sperm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8% glycerol ($34.12%{\pm}11.02$) than other treatments. In the percentage of capacitated sperm assessed by CTC staining, F patter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8% ethylene glycol than 5% glycerol and 5% ethylene glycol (p<0.05). B pattern rati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5% ethylene glycol compared with 8% glcerol and 8% ethylene glycol (p<0.05). Moreover, 8% ethylene glycol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R pattern ratio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p<0.05). It is concluded that treatment of 8% glycerol was improved the sperm viability and 8% ethylene glycol was improved the sperm ascrosome integrity after thawing. However,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8% glycerol and 8% ethylene glycol on post-thawed sperm viability. Therefore, 8% ethylene glycol was more effective sperm cryoprotectant than 8% glycerol in Jeju Horse.
Cryopreservation induces sublethal damage to the spermatozoa, which leads to their reduced fertile lif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effect of glycerol and ethylene glycol as cryoprotectant in extender on improve the freezability of Jeju horse semen. The semen was cryopreserved with glucose-EDTA extender containing each 5% glycerol, 5% ethylene glycol, 8% glycerol or 8% ethylene glycol, respectively. Post-thawed sperm were evaluated motility, viability, Membrane integrity and acrosome integrity. Post-thawed sperm motil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However, sperm vi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8% glycerol ($39.85%{\pm}11.41$) than in 5% glycerol treatment ($18.08%{\pm}1.61$). In membrane integrity, swelling sperm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8% glycerol ($34.12%{\pm}11.02$) than other treatments. In the percentage of capacitated sperm assessed by CTC staining, F patter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8% ethylene glycol than 5% glycerol and 5% ethylene glycol (p<0.05). B pattern ratio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5% ethylene glycol compared with 8% glcerol and 8% ethylene glycol (p<0.05). Moreover, 8% ethylene glycol treatme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R pattern ratio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s (p<0.05). It is concluded that treatment of 8% glycerol was improved the sperm viability and 8% ethylene glycol was improved the sperm ascrosome integrity after thawing. However, the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8% glycerol and 8% ethylene glycol on post-thawed sperm viability. Therefore, 8% ethylene glycol was more effective sperm cryoprotectant than 8% glycerol in Jeju Hors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에 있어 동결보호제로서 glycerol과 ethylene glycol의 사용이 동결-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정자의 첨체막 온전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마 육성 및 산업화에 있어 성공적인 인공수정을 위한 안정적인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법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제주마 동결정액의 제조시 동결보 호제로서 glycerol과 ethylene glycol의 사용이 동결-융해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정자의 첨체막 온전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제주마 정액의 동결 시 5% glycerol, 5% ethylene glycol, 8% glycerol 그리고 8% ethylene glycol을 사용하였으며,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첨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 사용된 공시동물은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 산시험에서 사육 중인 수컷 1두 (6세)와 제주 삼미 목장 에서 사육 중인 수컷 1두 (10세)를 이용하였고, 자연교미를 한 적은 있으나 인공적인 정액 채취의 경험이 전혀 없는 개체를 이용하였다. 각각 단독의 사육장 및 방목으로 충분한 운동, 1일 1회의 사료급여와 무제한 물을 급여하여 사육하였다.
정액의 채취는 주 1회의 간격으로 콘돔법을 실시하여 채취하였으며, 발정 암컷 개체에 승가하도록 하여 사정을 유도하였다. 청결한 채취를 위해 생식기 주위를 세척 하고 음경에 콘돔을 씌워 사정을 유도하였다.
정액의 채취는 주 1회의 간격으로 콘돔법을 실시하여 채취하였으며, 발정 암컷 개체에 승가하도록 하여 사정을 유도하였다. 청결한 채취를 위해 생식기 주위를 세척 하고 음경에 콘돔을 씌워 사정을 유도하였다. 사정된 정액은 총 정액량과 정자 수 등의 일반적 성상을 검사하였 다.
청결한 채취를 위해 생식기 주위를 세척 하고 음경에 콘돔을 씌워 사정을 유도하였다. 사정된 정액은 총 정액량과 정자 수 등의 일반적 성상을 검사하였 다.
본 실험에 이용된 보존액의 조성은 Table 1과 같이 Martin 등 (1979)의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5%의 glycerol을 처리한 실험구를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채취된 정액은 즉시 실험실로 운반였다.
정액의 운동성 평가는 MicroLux 현미경 (× 70, Olympus, Japan) 하에서 정자의 활력을 평가하였다.
염색액은 0.9% NaCl 용액에 0.5% eosin-Y를 용해하여 제조하였으며, 10 μl의 정액을 slide glass 위에 올린 다음 동량의 염색액을 섞어 도말하여 cover glass를 덮고 MicroLux 현미경 (× 70, Olympus, Japan)하에서 관찰하 였다.
혈구계산 판에 5 μl의 정액을 놓고 cover glass로 덮은 후 100배율 에서 정자의 운동성을 평가하였다.
동결된 정액은 LN 2 tank에서 보관하였으며, 필요시 융해하여 사용하였다. 동결정액은 공기 중에서 약 10초간 정치하여 37℃ 온수에 20초간 침지시켜 융해한 후 정자의 생존율 및 정자 성상을 조사하였다. 동결 융해 후 시간에 따른 정자의 생존율과 정자막 온전성의 변화는 동결 융해 후 37℃, 5% CO2배양기에서 보존하면서 조사하였다.
동결정액은 공기 중에서 약 10초간 정치하여 37℃ 온수에 20초간 침지시켜 융해한 후 정자의 생존율 및 정자 성상을 조사하였다. 동결 융해 후 시간에 따른 정자의 생존율과 정자막 온전성의 변화는 동결 융해 후 37℃, 5% CO2배양기에서 보존하면서 조사하였다.
5% eosin-Y를 용해하여 제조하였으며, 10 μl의 정액을 slide glass 위에 올린 다음 동량의 염색액을 섞어 도말하여 cover glass를 덮고 MicroLux 현미경 (× 70, Olympus, Japan)하에서 관찰하 였다. 개체 당 2개의 표본을 만들어 표본 1개당 200개씩총 400개의 정자를 100배율 현미경에서 관찰하여, 붉게 염색된 정자는 죽은 정자로 판단하여 생존율을 평가하였 다.
정자막 온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Jeyendran 등 (1984) 의 방법을 변형하여 150 mOsm/kg NaCl의 저삼투압 용액을 제조하여 정자 미부의 팽창형태를 분석하였다 (Hypo-Osmetic Swelling Test: HOST). 37℃의 저장액 1 ml에 정자 샘플 100 μl를 혼합하여 37℃에서 5분간 정치시킨 후 slide glass에 도말하였다.
37℃의 저장액 1 ml에 정자 샘플 100 μl를 혼합하여 37℃에서 5분간 정치시킨 후 slide glass에 도말하였다. 도말한 표본 1개당 200 개씩 총 400개의 정자를 100배율 현미경에서 관찰하여 정자 미부의 팽창여부를 확인하여 정자막의 온전성을 평가하였다. 첨체막 변화 양상의 측정 첨체막의 변화 양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Chlortetracyclin (CTC) 염색법을 사용하였다.
5% glutaradehyde를 혼합하여 4℃에서 보관하였다. 염색후 24시간 이내에 판독하였으며, 정자 첨체막 양상의 판독 기준은 Fraser (1995)의 분류를 따라 정자 두부가 전체적으로 형광 발광을 할 경우 수정능획득이 일어나지 않은 F pattern으로, 적도면 부분에 띠가 형성되어 첨체 아랫부분에서 형광 발광을 할 경우 수정능획득이 일어난 B pattern 으로 구분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정자 두부가 형광 발광을 하지 않거나, 얼룩덜룩한 발광을 할 경우 첨체반응이 일어난 AR pattern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마 육성 및 산업화에 있어 성공적인 인공수정을 위한 안정적인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법을 수립하는 데 있어 제주마 동결정액의 제조시 동결보 호제로서 glycerol과 ethylene glycol의 사용이 동결-융해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정자의 첨체막 온전성 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제주마 정액의 동결 시 5% glycerol, 5% ethylene glycol, 8% glycerol 그리고 8% ethylene glycol을 사용하였으며,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 생존율, 정자막 온전성 그리고 첨체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에 있어 실험구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 나지 않았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 사용된 공시동물은 국립축산과학원 난지축 산시험에서 사육 중인 수컷 1두 (6세)와 제주 삼미 목장 에서 사육 중인 수컷 1두 (10세)를 이용하였고, 자연교미를 한 적은 있으나 인공적인 정액 채취의 경험이 전혀 없는 개체를 이용하였다. 각각 단독의 사육장 및 방목으로 충분한 운동, 1일 1회의 사료급여와 무제한 물을 급여하여 사육하였다.
데이터처리
통계 분석은 통계분석프로그램 (SPSS version 18.0)을이용하였으며, 동결 융해 후 glycerol이 정자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ANOVA를 이용하여 처리구간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론/모형
정자의 생존율을 eosin-Y 염색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염색액은 0.
도말한 표본 1개당 200 개씩 총 400개의 정자를 100배율 현미경에서 관찰하여 정자 미부의 팽창여부를 확인하여 정자막의 온전성을 평가하였다. 첨체막 변화 양상의 측정 첨체막의 변화 양상을 측정하기 위하여 Chlortetracyclin (CTC) 염색법을 사용하였다. 정액을 400 ×g 용액 (750μM CTC (Sigma, USA) 130 mM NaCl (Sigma, USA), 5mM cystein (Sigma, USA), 20 mM Tris (Sigma, USA) buffer; pH 7.
성능/효과
마지막으로 5% glycerol의 처리구는 유의적으로 낮은 비율의 swollen sperm의 비율을 나타냈다 (p<0.05).
Swollen sperm의비율에 있어 8%의 glycerol을 처리하였을 때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swollen sperm의 비율을 나타냈으며 (p<0.05), 8% ethylene glycol, 5% ethylene glycol의 순서로 swollen sperm의 비율을 나타냈으나, 이들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생존율에 있어 8%의 glycerol 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5% glycerol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 었다 (p<0.05).
Table 2는 5%와 8%의 glycerol과 ethylene glycol을 동결보호제로 사용하여 제주마의 정액을 동결 융해하였을때 변화된 운동성과 생존율을 나타낸 결과이다. 본 실험의 결과,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운동성은 처리구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생존율에 있어 8%의 glycerol 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5% glycerol 처리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 었다 (p<0.
F pattern의 비율에 있어 8% ethylene glycol을 처리하였을 때 5% glycerol과 5% ethylene glycol을 처리한 경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F pattern비율을 나타냈으며 (p<0.05), 8% glycerol을 처리하였을 경우 다소 높은 비율의 F pattern 비율을 나타냈으나, 실험구간의 유의적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AR pattern의비율에 있어 8% ethylene glycol 처리구에서 다른 실험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의 AR pattern 비율을 나타냈으며, 그 다음으로 8% glycerol, 5% ethylene glycol이 5% glycerol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p<0.05).
B pattern의비율은 5% ethylene glycol, 5% glycerol, 8% ethylene glycol 그리고 8% glycerol 처리 순으로 B pattern의 비율이 낮았으며, 5% ethylene glycol과 8% glycerol 처리구 간만이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p<0.05).
1과 같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ethylene glycol 처리가 glycerol 처리보다 빠른 속도로 생존율과 정자막 온전성 모두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처리구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이들 처리구 사이의 유의적 차이는 볼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본 실험의 결과, 융해후 1시간 사이에 생존율 및 정자막 온전성이 급격히 감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현재 ethylene glycol은 glycerol을 대체하는 동결보호 제로 개 (Pereira 등, 2002)와 말 (Mantovani 등, 2002)의동결정액 제조에 사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 5% ethylene glycol을 이용하였을 때 5% glycerol에 비하여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8% 의 glycerol을 이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 으며, 8% ethylene glycol 처리와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본 실험에서 5% ethylene glycol을 이용하였을 때 5% glycerol에 비하여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또한, 8% 의 glycerol을 이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을 나타냈 으며, 8% ethylene glycol 처리와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5%의 ethylene glycol의 처리가 5%의 glycerol보다 높은 운동성과 생존율을 나타냄을 보고한 Rota 등 (2006)의 결과와 부합하나, ethylene glycol과 glycrol의 효과적인 농도에 있어 본 연구의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나타났다.
HOST를 이용한 정자막의 온전성은 정자의 대사뿐만 아니라, 난자와의 수정 및 정자의 수정능획득과 첨체반응 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어 정자의 수정능을 평가하는 데유용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Jeyendran 등, 1984). 본 연구의 결과, 8%의 glycerol이 모든 실험구 사이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swollen sperm 비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검사는 직접적으로 인공수정을 시행하거나, 체외수정방법을 통한 검사를 수행하는 것보다 시간과 비용적인 면에서 절약할 수 있으며, 손쉽게 수정능력을 예측할 수 있다.
동결 융해 후 보존 시간에 따른 정자의 생존율과 정자막 온전성 변화에 있어 융해 후 1시간 이내에 생존율과 정자막 온전성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말의 인공수정시 배란시기에 정확히 맞추어 인공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임신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원인으로 판단된다.
수정능이 획득된 정자는 난자의 투명대에 의해 수정되기 전에 첨체반응이 일어나지만 (Yanagimach, 1994), 난자의 투명대와 결합하기 전에 첨체반응이 일어난 정자는 난자의 투명대와의 결합에 필요한 중요한 요소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정상적인 수정에 참여할 수 없다 (Adeoya-Osiguwa와 Fraser, 2004). 본 실험에서 동결 후 모든 실험구에서 동결 전보다 B pattern의 비율과 AR pattern 의 비율이 증가하고, F pattern의 비율이 감소하였다. 말을 포함한 모든 포유동물의 정자는 동결과정동안 세포막의 변성을 겪게 되며, 막 단백질의 파괴가 일어나 세포막의 인지질로부터 탈락하게 되어 인지질은 fluid에서 gel phase로 변화하게 된다.
그러나 생존율에 있어 8% glycerol을 처리하였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 (39.85%±11.41)을 나타냈으나, 5% glycerol 처리구 (18.08%±1.61)와의 비교에서만 유의적 차이를 나타냈다 (p<0.05).
따라서 동결 융해 후 최소 25% 이상 수정능획득과 같은 B pattern 의 비율이 증가하게 된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Pena 등, 2003), Schembri 등 (2002)은 말의 정자에 있어 capacitation-like change를 야기하는 데 있어 원심분리를 통한 정장의 제거뿐만 아니라 동결과 융해 과정에서 크게 야기되어 B pattern과 AR pattern이 크게 증가함을 보고하였다. 흥미로운 것은 glycerol 대 ethylene glycol을 비교하여 보면 5%의 glycerol과 ethylene glycol에 있어 5% ethylene glycol이 높은 B pattern 비율을 증가시킨 반면, AR pattern은 5% glycerol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8% glycerol과 8% ethylene glycol을 비교하면, 8% glycerol의 처리가 8% ethylene glycol보다 AR pattern의 비율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흥미로운 것은 glycerol 대 ethylene glycol을 비교하여 보면 5%의 glycerol과 ethylene glycol에 있어 5% ethylene glycol이 높은 B pattern 비율을 증가시킨 반면, AR pattern은 5% glycerol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8% glycerol과 8% ethylene glycol을 비교하면, 8% glycerol의 처리가 8% ethylene glycol보다 AR pattern의 비율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는 ethylene glycol이 capacitation-like change의 유도로부터 보다 효과적으로 첨체막을 보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05).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첨체막 변화에 있어 8%의 ethylene glycol을 처리시 5% glycerol과 5%의 ethylene glycol을 처리한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F pattern의 비율을 나타냈다. B pattern의 비율은 5% ethylene glycol 처리시 8% glycerol과 8% ethylene glycol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첨체막 변화에 있어 8%의 ethylene glycol을 처리시 5% glycerol과 5%의 ethylene glycol을 처리한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F pattern의 비율을 나타냈다. B pattern의 비율은 5% ethylene glycol 처리시 8% glycerol과 8% ethylene glycol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8% ethylene glyco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의 AR pattern 비율을 나타냈다 (p<0.
B pattern의 비율은 5% ethylene glycol 처리시 8% glycerol과 8% ethylene glycol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8% ethylene glycol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의 AR pattern 비율을 나타냈다 (p<0.05).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확립되지 않은 제주 마의 동결정액 제조 과정에 있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후속연구
이러한 결과는 현재 말의 인공수정시 배란시기에 정확히 맞추어 인공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임신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원인으로 판단된다. 이런 다양한 결과들은 말 정액의 동결에 있어 그 방법이 아직까지 안정화 되지 않았으며, 최적화를 위하여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것을 시사한다.
현재까지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며, 제주마뿐만 아니라 말 정액 제조에 있어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확립되지 않은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 과정에 있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까지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에 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며, 제주마뿐만 아니라 말 정액 제조에 있어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확립되지 않은 제주마의 동결정액 제조 과정에 있어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마가 생산하는 정액의 어느정도가 동결에 적합하다고 보고되었는가?
Arabian, Quarter 그리고 American Paint 종의 말에 대한 말 번식 협회 등의 주요한 협회에서 이러한 동결기술을 부분적으로 허용함에 따라 말 동결정액 제조법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며,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방법을 모색 하게 되었다 (Alvarenga 등, 2005). 그러나, 현재 종마가 생산하는 정액의 30~40%만이 일관된 변이를 가지는 등의 동결에 적합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Alvarenga 등, 2003). 뿐만 아니라.
말 번식협회는 국제적으로 어떤 방법을 허용하여 왔는가?
국제적으로 살펴보면, 말 번식협회는 지난 10여년 사이에 동결정액을 이용하는 것을 허용하여 왔다. Arabian, Quarter 그리고 American Paint 종의 말에 대한 말 번식 협회 등의 주요한 협회에서 이러한 동결기술을 부분적으로 허용함에 따라 말 동결정액 제조법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며, 기존의 방법을 개선하거나 새로운 방법을 모색 하게 되었다 (Alvarenga 등, 2005).
동결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동결보호제의 종류, 냉각속도, 희석제의 구성성분, 삼투압 스트레스에 대한 정자의 저항성과 이 요소들 간의 상호 영향을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사실이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동결 과정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동결보호제의 종류, 냉각속도, 희석제의 구성성분, 삼투압 스트레스에 대한 정자의 저항성과 이 요소들 간의 상호 영향을 들 수 있다 (Squires 등, 1999). 이러한 사실은 말산업에 있어 동결정액을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음을 뜻하지만, 반면에 동결정액의 기능이 개선될 때보다 거대한 규모의 동결정액 정자의 사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참고문헌 (44)
Adeoya-Osiguwa SA, Fraser LR (2004): Environmental estrogens and sperm function. Hum Reprod 19: 216-217; author reply 217.
Alvarenga MA, Leao, KM, Papa FO, Landim-Alvarenga FC, Medeiros ASL, Gomes GM (2003): The use of alternative cryoprotectors for freezing stallion semen. In: Proceedings, Workshop on Transporting Gametes and Embryos, Havemeyer Foundation, pp 74-76.
Alvarenga MA, Papa FO, Landim-Alvarenga FC, Medeiros AS (2005): Amides as cryoprotectants for freezing stallion semen: a review. Anim Reprod Sci 89:105-113.
Backman T, Bruemmer JE, Graham JK, Squire EL (2004): Pregnancy rates of mare inseminated with semen cooled for 18 hours and then frozen. J Anim Aci 82:690-694.
Ball BA, Vo A (2001): Osmotic tolerance of equine spermatozoa and the effects of soluble cryoprotectants on equine sperm motility, viability an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J Androl 22:1061-1069.
Curry MR, Millar JD, Watson PF (1990): Calculated optimal cooling rates for ram and human sperm cryopreservation fail to conform with empirical observation. Biol Reprod 51:1014-1021.
Fraser LR, Abeydeera LR, Niwa K (1995): Ca2+-regulating mechanisms that modulate bull sperm capacitation and acrosomal exocytosis as determined by chlortetracycline analysis. Mol Reprod Dev 40: 233-241.
Gilmore JA, McGann LE, Liu J, Gao DY, Peter AT, Kleinhans FW, Critser JK (1995): Effect of cryoprotectant solutes on water permeability of human spermatozoa. Biol Reprod 53: 985-995.
Gilmore JA, Liu J, Woods EJ, Peter AT, Critser JK (2000): Cryoprotective agent and temperature effects on human sperm membrane permeabilities: convertgence of theoretical and empirical approaches for optimal cryopreservation methods. Hum Reprod 15: 335-343.
Guthrie HD, Liu J, Critser JK (2002): Osmotic tolerance limits and effects of cryoprotectants on motility of bovine spermatozoa. Biol Reprod 67:1811-1816.
Hammerstedt RH, Graham JK, Nolan JP (1990): Cryopreservation of mammalian sperm: what we ask them to survive. J Androl 11:73-88.
Hoffmann N, Oldenhof H, Morandini C, Rohn K, Sieme H (2011): Optimal concentrations of cryoprotective agents for semen from stallions that are classified 'goo' or 'poor' for freezing. Anim Reprod Sci 125:112-118.
Jeyendran RS, Van der Ven HH, Perez-Pelaez M, Carbo BG, Zaneveld LJ (1984): Development of an assay to assess the functional integrity of the human sperm membrane and its relationship to other semen characteristics. J Reprod Fertil 70: 219-228.
Kenny RM, Bergman RV, Cooper WL, Morse GW (1975): Minimal contamination techniques for breeding mares: techniques and preliminary findings. Proceedings of 12st American Association of Equine Practices pp 327-336.
Kommisrud E, Paulenz H, Sehested E, Greule IS (2002): Influence of boar and semen parameters on motility and acrosome intefrity in liquid boar semen stored for 5 days. Acta Veterinaria Scandinavia 43:49-55.
Leopold S, Samper JC, Curtis E, Buhr MM (2000): Effect of cryopreservation and oviductal cell conditioned media on $Ca^{2+}$ flux of equine spermatozoa. J Reprod Fertil Suppl. 56:431-45.
Mantovani R, Rota A, Falomo ME, Bailoni L, Vincenti L (2002): Comparison between glycerol and ethylene glycol for the cryopreservation of equine spermatozoa: sperm quality assessment with standard analyses and with the hypoosmotic swelling test. Reprod Nutr Dev 42:217-226.
McGonagle LS, Goldstein M, Feldschuh J, Foote RH (2002): The influence of cryoprotective media and processing procedures on motility and migration of frozen- thawed human sperm. Asian J Androl 4:137-141.
Neild DM, Chaves MG, Flores M, Miragaya MH, Gonzalez E, Aguero A (2000): The HOS test and its relationship to fertility in the stallion. Andrologia. 32:351-355.
Oh SA, Park YJ, You YA, Mohamed EA, Pang MG (2010): Capacitation status of stored boar spematozoa is related litter size of sows. Anim Reprod Sci 121:131-138.
Pena AI, Lopez-Lugilde L, Barrio M, Becerra JJ, Quintela LA, Herradon PG (2003): Studies on the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of thawed dog spermatozoa: influence of Equex from different sources, two thawing diluents and post-thaw incubation in capacitating conditions. Reprod Domest Anim 38:27-35.
Rota A, Milani C, Cabianca G, Martini M (2006): Comparison between glycerol and ethylene glycol for dog semen cryopreservation. Theriogenology 65: 1848-1858.
Schembri MA, Major DA, Suttie JJ, Maxwell WM, Evans G (2002): Capacitation-like changes in equine spermatozoa throughout the cryopreservation process. Reprod Fertil 14:225-233.
Suzuki K, Geshi M, Yamauchi N, Nagai T (2003): Functional changes and motility characteristics of Japanese Black Bull spermatozoa separated by Percoll. Anim Reprod Sci 77:157-172.
Szasz F, Sirivaidyapong S, Cheng FP, Voorhout WF, Marks A, Colenbrander B, Solti L, Gadella BM (2000): Detection of calcium ionophore induced membrane changes in dog sperm as a simple method to predict the cryopreservability of dog semen. Mol Reprod Dev 55:289-298.
Vidament M, Cognard E, Yvon JM, Sattler M, Palmer E, Magistrini M (1989): Evaluation of stallion semen before and after freezing. Reprod Dom Anim 33:271-277.
Vishwanth R, Shannon P (2000): Storage of bovine semen in liquid and frozen state. Anim Reprod Sci 62:23-53.
Watson PF (2000): The causes of reduces fertility with cryopreserved semen. Anim Reprod Sci 60:482- 492.
Yanagimachi R (1994): Mammalian fertilization. In Knobil E and Neill JD (eds). The Physiology of Reproduction 2nd ed. Raven Press. New York, USA, pp 189-317.
박남건 (1995): 제주재래마 정액의 동결보존에 관한 연구. 농촌자원과 생활 37:459-463.
박용수, 조길재 (2011): 말의 정액 형태에 따른 운동성 과 인공수정 임신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26:13-17.
오운용, 박남건, 김영훈, 이성수, 김희석, 김중계 (1994): 제주재래마 정액의 일반성상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 동물자원과학회 심포지움자료집. p 130.
조상래, 최선호, 최창용, 손준규, 김재범, 김성재, 손동 수, 김현종 (2009): AndroMed를 이용한 흑우 동결 정 액으로 체외수정란 생산 효과.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24:207-212.
최두석, 문신용, 장윤석 (1993): 남성 불임검사 중 정자 형태와 정자 운동성 검사 및 저장성용액 내 정자 팽창검사의 상관관계 및 가임능력 예측에 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36:2497-2509.
최선호, 김성재, 조상래, 최창용, 손준규, 유용희, 조영 재, 최귀철, 문윤영 (2010): 말 정액 동결시 Glycerol 농도와 동결 속도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동물번식학회지 34:271-27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