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변환 기반 특징과 다중 분류자를 이용한 다중시기 SAR자료의 분류
Classification of Multi-temporal SAR Data by Using Data Transform Based Features and Multiple Classifier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1 no.3, 2015년, pp.205 - 214  

유희영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연구소) ,  박노욱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홍석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이경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생태과) ,  김예슬 (인하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자료변환기법을 이용해 추출된 여러 특징과 다양한 분류방법론을 결합하여 다중시기 SAR 자료를 위한 새로운 토지피복 분류기법을 제안하였다. 먼저, 다중시기 SAR 자료로부터 원본자료와는 다른 새로운 정보를 추출하기 위해 주성분분석3차원 웨이블렛 변환을 이용한 자료변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나서 최대우도법 분류자, 신경망, support vector machine을 포함한 세 가지 다른 분류자를 변환된 특징자료들과 원본 후방산란계수 자료를 포함한 세가지 자료에 적용하여 다양한 초기 분류 결과를 얻도록 한다. 이후 다수결규칙을 통해 모든 초기결과를 결합하여 최종 분류 결과를 생성하게 된다. 다중시기 ENVISAT ASAR 자료를 이용한 사례연구에서 모든 초기 결과는 사용한 특징자료와 분류자의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분류정확도를 보였다. 이러한 9개의 초기 분류 결과를 결합한 최종 분류 결과는 가장 높은 분류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각 초기 분류 결과가 토지피복을 결정하기 위한 상호 보완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에서의 분류정확도 향상은 주로 자료변환을 통해 얻어진 각기 다른 특징자료와 다른 분류자를 결합에 의한 다양성 확보에서 기인한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제안한 토지피복 분류방법론은 다중시기 SAR자료의 분류에 효과적으로 적용가능하며, 또한 다중센서 원격탐사 자료융합으로 확장이 가능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novel land-cover classification framework for multi-temporal SAR data is presented that can combine multiple features extracted through data transforms and multiple classifiers. At first, data transforms using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and 3D wavelet transform are appli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다중시기 SAR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에서 자료 변환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다양한 분류자를 적용하여 초기 분류를 한 후 이를 결합하여 최종분류를 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사례연구 결과, 사용 자료와 분류기법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각 결과를 상호 보완함으로써 제안기법의 결과는 개별 분류 결과에 비해 높은 분류 정확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제안기법의 효용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자료변환 기법을 이용해 원본자료로부터 분류에 적합한 특징정보를 추출한 뒤 이를 새로운 자료로써 분류에 적용 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자료변환을 통해 생성해 낸 다수의 자료와 다중 분류자를 결합하여 다양한 초기 분류 결과를 만들어 낸 후 다수결규칙을 적용하여 최종 분류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격탐사기법의 장점은? 토지피복은 국토모니터링, 개발계획수립 등을 위한 필수자료일 뿐만 아니라 수많은 응용분야에서 다른 자료와 함께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기 때문에 필요한 시기에 정확한 토지피복을 제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원격탐사기법은 넓은 지역에서 한번에 자료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고 주기적으로 영상 촬영이 가능하므로 이전의 현장조사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 토지피복도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Defies and Belward, 2000). 지금 까지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도 제작에는 주로 단일시기에 촬영된 광학영상을 사용해왔다.
적시에 토지피복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토지피복은 국토모니터링, 개발계획수립 등을 위한 필수자료일 뿐만 아니라 수많은 응용분야에서 다른 자료와 함께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되기 때문에 필요한 시기에 정확한 토지피복을 제작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원격탐사기법은 넓은 지역에서 한번에 자료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고 주기적으로 영상 촬영이 가능하므로 이전의 현장조사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시간과 비용을 절약하면서 토지피복도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Defies and Belward, 2000).
단일시기에 촬영된 광학영상을 사용하여 토지피복을 제장하는 것의 단점은? 지금 까지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토지피복도 제작에는 주로 단일시기에 촬영된 광학영상을 사용해왔다. 광학영상은 광원으로 태양을 이용하기 때문에 밤이나 흐린 날에는 이용이 어렵다. 특히 흐린 날이 지속되는 우리나라의 장마기간에는 사용할 수 있는 광학영상이 많이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밤이나 흐린 날에도 이용 가능한 SAR 영상을 이용해 토지피복분류를 시도하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insworth, T.L., J.P. Kelly, and J.-S. Lee, 2009. Classification comparisons between dual-pol, compact polarimetric and quad-pol SAR imagery,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64(5): 464-471. 

  2. Angiulli, G., V. Barrile, and M. Cacciola, 2005. SAR imagery classification using multi-class support vector machines, Journal of Electromagnetic Waves and Applications, 19(14): 1865-1872. 

  3. Ashutosh, S., 2002. Principal component-based algorithm on multispectral remote sensing data for spectral discrimination of tree cover from other vegetation types, Current Science, 82(1): 67-69. 

  4. Bruzzone, L., D.F. Prieto, and S.B. Serpico, 1999. A neural-statistical approach to multitemporal and multisource remote-sensing image class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7(3): 1350-1359. 

  5. Burges, C.J.C., 1998. A tutorial on support vector machines for pattern recognition, Data Mining and Knowledge Discovery, 2: 121-167. 

  6. Camps-Valls, G. and L. Bruzzone, 2005. Kernel-based methods for hyperspectral image classificatio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3(6): 1351-1362. 

  7. Defries, R.S. and A.S. Belward, 2000. Global and regional land cover characterization from satellite data: An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1(6-7): 1083-1092. 

  8. Fukada, S. and H. Hirosawa, 2001. Support vector machine classification of land cover: Application to polarimetric SAR data, Proc. of 2001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Sydney, Australia, Jul. 9-13, pp. 187-189. 

  9. Henebry, G.M., 1997. Advantages of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for land cover segmentation from SAR image series, Proc. of the third ERS symposium, Florence, Italy, Mar. 21-26, sp-414, pp. 175-178. 

  10. Hepner, G.F., T. Logan, N. Ritter, and N. Bryant, 1989. Artificial neural network classification using a minimal training set: Comparison to conventional supervised classification,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56(4): 469-473. 

  11. Hirosawa, Y., S.E. Marsh, and D.H. Kliman, 1996. Application of standardiz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o land-cover characterization using multitemporal AVHRR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8(3): 267-281. 

  12. Jang, M.-W., Y.-H. Kim, N.-W. Park, and S.-Y. Hong, 2012. Mapping paddy rice varieties using multitemporal RADARSAT SAR image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6): 653-660. 

  13. Kuncheva, L.I., 2004. Combining Pattern Classifiers, Wiley, Hoboken, NJ, USA. 

  14. Lee, J.-S., M.R. Grunes, T.L. Ainsworth, L.J. Du, D.L. Schuler, and S.R. Cloude, 1999. Unsupervised classification using polarimetric decompositions and the complex wishart classifier,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7(5): 2249-2258. 

  15. Muraki, S., 1993. Volume data and wavelet transforms,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13(4): 50-56. 

  16. Park, N.-W., H.Y. Yoo, Y. Kim, and S.-Y. Hong, 2012. Classification of remote sensing data using random selection of training data and multiple classifier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5): 489-499. 

  17. Park, N.-W. and K.H. Chi, 2008. Integration of multitemporal/polarization C-band SAR data sets for land-cover classifi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9(16): 4667-4688. 

  18. Petrakos, M., J.A. Benediktsson, and I. Kanellopoulos, 2001. The effect of classifier agreement on the accuracy of the combined classifier in decision level fusion,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9(11): 2539-2546. 

  19. Serpico, S.B., L. Bruzzone, and F. Roli, 1996. An experimental comparison of neural and statistical non-parametric algorithms for supervised classification of remote-sensing images, Pattern Recognition Letters, 17(13): 1331-1341. 

  20. Skriver, H., J. Schou, and W. Dierking, 2000. Landcover mapping using multitemporal, dualfrequency polarimetric SAR data, Proc. of 2000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Honolulu, HI, Jul. 24-28, vol.1, pp. 331-333. 

  21. Sunar, F., 1998. An analysis of changes in a multidate data set: a case study in the Ikitelli area, Istanbul, Turkey,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19(2): 225-235. 

  22. Tan, C.-P., J.-Y. Koay, K..-S. Lim, H.-T. Ewe, and H.-T. Chuah, 2007. Classification of multi-temporal SAR images for rice crops using combined entropy decomposition and support vector machine technique, Progress In Electromagnetics Research, 71: 19-39. 

  23. Yoo, H.Y., N.-W. Park, S. Hong, K. Lee, and Y. Kim, 2013. Feature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of multi-temporal SAR data using 3D wavelet transform,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5): 569-57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