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9 no.4, 2018년, pp.405 - 427
본 연구는 해방기에 출간되었던 <아협 그림얘기책>시리즈를 대상으로 당시 출판 현전본의, 현황, 체제 및 발행 분석, 삽도화가 분석을 통해 <아협 그림얘기책>의 발행을 비롯하여 체제, 형태, 내용에 대해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을유문화사와 조선아동문화협회 (아협)에서 어린이의 생활 해방과 아동문화 건설을 위해 출간한 <아협 그림얘기책> 시리즈는 현재 5책이 남아 있다. 미전본은 당시 발행되었던 신문에 실린 광고 기사를 토대로 책들의 출판 이력을 확인하였다. 현전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표지 권수(卷首) 본문 권말(卷末)의 체제로 동일하게 구성되었으며, 본문에는 그림이야기 형식의 3컷 만화와 이야기로 이루어진 특징을 보였다. 책의 크기는 A5 판형, 분량은 대체로 32면이며 반양장의 장정 형태로 발행되었다. 삽화가로는 당대에 미술 분야에서 활약을 했던 김용환, 김의환 형제가 참여했다.
This study examined system, form and contents of including its publication in depth through the analysis on the publication of those days, present condition of extant edition, system and publication, illustrator etc., targeting series which was published in the liberation period. As for series wh...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초창기 을유문화사의 특징은? | 해방 이후 열악한 상황 속에서도 민족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뜻을 모아 을유문화사가 출판을 시작하였다 초창기 을유문화사는 특히미래의 주역인 어린이들에게 민족문화 .를 전하고 우리의 문자인 한글을 알리고 보급하기 위해 아동도서의 출판에 힘썼다 아동도서 .발행을 위해 을유문화사의 창립자 중 하나인 윤석중을 대표로 조선아동문화협회 아협 를 설 ( )립하였다 아협은 어린이들이 쉽게 우리 문화 한글을 접할 수 있도록 그림책 형식을 갖춘 전 . | |
본 연구에서 아<협 그림얘기책 의 발행과 현전본의 현황 조사 이유는? | 화가들이 참여한 아협 그림얘기책 은 글과 그림이 잘 어우러져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 전달 [ ]이 충실할 수 있었다 이렇듯 아협 그림얘기책 시리즈 출간은 한국에서의 아동 그림책의 . [ ]출판과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아협 그림얘기책 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 이루어지지 . [ ]않았고 일부 연구에서 연구주제를 위한 보조적인 역할로서 언급이 되고 있을 뿐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동도서 출판에 있어 선구적이며 전문 화가들의 참여로 출간된 아<협 그림얘기책 의 발행과 현전본의 현황을 조사한다 미전본은 당시 발간되었던 신문에 기 > . | |
해방 직후 우리나라는 어떤 열의와 욕구가 높았는가? | 해방 직후 우리나라는 민족국가의 건설을 위해 우리말과 글에 대한 국민들의 열의와 욕구가 대단히높았다 특히일제치하에서 출판법 신문지법 등으로 억압 받았던 언론과 출판은 1945년 10월 군정법령 제19호의 공표에 의해 출판활동에 대한 규제가 사라지면서 자유를 얻게 되었다 종이 생산능력이 떨어져 용지가 부족하고 활판 인쇄소에는 한글 활자가 남아 있지 않은 악조건 속에서도 을유문화사 박문출판사 정음사 백양당 등의 출판사가 등록되었다. |
광고. 1947. 婦人新報. 09월02일.
광고. 1947. 한성일보. 08월19일.
광고. 1947. 한성일보. 12월11일.
광고. 1947. 현대일보. 12월12일.
광고. 1948. 평화일보. 07월09일.
광고. 1949. 연합신문. 03월12일.
광고. 1949. 조선중앙일보. 07월08일.
제85화 출판의 길 40년-정진숙 '아동문화협회'의 활동. 1985. 중앙일보. 06월25일.
Kim, Yong-Hwan. 1946. Treasure island. Seoul : Association of Chosun Children s ' Culture.
Kim, Uihwan. 1946. The Young Artist. Seoul : Association of Chosun Children s Culture.
Buchun Cartoon Center. 2005. Rediscovery of Kim Yong-Hwan. Seoul: Culture Studise.
Oh, Yeongsik. 2009. The Catalog of print books in liberation period. Seoul: So Myeong publication.
Eulyoo Publishing. 1997. The 50 years of Eulyoo Publishing. Seoul: Eulyoo Publishing.
Jeong, Jinsuk. 2007. Publisher Jeong Jinsuk. Seoul: Eulyoo Publishing.
Jo, Bokseong. 1948. The Story of Insect. Seoul : Association of Chosun Children's Culture.
Cho, Jayak. 1947. Gulliver's Travels. Seoul : Association of Chosun Children s Culture.
Park, Hyeri. 2018. A Bibliographic Study of Haesong Ma, Hae-song. M.A. thesis., Chung Ang University.
Baek, Jeongsuk. 2014. "The category of cartoon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Modern Bibliography, 10 : 455-466.
Jo, Seongsun. 2016. "A Study on the Post-independence Era Picture-book The Rabbit and the Monkey - Based on Liberty newspaper, Ahyup and Chunggu edition." Children's Literature Studies, 18 : 161-206.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홈페이지 [인용 2018. 10. 10]
국립중앙도서관 대한민국 신문 아카이브 홈페이지 [인용 2018. 10. 05]
을유문화사 홈페이지 [인용 2018. 10. 07]
한국만화영상진흥원(디지털만화규장각) 홈페이지 [인용 2018. 10. 20]
한국역대인물종합정보시스템 홈페이지 [인용 2018. 11. 12]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