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는 산등성이를 넘는 도로가 통과하는 곳을 말하며 영어로는 Pass라 하는데 그 語原은 Passable, 즉 통과할 수 있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국토의 70%가 山地인 우리나라는 山地로 격리된 孤立地域이 많아 옛 부터 고개가 발달하였다. 잘 알려진 고개는 태백산맥의 대관령, 진부령, 한계령, 소백산맥의 죽령, 새재, 추풍령, 육십령, 八良峙 등이다. 고개는 관문 역할도 하는데, 새재, 八良峙는 옛날부터 주요 관문이었다. 그러나 새재는 이화령의 개통으로 그 기능이 쇠퇴되었다. 本 硏究에서는 우리나라 교통의 발달을 살펴보고, 고개를 역사적으로 考察하였다. 또한 고개의 地名을 特性別로 분류하였으며, 立地와 分布를 규명하였다. 硏究 대상이 된 고개는 朝鮮中宗朝 374개, 日帝時代 1,471개, 現代 1,764개이다. 연구 대상지역은 朝鮮時代는 八道, 日帝때와 現代는 휴전선 以南의 반도이다. 硏究한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개는 三國時代부터 사람과 물자교류의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어 왔다. 둘째, 朝鮮時代에는 八道 중에서 경상도 지역에 고개가 가장 많았으며, 現代에는 남한의 道 중에서 강원도 지역에 가장 많다. 셋째, 地名의 特性을 분석한 결과 우리 민족은 고개 地名으로 동식물 관계의 어휘를 많이 사용하였고, 광복이후 民族意識의 成長으로 地名의 한글화가 많이 이루어 졌다. 넷째, ...
고개는 산등성이를 넘는 도로가 통과하는 곳을 말하며 영어로는 Pass라 하는데 그 語原은 Passable, 즉 통과할 수 있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국토의 70%가 山地인 우리나라는 山地로 격리된 孤立地域이 많아 옛 부터 고개가 발달하였다. 잘 알려진 고개는 태백산맥의 대관령, 진부령, 한계령, 소백산맥의 죽령, 새재, 추풍령, 육십령, 八良峙 등이다. 고개는 관문 역할도 하는데, 새재, 八良峙는 옛날부터 주요 관문이었다. 그러나 새재는 이화령의 개통으로 그 기능이 쇠퇴되었다. 本 硏究에서는 우리나라 교통의 발달을 살펴보고, 고개를 역사적으로 考察하였다. 또한 고개의 地名을 特性別로 분류하였으며, 立地와 分布를 규명하였다. 硏究 대상이 된 고개는 朝鮮中宗朝 374개, 日帝時代 1,471개, 現代 1,764개이다. 연구 대상지역은 朝鮮時代는 八道, 日帝때와 現代는 휴전선 以南의 반도이다. 硏究한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개는 三國時代부터 사람과 물자교류의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어 왔다. 둘째, 朝鮮時代에는 八道 중에서 경상도 지역에 고개가 가장 많았으며, 現代에는 남한의 道 중에서 강원도 지역에 가장 많다. 셋째, 地名의 特性을 분석한 결과 우리 민족은 고개 地名으로 동식물 관계의 어휘를 많이 사용하였고, 광복이후 民族意識의 成長으로 地名의 한글화가 많이 이루어 졌다. 넷째, 해발고도는 200~399m위치의 고개가 가장 많다. 남한 最高의 고개는 벽소령(1,320m)이다. 다섯째, 도로의 등급이 낮을수록 고개의 분포비율이 높다. 끝으로 現代 고개의 密度 地圖化한 결과 중부지방에서 密度가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도 홍성군 주변이며, 남부지방은 전라남도 장흥군 주변지역으로 나타났다.
고개는 산등성이를 넘는 도로가 통과하는 곳을 말하며 영어로는 Pass라 하는데 그 語原은 Passable, 즉 통과할 수 있다는 데에서 비롯되었다. 국토의 70%가 山地인 우리나라는 山地로 격리된 孤立地域이 많아 옛 부터 고개가 발달하였다. 잘 알려진 고개는 태백산맥의 대관령, 진부령, 한계령, 소백산맥의 죽령, 새재, 추풍령, 육십령, 八良峙 등이다. 고개는 관문 역할도 하는데, 새재, 八良峙는 옛날부터 주요 관문이었다. 그러나 새재는 이화령의 개통으로 그 기능이 쇠퇴되었다. 本 硏究에서는 우리나라 교통의 발달을 살펴보고, 고개를 역사적으로 考察하였다. 또한 고개의 地名을 特性別로 분류하였으며, 立地와 分布를 규명하였다. 硏究 대상이 된 고개는 朝鮮中宗朝 374개, 日帝時代 1,471개, 現代 1,764개이다. 연구 대상지역은 朝鮮時代는 八道, 日帝때와 現代는 휴전선 以南의 반도이다. 硏究한 결과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개는 三國時代부터 사람과 물자교류의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어 왔다. 둘째, 朝鮮時代에는 八道 중에서 경상도 지역에 고개가 가장 많았으며, 現代에는 남한의 道 중에서 강원도 지역에 가장 많다. 셋째, 地名의 特性을 분석한 결과 우리 민족은 고개 地名으로 동식물 관계의 어휘를 많이 사용하였고, 광복이후 民族意識의 成長으로 地名의 한글화가 많이 이루어 졌다. 넷째, 해발고도는 200~399m위치의 고개가 가장 많다. 남한 最高의 고개는 벽소령(1,320m)이다. 다섯째, 도로의 등급이 낮을수록 고개의 분포비율이 높다. 끝으로 現代 고개의 密度 地圖化한 결과 중부지방에서 密度가 가장 높은 지역은 강원도 홍성군 주변이며, 남부지방은 전라남도 장흥군 주변지역으로 나타났다.
The 'pass' can be defined as "a place where a road runs along the ridges of mountains". The word is originated from the work "passable". which means "to be able to pass". The highest pass in the world is Karakoram Pass between India and Sinjang Self-governing District of China. With 70% of its land ...
The 'pass' can be defined as "a place where a road runs along the ridges of mountains". The word is originated from the work "passable". which means "to be able to pass". The highest pass in the world is Karakoram Pass between India and Sinjang Self-governing District of China. With 70% of its land being mountainous regions, Korea has many regions isolated by mountains. As a result, numerous passes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from ancient times. There are Darkwan-Ryung, Jinbu-Ryung, and Hankye-Reung of mountain Taebank, and Juk-Reung, Sae-Jae, Chupung-Ryung, Yuksip-Ryung, and Palang-Chi of mountain Soback, to name a few. A pass can serve as a gate as well. Sae-Jae and Palang-Chi had been important gates in Korea, Sae-Jae, however, has lost its function as a gate with the opening of Ehwa-Ry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observing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 Korea and by studying Korean passes historically, to define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passes in Korea and to classify their names by their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74passes which existed during the Yi-Dynasty, 1,471 passes during Japanese occupation, and the presently existing 1,764 passes. In the study of passes which existed during the Yi-Dynasty, the whole Korean Peninsula is the subjects area; and as for the passes of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the present times, the South Korean territory is the subject area. Followings ar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of all, from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Korea has used passe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utes for trans-poring people and goods. Second, considering numbers of passes in each Dos, Kyungsand-Do and Kangwon-Do have most passes during the Yi-Dynasty and since 1945, respectively. Third,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he names of passes shows that Koreans prefer words related to animals or plants as names for passes. Many names have been changed into pure Korean words, as the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Fourth, the most common heights of passes are between 200-399m above the sea level. The highest pass in South Korea is Byukso-Ryung(1320m). Frfth, the lower the grade of a road, the higher the ratio of pass distribution. Finally. by analyzing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urrent passes in South Korea, we can select two spots with the highest number of kpasses. In the middle region, it is Hongcheon-Kun area in Kangwon-Do and in the Southern region, it is Jangheung-Kun area in Cheonlanam-Do.
The 'pass' can be defined as "a place where a road runs along the ridges of mountains". The word is originated from the work "passable". which means "to be able to pass". The highest pass in the world is Karakoram Pass between India and Sinjang Self-governing District of China. With 70% of its land being mountainous regions, Korea has many regions isolated by mountains. As a result, numerous passes have been developed in Korea from ancient times. There are Darkwan-Ryung, Jinbu-Ryung, and Hankye-Reung of mountain Taebank, and Juk-Reung, Sae-Jae, Chupung-Ryung, Yuksip-Ryung, and Palang-Chi of mountain Soback, to name a few. A pass can serve as a gate as well. Sae-Jae and Palang-Chi had been important gates in Korea, Sae-Jae, however, has lost its function as a gate with the opening of Ehwa-Ryu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observing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in Korea and by studying Korean passes historically, to define location and distribution of passes in Korea and to classify their names by their characteristic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74passes which existed during the Yi-Dynasty, 1,471 passes during Japanese occupation, and the presently existing 1,764 passes. In the study of passes which existed during the Yi-Dynasty, the whole Korean Peninsula is the subjects area; and as for the passes of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the present times, the South Korean territory is the subject area. Followings are conclusions of this study: First of all, from the age of the Three Kingdoms, Korea has used passe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outes for trans-poring people and goods. Second, considering numbers of passes in each Dos, Kyungsand-Do and Kangwon-Do have most passes during the Yi-Dynasty and since 1945, respectively. Third,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he names of passes shows that Koreans prefer words related to animals or plants as names for passes. Many names have been changed into pure Korean words, as the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onsciousness. Fourth, the most common heights of passes are between 200-399m above the sea level. The highest pass in South Korea is Byukso-Ryung(1320m). Frfth, the lower the grade of a road, the higher the ratio of pass distribution. Finally. by analyzing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current passes in South Korea, we can select two spots with the highest number of kpasses. In the middle region, it is Hongcheon-Kun area in Kangwon-Do and in the Southern region, it is Jangheung-Kun area in Cheonlanam-Do.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