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도해역과 일본 장기현 내의 상록광엽수림을 비교하기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1989년 5월부터 1994년 6월까지의 기간에 걸쳐 224개의 지소에서 각각 실시하였다. 식생은 두 지역에서 얻어진 식생자료를 정리하여 종합상재도표를 작성하였고, 식생단위를 분류하였으며, 상록광엽수림에 대한 군락은 1군강 2군목 12군집 4군락으로 체계화 시켜서 그 차이를 밝혔다. 상록광엽수림군락에 대한 군락의 체계화는 다도해역에서 1군강 2군목 3군단 5군집 4군락이었고, 장기현 지역에서 1군강 2군목 3군단 10군집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 상록광엽수림 식생단위 Ⅰ.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 Miyawaki et ohba 1963) 1. 동백나무군목(Cameilli japonicae at odaet Sumata 1966) (1) 구실잣밤나무 - 자금우군단(Ardisio-Castanopsion Miyawaki et al. 1971) 1) 구실잣밤나무 - 자금우군집(Ardisio-Castanopsietm sieboldii suz-Tok.1952) 2) 구실잣밤나무 - 가는쇠고리군집(Arachniodo-Castanopsietum sieboldii Miyawaki et al. 1971) 3) 메밀잣밤나무 - 비쭈기나무군집(Cleyero-Castanopsietum cuspidatae Yato 1958) 4) 후박나무 - 큰천남성군집(Arisamato ringentis-Perseetum thunbergii Miyawaki et al. 1971) 5) 육박나무군집(Actinodaphnetum lancifoliae Yamanaka 1962) (2) 돈나무군단(Pittosporion tobira Nakanishi et H. Suzuki 1970) 6) 까마귀쪽나무-도깨비고비군집(Cyrtomio-Litseetum japonicae Sumata. Mashiba et Suzu. - Tok. 1969) 7) 돈나무 - 사철나무군집(Euonymo-Pittosporetum tobira Miyawaki et al. 1971) 8) 우묵사스레피군락(Eurya emarginata ...
본 연구는 다도해역과 일본 장기현 내의 상록광엽수림을 비교하기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1989년 5월부터 1994년 6월까지의 기간에 걸쳐 224개의 지소에서 각각 실시하였다. 식생은 두 지역에서 얻어진 식생자료를 정리하여 종합상재도표를 작성하였고, 식생단위를 분류하였으며, 상록광엽수림에 대한 군락은 1군강 2군목 12군집 4군락으로 체계화 시켜서 그 차이를 밝혔다. 상록광엽수림군락에 대한 군락의 체계화는 다도해역에서 1군강 2군목 3군단 5군집 4군락이었고, 장기현 지역에서 1군강 2군목 3군단 10군집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 상록광엽수림 식생단위 Ⅰ.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 Miyawaki et ohba 1963) 1. 동백나무군목(Cameilli japonicae at odaet Sumata 1966) (1) 구실잣밤나무 - 자금우군단(Ardisio-Castanopsion Miyawaki et al. 1971) 1) 구실잣밤나무 - 자금우군집(Ardisio-Castanopsietm sieboldii suz-Tok.1952) 2) 구실잣밤나무 - 가는쇠고리군집(Arachniodo-Castanopsietum sieboldii Miyawaki et al. 1971) 3) 메밀잣밤나무 - 비쭈기나무군집(Cleyero-Castanopsietum cuspidatae Yato 1958) 4) 후박나무 - 큰천남성군집(Arisamato ringentis-Perseetum thunbergii Miyawaki et al. 1971) 5) 육박나무군집(Actinodaphnetum lancifoliae Yamanaka 1962) (2) 돈나무군단(Pittosporion tobira Nakanishi et H. Suzuki 1970) 6) 까마귀쪽나무-도깨비고비군집(Cyrtomio-Litseetum japonicae Sumata. Mashiba et Suzu. - Tok. 1969) 7) 돈나무 - 사철나무군집(Euonymo-Pittosporetum tobira Miyawaki et al. 1971) 8) 우묵사스레피군락(Eurya emarginata community) 9) 다정큼나무군락(Raphionlepis umbellata community) 10) 동맥나무군락(Camellia japonica community) 2. 붓순나무 - 붉가시나무군목(Illicio-Quercetalia acutae K. Fujiwara 1981) (3) 가시나무 - 붉가시나무군단(Quercion acuto-myrsinaefoliae K. Fujiwara 1981) 11) 참가시나무 - 붉가시나무군락(Quercus acuta-salicina community) 12) 붉가시나무 - 십자고사리군집(Polysticho-Quercetum acutae ass. nov.) 13) 붉가시나무 - 스끼미군집(Skimmio-Quercetum acutae Suz. -Tok. et Sumata 1964) 14) 참가시나무 - 조록나무군집(Distylo-Quercetum salicinae Nomoto et Sugenuma 1965) 15) 개가시나무군집(Lasiantho-Quercetum gilvae K. Fujiwara 1981) 16) 돌참나무군집(Ainsliaeo okinawaensis-Pasanietum K. Suzuki 1979) 한국 다도해역과 일본 장기현에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군집은 구실잣밤나무-자금우군집, 후박나무-큰천남성군집, 까마귀쪽나무-도깨비고비군집이었다. 한국에만 분포하는 군집과 군락은 육박나무군집, 참가시나무-붉가시나무군락, 붉가시나무-십자고사리군집, 우묵사스레피군락, 다정큼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이며, 장기현에만 분포하는 군집한 구실잣밤나무-가는쇠고사리군집, 메밀잣밤나무-비쭈기나무군집, 돈나무-사철나무군집, 붉가시나무-시끼미군집, 참가시나무군집, 개가시나무군집, 돌참나무군집이었다. 다도해역과 장기현 지역의 상록성 식물총은 총 132종으로 그 중에서 공통종은 60종이었고, 남방계종은 다도해역에서만 13종, 장기현 지역에서만 59종이 출현하였다. 또한 낙엽활엽수종 및 초본종에 해당하는 북방계종은 다도해역에서 258종, 장기현 지역에서 139종으로 다도해역에서 현저히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한국 다도해역에서 나타나는 종은 섬회양목, 매화노루발, 개산초, 소사나무, 쇠물푸레, 왕고로쇠, 조록싸리, 진달래, 팥배나무, 팽나무, 참회나무, 산초나무, 말채나무, 졸참나무, 그늘사초, 굴피타무, 국수나무, 산딸나무, 생강나무, 지렁쿠나무, 좀작살, 합다리나무, 해변싸리, 느릅나무, 괴불나무, 감태나무, 가침박달 등이었다. 일본 장기현에서만 나타나는 종은 Dryopteris erythrosora, Ilex cornuta, Quercus hondae, Gardenia jasminoidesfor. gradiflora, Michelia compressa, Distylium racemosum, Maesa japonica, Alpina intermedia, Antidesma japonicum, Camellia sasanqua, Meliosa rigida, Viburnum japonicum, Skimmia Japonica, Euchresta japonica, Prunus spinnlosa, Lasianthus japonicus, Pasania edulis, Ficus pumila, Marsdenia tomentosa, Ilex chinensis, Actinodaphne longifloia 등이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상록광엽수림 군락의 종수는 다도해역이 장기현 지역에 비해 적게 출현하였고, 낙엽광엽수종과 초본종은 다도해역이 장기현지역에 비해 많이 출현하였다. 이는 기후요인에서 장기현이 다도해역보다 연평균기온이 2.2°C 높았고, 1월평균기온이 1.1°C 높았으며, 연평균강수량이 755.5mm 더 많은 것과 연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다도해역과 일본 장기현 내의 상록광엽수림을 비교하기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1989년 5월부터 1994년 6월까지의 기간에 걸쳐 224개의 지소에서 각각 실시하였다. 식생은 두 지역에서 얻어진 식생자료를 정리하여 종합상재도표를 작성하였고, 식생단위를 분류하였으며, 상록광엽수림에 대한 군락은 1군강 2군목 12군집 4군락으로 체계화 시켜서 그 차이를 밝혔다. 상록광엽수림군락에 대한 군락의 체계화는 다도해역에서 1군강 2군목 3군단 5군집 4군락이었고, 장기현 지역에서 1군강 2군목 3군단 10군집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 상록광엽수림 식생단위 Ⅰ. 동백나무군강(Camellietea japonicae Miyawaki et ohba 1963) 1. 동백나무군목(Cameilli japonicae at odaet Sumata 1966) (1) 구실잣밤나무 - 자금우군단(Ardisio-Castanopsion Miyawaki et al. 1971) 1) 구실잣밤나무 - 자금우군집(Ardisio-Castanopsietm sieboldii suz-Tok.1952) 2) 구실잣밤나무 - 가는쇠고리군집(Arachniodo-Castanopsietum sieboldii Miyawaki et al. 1971) 3) 메밀잣밤나무 - 비쭈기나무군집(Cleyero-Castanopsietum cuspidatae Yato 1958) 4) 후박나무 - 큰천남성군집(Arisamato ringentis-Perseetum thunbergii Miyawaki et al. 1971) 5) 육박나무군집(Actinodaphnetum lancifoliae Yamanaka 1962) (2) 돈나무군단(Pittosporion tobira Nakanishi et H. Suzuki 1970) 6) 까마귀쪽나무-도깨비고비군집(Cyrtomio-Litseetum japonicae Sumata. Mashiba et Suzu. - Tok. 1969) 7) 돈나무 - 사철나무군집(Euonymo-Pittosporetum tobira Miyawaki et al. 1971) 8) 우묵사스레피군락(Eurya emarginata community) 9) 다정큼나무군락(Raphionlepis umbellata community) 10) 동맥나무군락(Camellia japonica community) 2. 붓순나무 - 붉가시나무군목(Illicio-Quercetalia acutae K. Fujiwara 1981) (3) 가시나무 - 붉가시나무군단(Quercion acuto-myrsinaefoliae K. Fujiwara 1981) 11) 참가시나무 - 붉가시나무군락(Quercus acuta-salicina community) 12) 붉가시나무 - 십자고사리군집(Polysticho-Quercetum acutae ass. nov.) 13) 붉가시나무 - 스끼미군집(Skimmio-Quercetum acutae Suz. -Tok. et Sumata 1964) 14) 참가시나무 - 조록나무군집(Distylo-Quercetum salicinae Nomoto et Sugenuma 1965) 15) 개가시나무군집(Lasiantho-Quercetum gilvae K. Fujiwara 1981) 16) 돌참나무군집(Ainsliaeo okinawaensis-Pasanietum K. Suzuki 1979) 한국 다도해역과 일본 장기현에 공통적으로 분포하는 군집은 구실잣밤나무-자금우군집, 후박나무-큰천남성군집, 까마귀쪽나무-도깨비고비군집이었다. 한국에만 분포하는 군집과 군락은 육박나무군집, 참가시나무-붉가시나무군락, 붉가시나무-십자고사리군집, 우묵사스레피군락, 다정큼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이며, 장기현에만 분포하는 군집한 구실잣밤나무-가는쇠고사리군집, 메밀잣밤나무-비쭈기나무군집, 돈나무-사철나무군집, 붉가시나무-시끼미군집, 참가시나무군집, 개가시나무군집, 돌참나무군집이었다. 다도해역과 장기현 지역의 상록성 식물총은 총 132종으로 그 중에서 공통종은 60종이었고, 남방계종은 다도해역에서만 13종, 장기현 지역에서만 59종이 출현하였다. 또한 낙엽활엽수종 및 초본종에 해당하는 북방계종은 다도해역에서 258종, 장기현 지역에서 139종으로 다도해역에서 현저히 많은 종이 출현하였다. 한국 다도해역에서 나타나는 종은 섬회양목, 매화노루발, 개산초, 소사나무, 쇠물푸레, 왕고로쇠, 조록싸리, 진달래, 팥배나무, 팽나무, 참회나무, 산초나무, 말채나무, 졸참나무, 그늘사초, 굴피타무, 국수나무, 산딸나무, 생강나무, 지렁쿠나무, 좀작살, 합다리나무, 해변싸리, 느릅나무, 괴불나무, 감태나무, 가침박달 등이었다. 일본 장기현에서만 나타나는 종은 Dryopteris erythrosora, Ilex cornuta, Quercus hondae, Gardenia jasminoides for. gradiflora, Michelia compressa, Distylium racemosum, Maesa japonica, Alpina intermedia, Antidesma japonicum, Camellia sasanqua, Meliosa rigida, Viburnum japonicum, Skimmia Japonica, Euchresta japonica, Prunus spinnlosa, Lasianthus japonicus, Pasania edulis, Ficus pumila, Marsdenia tomentosa, Ilex chinensis, Actinodaphne longifloia 등이었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상록광엽수림 군락의 종수는 다도해역이 장기현 지역에 비해 적게 출현하였고, 낙엽광엽수종과 초본종은 다도해역이 장기현지역에 비해 많이 출현하였다. 이는 기후요인에서 장기현이 다도해역보다 연평균기온이 2.2°C 높았고, 1월평균기온이 1.1°C 높았으며, 연평균강수량이 755.5mm 더 많은 것과 연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