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3급 치근분지부 골결손에서 미세전류작극이 치주조직의 재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direct microcurrent to periodontal regeneration in class Ⅲ furcation defects원문보기
치주치료의 목표는 치주질환에 의해 상실된 치주조직의 재생과 기능 회복에 있으며 치조골 결손부를 수복하기 위한 여러 치료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골의 역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치조골 형성을 유도하는 전기자극법을 이용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성견의 하악 소구치부에 3급 분지부 치조골 결손부를 형성하고 미소전류자극을 가했을 때 전기자극이 치조골을 포함한 치주조직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시행하였다. 성견의 하악 소구치 치근이개부에 ...
치주치료의 목표는 치주질환에 의해 상실된 치주조직의 재생과 기능 회복에 있으며 치조골 결손부를 수복하기 위한 여러 치료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골의 역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치조골 형성을 유도하는 전기자극법을 이용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성견의 하악 소구치부에 3급 분지부 치조골 결손부를 형성하고 미소전류자극을 가했을 때 전기자극이 치조골을 포함한 치주조직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시행하였다. 성견의 하악 소구치 치근이개부에 폭 3mm, 길이 5mm의 관통형 치조골 결손부를 외과적으로 형성하고 솜을 넣고 봉합한 후 3 주간 방치하여 실험적 치주염을 유도하였다. 결손부에 대한 처치에 따라 치주판막술만 시행한 군을 제 I군, 동종 탈회동결건조골을 이식한 군을 제 II군으로, 탈회동결건조골 충전 후 전기자극을 가한 군을 제 III군으로 하였으며 미소전류자극장치로서 10㎂내외의 자극 전류를 갖는 정전류회로를 제작하여 경부의 흉쇄유돌근 사이에 삽입하였다. 신생골 형성시기 및 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형광약제를 투여하였으며, 술후 1주, 2주, 4주, 8주에 실험동물을 각각 희생시켜 광학 및 형광현미경하에서 관찰하고 신생부착 형성을 조직계측학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1, 2주에는 모든 군에서 치은퇴축이 나타났으며 제 I군이 제 II, III군에 비하여 더 많은 치은퇴축을 보였다. 접합상피 및 결합조직대의 치유에 대한 전기자극의 영향은 없었으나 제 II군에서는 4주보다는 8주후에 결합조직 부착대의 폭이 증가하였다. 치조골 재생은 모든 군에서 8주 후 4주보다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골재생양도 제 III군이 제 I, II군 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다. 치주조직 부착 증진율도 모든 군에서 8주후 4주보다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제 III군이 제 I, II군에 비하여 4주와 8주후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3급 분지부 결손을 동반하는 치주병소에 동종탈회동결건조골 이식과 함께 미소전류자극장치를 이용한 전기자극을 가하면 치조골 재생의 증진과 함께 치주조직 신부착을 증진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고 본다.
치주치료의 목표는 치주질환에 의해 상실된 치주조직의 재생과 기능 회복에 있으며 치조골 결손부를 수복하기 위한 여러 치료법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골의 역학적 성질을 이용하여 치조골 형성을 유도하는 전기자극법을 이용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성견의 하악 소구치부에 3급 분지부 치조골 결손부를 형성하고 미소전류자극을 가했을 때 전기자극이 치조골을 포함한 치주조직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시행하였다. 성견의 하악 소구치 치근이개부에 폭 3mm, 길이 5mm의 관통형 치조골 결손부를 외과적으로 형성하고 솜을 넣고 봉합한 후 3 주간 방치하여 실험적 치주염을 유도하였다. 결손부에 대한 처치에 따라 치주판막술만 시행한 군을 제 I군, 동종 탈회동결건조골을 이식한 군을 제 II군으로, 탈회동결건조골 충전 후 전기자극을 가한 군을 제 III군으로 하였으며 미소전류자극장치로서 10㎂내외의 자극 전류를 갖는 정전류회로를 제작하여 경부의 흉쇄유돌근 사이에 삽입하였다. 신생골 형성시기 및 정도를 관찰하기 위하여 형광약제를 투여하였으며, 술후 1주, 2주, 4주, 8주에 실험동물을 각각 희생시켜 광학 및 형광현미경하에서 관찰하고 신생부착 형성을 조직계측학적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1, 2주에는 모든 군에서 치은퇴축이 나타났으며 제 I군이 제 II, III군에 비하여 더 많은 치은퇴축을 보였다. 접합상피 및 결합조직대의 치유에 대한 전기자극의 영향은 없었으나 제 II군에서는 4주보다는 8주후에 결합조직 부착대의 폭이 증가하였다. 치조골 재생은 모든 군에서 8주 후 4주보다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골재생양도 제 III군이 제 I, II군 에 비하여 유의하게 많았다. 치주조직 부착 증진율도 모든 군에서 8주후 4주보다 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제 III군이 제 I, II군에 비하여 4주와 8주후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는 3급 분지부 결손을 동반하는 치주병소에 동종탈회동결건조골 이식과 함께 미소전류자극장치를 이용한 전기자극을 가하면 치조골 재생의 증진과 함께 치주조직 신부착을 증진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고 본다.
Several experimental studie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small amounts of electric current to bone stimulated osteogenesis at the site of the cathode and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electrical currents to periodontal defects could promote bone and cementum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
Several experimental studie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small amounts of electric current to bone stimulated osteogenesis at the site of the cathode and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electrical currents to periodontal defects could promote bone and cementum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rect microcurrent to the periodontal regeneration of class III furcation defects in dogs. Class III furcation defects were surgically created on the third and the fourth premolars bilaterally in the mandibles of nine mongrel dogs. Experimental periodontitis were induced by placing small cotton pellets into the created defects for 3 weeks. The experimental sit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ies: Group I- surgical debridement only; Group II- allogenic demineralized freeze dried bone grafting; Group III- allogenic demineralized freeze dried bone grafting and electrical stimulation. For fluorescence microscopic evaluation, calcein, oxytetracycline HCI and alizarin red were injected 2, 4 and 8 weeks(3 days prior to sacrifice) after surgery. The animals were sacrificed in the 1st, 2nd, 4th and 8th week after periodontal surgery and the decalcified and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and histometrical examination. After the first and the second weeks, gingival recession was more severe in group I than groups II and III. After the fourth and the eighth week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width of junctional epithelium and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among the three groups, but the width of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increased in group II at the eighth week, compared to the fourth week. The amount of bone repair in new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group III, compared to groups I and II. New attachment forma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group III, compared to groups I and group II. These results suggest that electrical stimulation using microcurrent generator could be a useful tool for periodontal regenerative therapy in class III furcation defect.
Several experimental studies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small amounts of electric current to bone stimulated osteogenesis at the site of the cathode and suggests that the application of electrical currents to periodontal defects could promote bone and cementum 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direct microcurrent to the periodontal regeneration of class III furcation defects in dogs. Class III furcation defects were surgically created on the third and the fourth premolars bilaterally in the mandibles of nine mongrel dogs. Experimental periodontitis were induced by placing small cotton pellets into the created defects for 3 weeks. The experimental sit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ies: Group I- surgical debridement only; Group II- allogenic demineralized freeze dried bone grafting; Group III- allogenic demineralized freeze dried bone grafting and electrical stimulation. For fluorescence microscopic evaluation, calcein, oxytetracycline HCI and alizarin red were injected 2, 4 and 8 weeks(3 days prior to sacrifice) after surgery. The animals were sacrificed in the 1st, 2nd, 4th and 8th week after periodontal surgery and the decalcified and undecalcified specimens were prepared for histological and histometrical examination. After the first and the second weeks, gingival recession was more severe in group I than groups II and III. After the fourth and the eighth week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width of junctional epithelium and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among the three groups, but the width of connective tissue attachment increased in group II at the eighth week, compared to the fourth week. The amount of bone repair in new attachment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group III, compared to groups I and II. New attachment formati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group III, compared to groups I and group II. These results suggest that electrical stimulation using microcurrent generator could be a useful tool for periodontal regenerative therapy in class III furcation defect.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