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은하의 구상 성단계를 연구하기 위해서 14개의 타원 은하에 대해 V필터로 관측된 CCD 영상을 분석하여 구상 성단들을 측광하였다. 타원 은하 안에 있는 구상 성단들은 대부분 은하 밝기에 가려져 개개의 성단들로 분해되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타원 은하의 광도 분포를 근사적으로 구해서 이상적인 모형 은하를 만든 후 원래의 타원은하의 영상에서 빼어주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차등 영상을 사용하면 구상 성단들을 잘 식별할 수 있고. 따라서 정확한 측광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측광을 통하여 14개의 타원 은하에 대한 구상 성단의 개수와 고유 빈도수를 구하였다. 상대적으로 어두운 타원 은하 안에서도 400여 개가 넘는 구상성단후보들을 찾았고, 타원 은하의 전체 밝기가 어두워지면서 고유 빈도수가 다시 높아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각각의 타원 은하들에 대해 구상 성단들의 ...
외부 은하의 구상 성단계를 연구하기 위해서 14개의 타원 은하에 대해 V필터로 관측된 CCD 영상을 분석하여 구상 성단들을 측광하였다. 타원 은하 안에 있는 구상 성단들은 대부분 은하 밝기에 가려져 개개의 성단들로 분해되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타원 은하의 광도 분포를 근사적으로 구해서 이상적인 모형 은하를 만든 후 원래의 타원은하의 영상에서 빼어주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차등 영상을 사용하면 구상 성단들을 잘 식별할 수 있고. 따라서 정확한 측광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측광을 통하여 14개의 타원 은하에 대한 구상 성단의 개수와 고유 빈도수를 구하였다. 상대적으로 어두운 타원 은하 안에서도 400여 개가 넘는 구상성단후보들을 찾았고, 타원 은하의 전체 밝기가 어두워지면서 고유 빈도수가 다시 높아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각각의 타원 은하들에 대해 구상 성단들의 광도 함수를 그렸다. 이 광도 함수는 그 모양이 대체로 가우스 함수 꼴로 나타나지만, 은하마다 모양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고, 분산이 1.3 인 것에서부터 2.0인 것까지 다양했다. 광도 함수의 최대 분포 등급으로 거리를 구하여 다른 방법으로 구한 거리와 비교하였고, 거꾸로 기존의 나와 있는 거리를 이용하여 최대 분포점의 절대 등급(M^(o)_(v))을 구해 보았다. 그 결과. 광도 함수로 구한 거리가 다른 거리와 일치하는 것도 있었지만, 차이가 나는 은하들도 있었고, M^(0)_(v) 값도 -7.44에서 -7.89까지 은하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그래서 광도 함수의 분산 값과 M^(0)_(v)를 은하의 여러 특성들과 비교해 보았고, 결과로 타원 은하 안에 있는 구상 성단들은 은하의 충돌이나 융합이 포함된 은하의 진화 과정을 거치면서 그 분포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외부 은하의 구상 성단계를 연구하기 위해서 14개의 타원 은하에 대해 V필터로 관측된 CCD 영상을 분석하여 구상 성단들을 측광하였다. 타원 은하 안에 있는 구상 성단들은 대부분 은하 밝기에 가려져 개개의 성단들로 분해되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타원 은하의 광도 분포를 근사적으로 구해서 이상적인 모형 은하를 만든 후 원래의 타원은하의 영상에서 빼어주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차등 영상을 사용하면 구상 성단들을 잘 식별할 수 있고. 따라서 정확한 측광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측광을 통하여 14개의 타원 은하에 대한 구상 성단의 개수와 고유 빈도수를 구하였다. 상대적으로 어두운 타원 은하 안에서도 400여 개가 넘는 구상성단후보들을 찾았고, 타원 은하의 전체 밝기가 어두워지면서 고유 빈도수가 다시 높아지는 것을 알아내었다.
그리고, 각각의 타원 은하들에 대해 구상 성단들의 광도 함수를 그렸다. 이 광도 함수는 그 모양이 대체로 가우스 함수 꼴로 나타나지만, 은하마다 모양이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고, 분산이 1.3 인 것에서부터 2.0인 것까지 다양했다. 광도 함수의 최대 분포 등급으로 거리를 구하여 다른 방법으로 구한 거리와 비교하였고, 거꾸로 기존의 나와 있는 거리를 이용하여 최대 분포점의 절대 등급(M^(o)_(v))을 구해 보았다. 그 결과. 광도 함수로 구한 거리가 다른 거리와 일치하는 것도 있었지만, 차이가 나는 은하들도 있었고, M^(0)_(v) 값도 -7.44에서 -7.89까지 은하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그래서 광도 함수의 분산 값과 M^(0)_(v)를 은하의 여러 특성들과 비교해 보았고, 결과로 타원 은하 안에 있는 구상 성단들은 은하의 충돌이나 융합이 포함된 은하의 진화 과정을 거치면서 그 분포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었다.
We analyzed V-band CCD images of 14 nearby elliptical galax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otometric properties of extragalactic globular cluster systems. Globular clusters in external galaxies are extremely difficult to observe because they are usually embedded in the strong background light of h...
We analyzed V-band CCD images of 14 nearby elliptical galax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otometric properties of extragalactic globular cluster systems. Globular clusters in external galaxies are extremely difficult to observe because they are usually embedded in the strong background light of host galaxies. Therefore, we first modelled and subtracted the general light distribution of each host galaxy from observed images. The photometry of globular cluster s using residual images turned out to be much easier and more reliable.
For each galaxy, we derived the total number of globular cluster, its specific frequency, and the cluster luminosity functions. Most cluster luminosity functions can be well fitted by simple Gaussian function but with markedly different dispersions. Observed dispersion vary from 1.3 to 2.0 from galaxy to galaxy, and appear to vary proportional to their velocity dispersion and metal abundance. If proven true, this may indicate that the evolution of cluster system is not independent of the dynamical and chemical evolution of their host galaxy.
We also checked the usefulness of globular clusters as distance indicator. The derived distance assuming a constant peak brightness for all cluster systems, seems to agree well with other distance estimates. However, we found that some galaxies do show peculiarities. We tri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is discrepancy by correlating the absolute peak magnitude of cluster luminosity function (derived by assuming known distances) with other physical properties of host galaxies. We found that our data can be most well explained if we assume two separate populations of globular cluster system(regardless of luminosity or velocity dispersion of parent galaxies), ie. a population with M^(0)_(v)∼-7.55 and another with M^(0)_(v)∼-7.85.
We analyzed V-band CCD images of 14 nearby elliptical galax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hotometric properties of extragalactic globular cluster systems. Globular clusters in external galaxies are extremely difficult to observe because they are usually embedded in the strong background light of host galaxies. Therefore, we first modelled and subtracted the general light distribution of each host galaxy from observed images. The photometry of globular cluster s using residual images turned out to be much easier and more reliable.
For each galaxy, we derived the total number of globular cluster, its specific frequency, and the cluster luminosity functions. Most cluster luminosity functions can be well fitted by simple Gaussian function but with markedly different dispersions. Observed dispersion vary from 1.3 to 2.0 from galaxy to galaxy, and appear to vary proportional to their velocity dispersion and metal abundance. If proven true, this may indicate that the evolution of cluster system is not independent of the dynamical and chemical evolution of their host galaxy.
We also checked the usefulness of globular clusters as distance indicator. The derived distance assuming a constant peak brightness for all cluster systems, seems to agree well with other distance estimates. However, we found that some galaxies do show peculiarities. We tried to identify the cause of this discrepancy by correlating the absolute peak magnitude of cluster luminosity function (derived by assuming known distances) with other physical properties of host galaxies. We found that our data can be most well explained if we assume two separate populations of globular cluster system(regardless of luminosity or velocity dispersion of parent galaxies), ie. a population with M^(0)_(v)∼-7.55 and another with M^(0)_(v)∼-7.85.
Keyword
#구상성단
#타원은하
#광도 함수
#globular clusters
#elliptical galaxies
#luminosity function
학위논문 정보
저자
신현주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천문우주학과
발행연도
2001
총페이지
x, 55p.
키워드
구상성단,
타원은하,
광도 함수,
globular clusters,
elliptical galaxies,
luminosity func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