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부부관계의 증진과 부부 각자의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먼저 성인발달 관점에 입각하여 부부관계의 심리적 특성과 그것이 부부 각자의 성장 및 부부관계 증진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밝혀보았다. 부부의 친밀성은 자기개방과 공감과 같은 관계형성 능력에 기초하며, 배우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통해서 부부 각자는 성인으로서의 정체감을 형성하며 관계형성능력을 확장해나간다. 성인발달 관점에서 볼 때에 부부 각자의 성장은 배우자와의 상호 독립적인 의존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본틀을 만들기 위하여 인간의 성장발달을 강조하는 인간중심 원리들이 부부상담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보았고, 그 가운데 대표적인 Guerney의 ...
본 연구에서는 부부관계의 증진과 부부 각자의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먼저 성인발달 관점에 입각하여 부부관계의 심리적 특성과 그것이 부부 각자의 성장 및 부부관계 증진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밝혀보았다. 부부의 친밀성은 자기개방과 공감과 같은 관계형성 능력에 기초하며, 배우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통해서 부부 각자는 성인으로서의 정체감을 형성하며 관계형성능력을 확장해나간다. 성인발달 관점에서 볼 때에 부부 각자의 성장은 배우자와의 상호 독립적인 의존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본틀을 만들기 위하여 인간의 성장발달을 강조하는 인간중심 원리들이 부부상담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보았고, 그 가운데 대표적인 Guerney의 RE (Relationship Enhancement) 모델을 기본모형으로 확정하고 표현기술, 공감반응, 표현과 공감의 기어바꾸기식 대화법을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본 요소로 확정하였다. 이밖에도 기존 프로그램들을 검토한 후에 배우자에 대한 이해와 수용, 상처나누기와 용서와 같은 정서적 체험 등을 부부관계의 변화나 증진을 가져오는 치료적 요소로 구체화하고 우리나라 부부들의 실정에 맞도록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인간중심접근법을 기본 모형으로 한 통합적인 교육상담(Educo-Counseling) 프로그램'으로서의 특성을 띄고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 4가지였다.
첫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부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부부집단에 비해 부부의 적응수준 및 결혼만족도가 증가할 것인가?
둘째, 프로그램 참가 부부집단은 비참가집단에 비해 대화수준이 증가할 것인가?
셋째, 프로그램 참가 부부집단은 비참가집단에 비해 친밀성 정도가 증가할 것인가?
넷째, 프로그램 참가 부부집단은 비참가집단에 비해 부부관계(존중, 공감, 일치성) 수준이 증가할 것인가?
교회에 다니는 6쌍의 부부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예비실시 결과에서 결혼만족도, 전반적 부부관계(존중, 공감, 일치성)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참가자들로부터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이 있었다. 예비연구에서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9쌍의 부부가 참가하였고,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하여 참가집단과 비슷한 인구학적 특성을 지닌 비참가집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분석은 통계적 방법에 의한 분석과 집단상담 진행 과정에 대한 내용분석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였고, 최종 분석은 8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의 양적 효과 분석은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간의 사전-사후 검사결과 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가집단 부부들은 부부적응, 부부대화, 부부친밀성, 부부관계의 정도가 집단상담 참가 후에 비참가집단에 비해 증가되었다. 둘째, 남녀별,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남편들은 집단상담 참가 후에 비참가집단에 비해 부부적응, 부부친밀성, 부부관계에서 배우자의 존중, 공감, 일치성이 증가된 것으로 지각하였다. 셋째, 아내들은 집단상담 참가 후에 비참가집단에 비해 부부대화, 부부친밀성, 부부관계에서 배우자의 일치성이 향상된 것으로 지각하였다.
집단상담의 전반적 진행과정과 부부의 개별 사례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에서 감정표현이 증가되었고, 부부의 정서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둘째, 갈등상황에서 이전의 방어적인 방식에서 보다 수용적이고 공감적인 방식으로 의사소통하고 있었다. 또한 갈등대처방식에서 자신에게도 일정부분 책임이 있다는 자기초점화된 태도를 보였다. 셋째, 부부가 배우자에게 느끼는 부정적 감정 및 심층적 감정, 자신의 약한 부분과 상처에 대해서도 허심탄회하게 나눌 수 있을 정도의 신뢰감과 친밀성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부부적응 수준 및 결혼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내용분석 결과 갈등상황에서 의견일치의 정도, 부부가 같이 활동에 참가하는 정도, 부부관계에 대한 만족도에서 변화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부부의 대화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내용분석에서 부부의 감정 표현이 증가되었고, 공감반응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부부친밀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내용분석에서 부부의 상호신뢰, 이해와 수용, 솔직한 의사소통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부부성장 집단상담은 배우자에 대한 존중, 의사소통에서의 공감, 일치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전반적인 부부관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연구에 참여한 대상이 소수이고,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의 동질성을 엄격히 통제하지 못했다는 점이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이다.
본 연구는 인간중심 상담원리에 기초하여 부부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상담(educo-counseling)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집단상담 진행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부부관계에서의 변화가 실제로 어떻게 일어났는지 살펴봄으로써,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부부상담의 실제에 적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프로그램의 효과 면에서 남녀 차이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 프로그램의 적용 대상을 예비부부나 학교상담에서 대학생 커플 등으로 다양화할 필요성, 프로그램의 장기 효과에 대한 추후연구의 필요성 등 세 가지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부관계의 증진과 부부 각자의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먼저 성인발달 관점에 입각하여 부부관계의 심리적 특성과 그것이 부부 각자의 성장 및 부부관계 증진과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밝혀보았다. 부부의 친밀성은 자기개방과 공감과 같은 관계형성 능력에 기초하며, 배우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통해서 부부 각자는 성인으로서의 정체감을 형성하며 관계형성능력을 확장해나간다. 성인발달 관점에서 볼 때에 부부 각자의 성장은 배우자와의 상호 독립적인 의존관계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본틀을 만들기 위하여 인간의 성장발달을 강조하는 인간중심 원리들이 부부상담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살펴보았고, 그 가운데 대표적인 Guerney의 RE (Relationship Enhancement) 모델을 기본모형으로 확정하고 표현기술, 공감반응, 표현과 공감의 기어바꾸기식 대화법을 부부관계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기본 요소로 확정하였다. 이밖에도 기존 프로그램들을 검토한 후에 배우자에 대한 이해와 수용, 상처나누기와 용서와 같은 정서적 체험 등을 부부관계의 변화나 증진을 가져오는 치료적 요소로 구체화하고 우리나라 부부들의 실정에 맞도록 프로그램 내용을 구성하였다. 따라서 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인간중심접근법을 기본 모형으로 한 통합적인 교육상담(Educo-Counseling) 프로그램'으로서의 특성을 띄고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 4가지였다.
첫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부부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부부집단에 비해 부부의 적응수준 및 결혼만족도가 증가할 것인가?
둘째, 프로그램 참가 부부집단은 비참가집단에 비해 대화수준이 증가할 것인가?
셋째, 프로그램 참가 부부집단은 비참가집단에 비해 친밀성 정도가 증가할 것인가?
넷째, 프로그램 참가 부부집단은 비참가집단에 비해 부부관계(존중, 공감, 일치성) 수준이 증가할 것인가?
교회에 다니는 6쌍의 부부들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의 예비실시 결과에서 결혼만족도, 전반적 부부관계(존중, 공감, 일치성)에서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점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참가자들로부터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이 있었다. 예비연구에서의 피드백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본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9쌍의 부부가 참가하였고, 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하여 참가집단과 비슷한 인구학적 특성을 지닌 비참가집단을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분석은 통계적 방법에 의한 분석과 집단상담 진행 과정에 대한 내용분석의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였고, 최종 분석은 8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의 양적 효과 분석은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간의 사전-사후 검사결과 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참가집단 부부들은 부부적응, 부부대화, 부부친밀성, 부부관계의 정도가 집단상담 참가 후에 비참가집단에 비해 증가되었다. 둘째, 남녀별, 하위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남편들은 집단상담 참가 후에 비참가집단에 비해 부부적응, 부부친밀성, 부부관계에서 배우자의 존중, 공감, 일치성이 증가된 것으로 지각하였다. 셋째, 아내들은 집단상담 참가 후에 비참가집단에 비해 부부대화, 부부친밀성, 부부관계에서 배우자의 일치성이 향상된 것으로 지각하였다.
집단상담의 전반적 진행과정과 부부의 개별 사례에 대한 내용분석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관계에서 감정표현이 증가되었고, 부부의 정서적 상호작용이 증가하였다. 둘째, 갈등상황에서 이전의 방어적인 방식에서 보다 수용적이고 공감적인 방식으로 의사소통하고 있었다. 또한 갈등대처방식에서 자신에게도 일정부분 책임이 있다는 자기초점화된 태도를 보였다. 셋째, 부부가 배우자에게 느끼는 부정적 감정 및 심층적 감정, 자신의 약한 부분과 상처에 대해서도 허심탄회하게 나눌 수 있을 정도의 신뢰감과 친밀성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부부적응 수준 및 결혼만족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내용분석 결과 갈등상황에서 의견일치의 정도, 부부가 같이 활동에 참가하는 정도, 부부관계에 대한 만족도에서 변화가 확인되었다.
둘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부부의 대화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내용분석에서 부부의 감정 표현이 증가되었고, 공감반응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부부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부부친밀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 내용분석에서 부부의 상호신뢰, 이해와 수용, 솔직한 의사소통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부부성장 집단상담은 배우자에 대한 존중, 의사소통에서의 공감, 일치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전반적인 부부관계를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연구에 참여한 대상이 소수이고, 참가집단과 비참가집단의 동질성을 엄격히 통제하지 못했다는 점이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이다.
본 연구는 인간중심 상담원리에 기초하여 부부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상담(educo-counseling)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집단상담 진행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부부관계에서의 변화가 실제로 어떻게 일어났는지 살펴봄으로써,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부부상담의 실제에 적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앞으로의 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프로그램의 효과 면에서 남녀 차이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 프로그램의 적용 대상을 예비부부나 학교상담에서 대학생 커플 등으로 다양화할 필요성, 프로그램의 장기 효과에 대한 추후연구의 필요성 등 세 가지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couple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ill the degree of marital adjust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couple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ill the degree of marital adjust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couple group as a resul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tervention?
Second, will the degree of marital communication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couple group as a resul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tervention?
T bird, will the degree of marital intimacy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couple group as a resul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tervention?
Fourth, will the degree of marital relationship such as regard, empathy and congruence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couple group as a resul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tervention?
In addition to the statistical method, it was intended to find out how the couple's relationship process was chang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cases as well as the group process observation.
Marital relationship program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review of marital prevention and relationship improvement-related literature, pilot study and validation. T he program is designed to be applicable for 8 sessions of 150 minutes including introduction, awaring and expressing emotions, empathic responding, switching the expressing and empathic skills, conflict resolution, sexual intimacy, forgiveness between couples.
The present study consists of two main parts: one is based on quantative analysis, and the other is based on content analysis.
In pilot study, 6 couples who volunteered were subjected to the 5 sessions of 180 minutes per session program. The result was that this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was efficient for improving marital relationship.
In main study, 9 couples who volunteered were subjected to the 8 sessions of 150 minutes per session program. The non-participant group was composed of 9 couples who were similar to the participant group. Finally, 8 couples were analysized in quan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After the program intervention, degree of marital adjust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intimacy, marital relationship such as regard, empathy and congruen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case analysis an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program process,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ic responses were increased in couple relationships. Second, in conflict situation couple showed new interaction patterns such as self-focused attitude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Third, couple communicated openly to share their hurt and vulnerabilities.
Therefor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degree of marital adjustment,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intimacy, and marital relationship such as regard, empathy and congruence.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y, and diverse subjects such as premarital couples, and further analysis about the program effect due to the male/female differenc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couples and to examine its effectivenes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ill the degree of marital adjust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couple group as a resul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tervention?
Second, will the degree of marital communication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couple group as a resul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tervention?
T bird, will the degree of marital intimacy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couple group as a resul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tervention?
Fourth, will the degree of marital relationship such as regard, empathy and congruence significantly be improved in the participant couple group compared to the non-participant couple group as a result of th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intervention?
In addition to the statistical method, it was intended to find out how the couple's relationship process was chang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cases as well as the group process observation.
Marital relationship program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review of marital prevention and relationship improvement-related literature, pilot study and validation. T he program is designed to be applicable for 8 sessions of 150 minutes including introduction, awaring and expressing emotions, empathic responding, switching the expressing and empathic skills, conflict resolution, sexual intimacy, forgiveness between couples.
The present study consists of two main parts: one is based on quantative analysis, and the other is based on content analysis.
In pilot study, 6 couples who volunteered were subjected to the 5 sessions of 180 minutes per session program. The result was that this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was efficient for improving marital relationship.
In main study, 9 couples who volunteered were subjected to the 8 sessions of 150 minutes per session program. The non-participant group was composed of 9 couples who were similar to the participant group. Finally, 8 couples were analysized in quantativ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After the program intervention, degree of marital adjust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intimacy, marital relationship such as regard, empathy and congruence increased significantly.
In case analysis an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program process, following facts were found. First, emotional expression and empathic responses were increased in couple relationships. Second, in conflict situation couple showed new interaction patterns such as self-focused attitude and mutual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Third, couple communicated openly to share their hurt and vulnerabilities.
Therefore, Marit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degree of marital adjustment,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communication, marital intimacy, and marital relationship such as regard, empathy and congruence.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y are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y, and diverse subjects such as premarital couples, and further analysis about the program effect due to the male/female differenc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