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어휘 확장을 위해 의미망을 적용한 학습방법의 효과성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두 가지 어휘지식 즉,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습득이 보이는 양상과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디. 구문과 문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의사소통이 어려운 초등학생에게 어휘지식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또한 초등학생은 자신이 아는 어휘의 증가를 영어발전의 증거로 여기며, 구문의 사용을 위해 어휘를 필요로 하기보다는 어휘의 사용을 위해 구문을 이용하려는 성향이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 중심의 학습과 함께 어휘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어휘확장에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L2 어휘 확장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학습자들이 가지는 선행지식을 활성화시키고, 그들의 높은 인지적 능력을 활용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적용한 방법중의 하나가 의미망(semantic maps) 활동이다. 초등영어지도에 의미망을 활용하는 연구는 많지만 대부분이 방안에 그치거나 효과적인 어휘지도 방법에 대한 탐색 중 일부분으로만 다루어졌다. 특히 우리나라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실험연구를 하였다. 1.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학습이 능동적 어휘와 수동적 어휘의 습득에 효과적인가? 2. 어휘의 품사에 따라 어휘의 습득에 차이가 있는가? 3.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학습은 능동적 어휘의 비율을 높이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고 실험집단에는 어휘의 선정과 도입, 학습의 전 과정에 의미망 활동의 특징적인 과정을 적용시켰다. 학습 후에 수동적인 어휘 측정을 위한 듣기 평가와, 능동적인 어휘의 측정을 위한 말하기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두 집단의 어휘습득의 양의 비교에서 단어수준의 단기평가에서는 의미망을 적용한 어휘학습을 한 반이 수동적 어휘와 능동적 어휘 모두 일반적인 어휘 학습을 한 반보다 습득한 어휘의 수가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의 큰 차이가 아니었다. 그러나 어휘를 의사소통에 넣어 사용하는 능력을 살핀 평가 결과 새로운 상황에서 의사소통 목적을 위해 어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활동에서 실험반의 능동적 어휘 사용이 통제반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의미망을 적용한 어휘학습이 학습한 어휘를 의사소통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여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단어수준의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어휘 확장을 위해 의미망을 적용한 학습방법의 효과성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두 가지 어휘지식 즉,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습득이 보이는 양상과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디. 구문과 문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의사소통이 어려운 초등학생에게 어휘지식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또한 초등학생은 자신이 아는 어휘의 증가를 영어발전의 증거로 여기며, 구문의 사용을 위해 어휘를 필요로 하기보다는 어휘의 사용을 위해 구문을 이용하려는 성향이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 중심의 학습과 함께 어휘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어휘확장에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L2 어휘 확장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학습자들이 가지는 선행지식을 활성화시키고, 그들의 높은 인지적 능력을 활용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적용한 방법중의 하나가 의미망(semantic maps) 활동이다. 초등영어지도에 의미망을 활용하는 연구는 많지만 대부분이 방안에 그치거나 효과적인 어휘지도 방법에 대한 탐색 중 일부분으로만 다루어졌다. 특히 우리나라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실험연구를 하였다. 1.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학습이 능동적 어휘와 수동적 어휘의 습득에 효과적인가? 2. 어휘의 품사에 따라 어휘의 습득에 차이가 있는가? 3.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학습은 능동적 어휘의 비율을 높이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고 실험집단에는 어휘의 선정과 도입, 학습의 전 과정에 의미망 활동의 특징적인 과정을 적용시켰다. 학습 후에 수동적인 어휘 측정을 위한 듣기 평가와, 능동적인 어휘의 측정을 위한 말하기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두 집단의 어휘습득의 양의 비교에서 단어수준의 단기평가에서는 의미망을 적용한 어휘학습을 한 반이 수동적 어휘와 능동적 어휘 모두 일반적인 어휘 학습을 한 반보다 습득한 어휘의 수가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의 큰 차이가 아니었다. 그러나 어휘를 의사소통에 넣어 사용하는 능력을 살핀 평가 결과 새로운 상황에서 의사소통 목적을 위해 어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활동에서 실험반의 능동적 어휘 사용이 통제반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의미망을 적용한 어휘학습이 학습한 어휘를 의사소통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여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단어수준의 장기기억 평가에서 는 의미망 적용반의 수동적 어휘와 능동적 어휘 습득량이 모두 일반적 어휘 학습반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만큼 많았다. 따라서 의미망을 활용한 어휘학습은 어휘의 장기기억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어휘의 종류 즉 품사에 따라 어휘의 습득에 차이가 있어 두 집단 모두 명사가 동사보다 습득율이 높았다. 집단간의 차이는 명사와 동사 각각의 양상이 달랐는데 실험반의 동사 습득량은 통제반보다 우수하였으나 명사의 경우에는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미한 정도가 되지 못했다. 이렇게 의미망의 효과가 동사에서 더 컸던 것은 의미망을 적용한 활동이 동사의 습득을 어렵게 하는 요소들을 보완해 주는데 효과적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명사와 동사에서 보인 효과성의 차이는 본 실험연구에 사용된 어휘의 특징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셋째, 각 집단의 습득 어휘 전체 중 능동적 어휘가 차지하는 비율을 비교한 결과 의미망을 적용한 집단의 능동적 어휘의 비율이 더 컸다. 이것은 두 집단이 같은 양의 수동적 지식을 습득했을 때 실험집단의 능동적 지식이 많이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의미망을 통한 어휘학습은 능동적 어휘의 양을 늘리는데 효과적이었다. 품사별 능동적 어휘의 비율 역시 명사와 동사 모두 의미망 활용반의 능동적 어휘비율이 높았는데 어휘습득량의 비교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사의 경우에 더 큰 차이가 있었고 명사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상의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의미망 기법의 적용은 어휘의 장기적인 기억을 도와주고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휘의 습득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지도 대상 어휘의 종류에 따라 어휘의 습득률이나 수동적 어휘의 능동화 비율이 달라진다는 점은 연구의 결과인 동시에 어휘지도에 있어 의미망 기법의 적용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어휘 확장을 위해 의미망을 적용한 학습방법의 효과성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두 가지 어휘지식 즉, 수동적 어휘지식과 능동적 어휘지식의 습득이 보이는 양상과 관계를 살펴보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디. 구문과 문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의사소통이 어려운 초등학생에게 어휘지식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또한 초등학생은 자신이 아는 어휘의 증가를 영어발전의 증거로 여기며, 구문의 사용을 위해 어휘를 필요로 하기보다는 어휘의 사용을 위해 구문을 이용하려는 성향이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 중심의 학습과 함께 어휘의 중요성을 반영하고 어휘확장에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병행될 필요가 있다. L2 어휘 확장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학습자들이 가지는 선행지식을 활성화시키고, 그들의 높은 인지적 능력을 활용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적용한 방법중의 하나가 의미망(semantic maps) 활동이다. 초등영어지도에 의미망을 활용하는 연구는 많지만 대부분이 방안에 그치거나 효과적인 어휘지도 방법에 대한 탐색 중 일부분으로만 다루어졌다. 특히 우리나라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실험연구를 하였다. 1.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학습이 능동적 어휘와 수동적 어휘의 습득에 효과적인가? 2. 어휘의 품사에 따라 어휘의 습득에 차이가 있는가? 3. 의미장을 활용한 어휘학습은 능동적 어휘의 비율을 높이는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하고 실험집단에는 어휘의 선정과 도입, 학습의 전 과정에 의미망 활동의 특징적인 과정을 적용시켰다. 학습 후에 수동적인 어휘 측정을 위한 듣기 평가와, 능동적인 어휘의 측정을 위한 말하기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두 집단의 어휘습득의 양의 비교에서 단어수준의 단기평가에서는 의미망을 적용한 어휘학습을 한 반이 수동적 어휘와 능동적 어휘 모두 일반적인 어휘 학습을 한 반보다 습득한 어휘의 수가 많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의 큰 차이가 아니었다. 그러나 어휘를 의사소통에 넣어 사용하는 능력을 살핀 평가 결과 새로운 상황에서 의사소통 목적을 위해 어휘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활동에서 실험반의 능동적 어휘 사용이 통제반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의미망을 적용한 어휘학습이 학습한 어휘를 의사소통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여 주었음을 알 수 있다. 또 단어수준의 장기기억 평가에서 는 의미망 적용반의 수동적 어휘와 능동적 어휘 습득량이 모두 일반적 어휘 학습반에 비해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만큼 많았다. 따라서 의미망을 활용한 어휘학습은 어휘의 장기기억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어휘의 종류 즉 품사에 따라 어휘의 습득에 차이가 있어 두 집단 모두 명사가 동사보다 습득율이 높았다. 집단간의 차이는 명사와 동사 각각의 양상이 달랐는데 실험반의 동사 습득량은 통제반보다 우수하였으나 명사의 경우에는 집단간의 차이가 유의미한 정도가 되지 못했다. 이렇게 의미망의 효과가 동사에서 더 컸던 것은 의미망을 적용한 활동이 동사의 습득을 어렵게 하는 요소들을 보완해 주는데 효과적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명사와 동사에서 보인 효과성의 차이는 본 실험연구에 사용된 어휘의 특징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셋째, 각 집단의 습득 어휘 전체 중 능동적 어휘가 차지하는 비율을 비교한 결과 의미망을 적용한 집단의 능동적 어휘의 비율이 더 컸다. 이것은 두 집단이 같은 양의 수동적 지식을 습득했을 때 실험집단의 능동적 지식이 많이 형성되었음을 의미하며, 따라서 의미망을 통한 어휘학습은 능동적 어휘의 양을 늘리는데 효과적이었다. 품사별 능동적 어휘의 비율 역시 명사와 동사 모두 의미망 활용반의 능동적 어휘비율이 높았는데 어휘습득량의 비교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사의 경우에 더 큰 차이가 있었고 명사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이상의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의미망 기법의 적용은 어휘의 장기적인 기억을 도와주고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어휘의 습득에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지도 대상 어휘의 종류에 따라 어휘의 습득률이나 수동적 어휘의 능동화 비율이 달라진다는 점은 연구의 결과인 동시에 어휘지도에 있어 의미망 기법의 적용에 대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semantic mapping strategy applied on vocabulary acquisition of elementary English teaching and describing the vocabulary knowledge the students gained.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becomes greater for the young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commu...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semantic mapping strategy applied on vocabulary acquisition of elementary English teaching and describing the vocabulary knowledge the students gained.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becomes greater for the young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due to the lack of structural and grammatical knowledge. Young students also have the tendency to regard their vocabulary gains as evidence of their improvement in English learning. All of these provide a necessity to introduce some effective vocabulary teaching methods for vocabulary increase, especially productive vocabulary. As one of those methods, semantic mapping has many advantages. Applying it for a better vocabulary building, this study set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1. Is the vocabulary learning applying semantic mapping effective in acquiring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2. Is their any difference in the vocabulary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word class(noun and verb)? 3. Does the vocabulary learning method increase the ratio of active vocabulary? For the research,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set a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semantic mapping strategies were applied throughout the entire vocabulary learning process from the selection of target words. After the learning process, listening and speaking tests were given to measure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hort-term test comparing the amount of vocabulary acquired, the semantic mapping applied group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overall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acquisition at the word level.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e use of words in communicative contexts. And the result of the long-term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overall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size. Secondly, in the analysis dividing words into noun and verb, the acquisition of nouns and verbs were proved different. Nouns were better acquired than verbs in both groups. In the comparison of the two groups, the semantic mapping applied group showed better acquisition of verbs in both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ouns. Thirdly, the ratio of active vocabular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gap was wider in the verbs than the nouns. Consequently, from th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semantic mapping activities help the long-term retention of words and the activation of passive words to active words. And the result that the acquisition and activation of vocabulary a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of words implies the need for more research in the application of semantic mapping activities.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semantic mapping strategy applied on vocabulary acquisition of elementary English teaching and describing the vocabulary knowledge the students gained.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becomes greater for the young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due to the lack of structural and grammatical knowledge. Young students also have the tendency to regard their vocabulary gains as evidence of their improvement in English learning. All of these provide a necessity to introduce some effective vocabulary teaching methods for vocabulary increase, especially productive vocabulary. As one of those methods, semantic mapping has many advantages. Applying it for a better vocabulary building, this study set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1. Is the vocabulary learning applying semantic mapping effective in acquiring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2. Is their any difference in the vocabulary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word class(noun and verb)? 3. Does the vocabulary learning method increase the ratio of active vocabulary? For the research,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ere set a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semantic mapping strategies were applied throughout the entire vocabulary learning process from the selection of target words. After the learning process, listening and speaking tests were given to measure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respectivel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hort-term test comparing the amount of vocabulary acquired, the semantic mapping applied group didn'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overall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acquisition at the word level. Bu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e use of words in communicative contexts. And the result of the long-term tes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overall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size. Secondly, in the analysis dividing words into noun and verb, the acquisition of nouns and verbs were proved different. Nouns were better acquired than verbs in both groups. In the comparison of the two groups, the semantic mapping applied group showed better acquisition of verbs in both passive and active vocabular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nouns. Thirdly, the ratio of active vocabular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gap was wider in the verbs than the nouns. Consequently, from the results, it can be said that semantic mapping activities help the long-term retention of words and the activation of passive words to active words. And the result that the acquisition and activation of vocabulary a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s of words implies the need for more research in the application of semantic mapping activitie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