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가정환경과 또래유능성의 관계에서 언어발달의 역할
The Role of Language Development in the Relation from Home Environment to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원문보기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v.11 no.6, 2015년, pp.1 - 18  

장영은 (중앙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성미영 (서경대학교 아동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가정환경과 만 3세 유아의 언어발달, 그리고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즉, 유아의 가정환경이 바람직할 때 보다 나은 언어능력의 발달이 가능하며, 이는 어린이집 상황에서 보다 나은 긍정적 또래관계, 그리고 부정적 또래관계의 감소를 예측할 것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에 참여하고 있는 유아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4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이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 가정환경과 유아의 어휘능력은 긍정적인 또래관계와 부정적인 또래관계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유아 언어발달은 가정환경과 또래유능성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져 유아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언어발달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home environment of young children on their language and the quality of peer competence. The current study hypothesized that when the home environment of young children is desirable, the young children would be more likely to develop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또래와의 관계 형성이 증가하는 만 3세 유아를 대상으로 가정환경과 언어발달이 또래유능성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려는 연구목적을 가지고 실시되었다. 선행연구들은 유아기에 관찰되는 또래관계에서의 공격성은 언어발달의 문제와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Dionne et al.
  • 어머니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비롯한 양육의 반응성과 민감성, 가정 내 풍부한 인지적 자극과 책읽기와 같은 활동은 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이지연, 곽 금주, 2008; Bradley, Corwyn, McAdoo, & Coll, 2001; NICHD ECCRN, 2002; Son & Morrison, 2010).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환경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고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예측하는 경로를 설정하여 그 관계를 검증하여,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가정환경과 언어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에 있다.
  • 본 연구의 의의는 그 동안 선행연구에서 가정환경과 언어발달, 언어발달과 또래유능성 등 단편적으로 다루어졌던 관계들을 이론적 틀에 기초하여 연계한 결과, 가정환경이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의 새로운 경로를 입증했다는 데에 있다. 즉, 1970년대 말 가정환경검사(HOME: Bradley & Caldwell, 1979)가 개발된 이후, 많은 연구자들이 가정 내 인지적, 정서적, 물리적 양육환경의 질적 수준이 영유아 및 아동 발달의 다양한 측면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꾸준히 밝혀왔다.
  • 수용표현어휘력 검사는 2세 6개월부터 만 16세 이상 성인의 수용어휘능력과 표현어휘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된 도구로서 언어발달이 정상으로 보고된 아동 및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표준화 검사이다. 이 측정도구는 PPVT(Peabody Picture Vocabulary Test) 등 해외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어휘력 측정도구들을 바탕으로 한국어 발달에 적합하도록 개발되었다. 본 검사 도구 중 표현어휘검사는 총 37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검사자가 검사지침에 따라 실시하는 수행검사이다.
  • 이어서, 유아의 언어능력이 가정환경과 또래관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경로의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우선 가정환경은 유아의 언어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표준화 계수 = .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예측하는 가정환경과 언어발달의 역할에 대한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가정환경이 언어발달을 예측하고, 유아의 언어능력이 또래유능성을 예측하는 경로를 설정한 개념적 모형을 [그림 1]과 같이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관계의 확장과 언어발달이 동시에 일어나는 시기인 만 3세 유아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또래관계가 지속적이고 빈번하게 일어나는 어린이집 놀이상황에서의 또래유능성의 특성을 연구변인으로 선택하였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가정환경이 또래유능성(장영은, 2014; 한명숙, 서선숙, 2013)이나 언어능력(이지연, 곽금주, 2008; Son & Morrison, 2010)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살펴본 것과는 달리 가정환경과 사회성 발달 사이에 유아의 언어능력이 기여하는 매개적 역할을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앞서 이론적 고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보다 유리한 가정환경은 유아의 발달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데, 그 중 언어능력은 유아기 사회관계 확장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되므로, 본 연구는 가정환경과 언어가 각각 유아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동시적 영향 이외에도 가정환경의 질이 유아의 언어발달을 매개로 또래유능성을 예측하는 간접적인 경로가 존재할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지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또래놀이의 관찰은 사회적 관계에 대한 지식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기술을 포함한 유아의 또래 유능성을 측정하는 적절한 연구 방법에 해당하는 이유는? 반면 유아기에 관찰되는 긍정적인 또래관계는 유치원 적응과 학령기 학업성취를 포함한 이후 발달적 적응을 예측하는 장기적인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Ladd, Kochenderfer & Coleman, 1996; Parker & Asher, 1987). 유아의 또래관계를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맥락 중 하나는 놀이상황이다. 또래와의 자연스러운 놀이상황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규칙의 공유, 감정의 적절한 조절과 표현, 기억력, 기다리기와 순서 지키기 등의 능력이 요구되며, 유아기 이러한 능력의 습득은 이후 학습상황에서의 주의집중, 지속성, 협동 등의 기초가 된다. 따라서 또래놀이의 관찰은 사회적 관계에 대한 지식과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기술을 포함한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측정하는 적절한 연구방법에 해당한다(Fantuzzo, Sutton-Smith, Coolahan, Manz, Canning, & Debnam, 1995).
사회성발달 이론에 따르면 유아기란 어떤 시기인가? 사회성발달 이론에 따르면 유아기는 사회적 관계망의 폭을 확장시키는 시기로서, 이 시기 유아는 부모-자녀관계를 넘어서서 다른 성인과의 관계, 그리고 또래와의 관계를 활발하게 형성하게 된다. 유아가 경험하는 다양한 관계 중 대표적인 관계가 또래관계인데, 특히 유아가 어린이집과 같이 또래집단이 존재하는 양육환경에서 더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면서 유아는 다양하고 지속적인 또래 간의 사회적 관계형성의 필요성에 노출된다.
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하는 것은? 유아의 언어발달은 가정 내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예측된다. 어머니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비롯한 양육의 반응성과 민감성, 가정 내 풍부한 인지적 자극과 책읽기와 같은 활동은 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져 왔다(이지연, 곽 금주, 2008; Bradley, Corwyn, McAdoo, & Coll, 2001; NICHD ECCRN, 2002; Son & Morrison, 2010).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환경이 유아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주고 유아의 또래유능성을 예측 하는 경로를 설정하여 그 관계를 검증하여, 유아의 사회성 발달에 가정환경과 언어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돕는 데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우덕례 (2014). 만 5세 유아의 가정환경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의사결정력 매개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139-162. 

  2. 원명선 (2006).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도 및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또래놀이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이지연, 곽금주 (2008). 아동 초기 사회경제적 지위와 가정환경이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3), 151-165. 

  4. 임현주 (2014). 유아의 기질 및 가정환경과 또래 상호작용이 만 3세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4), 183-201. 

  5. 장영은 (2014).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 양육행동 및 가정환경과 유아의 어린이집 또래관계 부적응. 육아정책연구, 8(2), 45-64. 

  6. 최소영, 신혜영 (2015). 유아의 놀이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 311-329. 

  7. 한명숙, 서선숙 (2013).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가정환경자극 및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간의 구조분석. 생태유아연구, 12(1), 27-47. 

  8. Arbuckle, J. L. (2009). Amos 18 user's guide. Crawfordville, FL: Amos Development Corporation. 

  9. Blunch, N. J. (2008). Introduction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and AMOS. London: Sage. 

  10. Bradley, R. H., & Caldwell, B. M. (1979). Home observation for measurement of the environment: A revision of the preschool scale.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4(3), 235-244. 

  11. Bradley, R. H., & Corwyn, R. F. (2002).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1), 371-399. 

  12. Bradley, R. H., Corwyn, R. F., Burchinal, M., McAdoo, H. P., & Garcia Coll, C. (2001). The home environments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Part II: Relations with behavioral development through age thirteen. Child Development, 72(6), 1868-1886. 

  13. Bradley, R. H., Corwyn, R. F., McAdoo, H. P., & Coll, C. G. (2001). The home environment of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Part I: Variations by age, ethnicity, and poverty status. Child Development, 72(6), 1844-1867. 

  14. Burchinal, M. R., Roberts, J. E., Riggins Jr, R., Zeisel, S. A., Neebe, E., & Bryant, D. (2000). Relating quality of center-based child care to early cognitive and language development longitudinally. Child Development, 71(2), 339-357. 

  15. Caplan, M., Vespo, J., Pedersen, J., & Hay, D. F. (1991). Conflict and its resolution in small groups of one-and two-year-olds. Child Development, 62(6), 1513-1524. 

  16. Chen, X., Liu, M., & Li, D. (2000). Parental warmth, control, and indulgence and their relations to adjustment in Chinese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4(3), 401-419. 

  17. Clarke-Stewart, K. A. (1988). Parents' effects on children's development: A decade of progres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9(1), 41-84. 

  18. Coolahan, K., Fantuzzo, J., Mendez, J., & McDermott, P. (2000). Preschool peer interactions and readiness to learn: Relationships between classroom peer play and learning behaviors and conduc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3), 458-465. 

  19. De Feyter, J. J., & Winsler, A. (2009). The early developmental competencies and school readiness of low-income, immigrant children: Influences of generation, race/ethnicity, and national origi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4(4), 411-431. 

  20. Denham, S. A., & Holt, R. W. (1993). Preschoolers' likability as cause or consequence of their social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29(2), 271-275. 

  21. Dionne, G., Tremblay, R.E., Boivin, M., Laplante, D., & Perusse, D. (2003). Physical aggression and expressive vocabulary in 19-month-old twins. Developmental Psychology, 39(2), 61-273. 

  22. Doctoroff, G. L., Greer, J. A., & Arnold, D. H.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behavior and emergent literacy among preschool boys and girl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7(1), 1-13. 

  23. Eckerman, C. O., Davis, C. C., & Didow, S. M. (1989). Toddlers' emerging ways of achieving social coordinations with a peer. Child Development, 60(2), 440-453. 

  24. Eisenberg, N., Fabes, R. A., Guthrie, I. K., & Reiser, M. (2000). Dispositional emotionality and regulation: Their role in predicting quality of social functio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8(1), 136. 

  25. Fagot, B. I., & Gauvain, M. (1997). Mother-child problem solving: Continuity through the early childhood years. Developmental Psychology, 33(3), 480-488. 

  26.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P.,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411-431. 

  27.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han, K. C., Manz, P. H., Canning, S., & Deb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 young low-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1), 105-120. 

  28. Fox, N. A., & Calkins, S. D. (2003). The development of self-control of emotion: Intrinsic and extrinsic influences. Motivation and Emotion, 27(1), 7-26. 

  29. Girard, L. C., Pingault, J. B., Falissard, B., Boivin, M., Dionne, G., & Tremblay, R. E. (2014). Physical aggression and language ability from 17 to 72 months: Cross-lagged effects in a population sample. PloS one, 9(11), e112185. 

  30. Hart, B., & Risley, T. R. (1995).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veryday experience of young American children. Baltimore, MD: Paul H Brookes Publishing. 

  31. Hay, D. F. (2000). Toddlers talk about property to familiar peers. Post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ant Studies, Brighton, UK. 

  32. Howes, C., & Phillipsen, L. (1998). Continuity in children's relations with peers. Social Development, 7(3), 340-349. 

  33. Katz, J. R. (2004). Building peer relationships in talk: toddlers' peer conversations in childcare. Discourse Studies, 6(3), 329-346. 

  34. Ladd, G. W., Kochenderfer, B. J., & Coleman, C. C. (1996). Friendship quality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7(3), 1103-1118. 

  35. Mendez, J. L., McDermott, P., & Fantuzzo, J. (2002). Identifying and promoting social competence with African American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and contextual considerations. Psychology in the Schools, 39(1), 111-123. 

  36.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4). Trajectories of physical aggression from toddlerhood to middle childhood: Predictors, correlates, and outcomes.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69(4), 1-129. 

  37. NICHD ECCRN. (2002). Early child care and children' development prior to school entry: Results from the NICHD Study of Early Child Car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9(1), 133-164. 

  38. Olson, S. L., Bates, J. E., & Kaskie, B. (1992). Caregiver-infant interaction antecedents of children's school-age cognitive ability. Merrill-Palmer Quarterly, 38(3), 309-330. 

  39. Parker, J. G., & Asher, S. R. (1987). Peer relations and later personal adjustment: Are low-accepted children at risk? Psychological Bulletin, 102(3), 357-389. 

  40. Skwarchuk, S. L., Sowinski, C., & LeFevre, J. A. (2014). Formal and informal home learning activities in relation to children's early numeracy and literacy skills: The development of a home numeracy model.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121, 63-84. 

  41. Son, S. H., & Morrison, F. J. (2010). The nature and impact of changes in the home learning environment on growth of language and academic skills of preschool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46(5), 1103-1118. 

  42. Whitehurst, G. J., Falco, F. L., Lonigan, C. J., Fischel, J. E., DeBaryshe, B. D., Valdez-Menchaca, M. C., & Caulfield, M. (1988). Accelerating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4(4), 552-559. 

  43. Zimmerman, F. J., Glew, G. M., Christakis, D. A., & Katon, W. (2005). Early cognitive stimulation, emotional support, and television watching as predictors of subsequent bullying among grade-school children. Archives of Pediatrics & Adolescent Medicine, 159(4), 384-3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