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서관이나 전자문헌 생성자가 네트워크상의 문헌, 인쇄문헌을 디지털화한 전자문헌, 그리고 인쇄문헌의 특징을 용이하게 기술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형식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문헌조사를 통해 메타데이터의 정의와 필요성을 파악한 후, 사례를 조사하여 여러 메타데이터 형식의 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 형식의 제안에 참조할 형식으로 Dublin Core를 선정하였고, 추가확장할 데이터요소를 파악하였다. Dublin Core는 15개 요소를 이용하여 전자문헌의 서지기술을 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의 국제적인 합의결과를 반영하여 데이터교환포맷으로서의 잠재성을 가지는 메타데이터 형식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메타데이터 형식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따라 설계하였다. 첫째, 메타데이터 형식을 이용하는 대상은 도서관이나 전문가 외에 저자나 출판기관 등과 같이 목록규칙이나 서지기술규칙을 훈련받지 않은 이용자도 포함한다. 둘째, 메타데이터 형식의 구조는 다양한 이용대상을 고려하여 MARC보다 메타데이터 레코드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단순해야 하며, 또한 도서관 등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상세히 기술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형식은 요소와 값으로 단순하게 구성하며, 의미를 세분화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한정어를 이용하도록 하였다. 한정어는 scheme, type, role, lang이라는 네 가지 한정어로 구성하였다. 셋째, 형식의 모든 요소는 선택적으로 반복해서 사용하도록 설계하였다. 요소의 ...
본 연구는 도서관이나 전자문헌 생성자가 네트워크상의 문헌, 인쇄문헌을 디지털화한 전자문헌, 그리고 인쇄문헌의 특징을 용이하게 기술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형식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문헌조사를 통해 메타데이터의 정의와 필요성을 파악한 후, 사례를 조사하여 여러 메타데이터 형식의 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 형식의 제안에 참조할 형식으로 Dublin Core를 선정하였고, 추가확장할 데이터요소를 파악하였다. Dublin Core는 15개 요소를 이용하여 전자문헌의 서지기술을 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의 국제적인 합의결과를 반영하여 데이터교환포맷으로서의 잠재성을 가지는 메타데이터 형식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메타데이터 형식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따라 설계하였다. 첫째, 메타데이터 형식을 이용하는 대상은 도서관이나 전문가 외에 저자나 출판기관 등과 같이 목록규칙이나 서지기술규칙을 훈련받지 않은 이용자도 포함한다. 둘째, 메타데이터 형식의 구조는 다양한 이용대상을 고려하여 MARC보다 메타데이터 레코드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단순해야 하며, 또한 도서관 등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상세히 기술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형식은 요소와 값으로 단순하게 구성하며, 의미를 세분화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한정어를 이용하도록 하였다. 한정어는 scheme, type, role, lang이라는 네 가지 한정어로 구성하였다. 셋째, 형식의 모든 요소는 선택적으로 반복해서 사용하도록 설계하였다. 요소의 선택성과 반복성은 간편하게 문헌을 기술하고자 하는 이용자를 위한 것으로, 필요한 요소만을 선택해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저자, 주제 등을 요소의 반복으로 단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형식은 구문독립적이며, 확장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구문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확장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문헌이나 사용기관의 요구를 반영하거나, 시간경과에 따라 변경된 형식의 세부내역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원칙에 기초하여 수정 및 확장한 메타데이터 형식은 KORMARC, USMARC, CCF 필드 등의 내용을 준거하도록 하였으며, 설정한 요소를 이용한 검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CD-ROM 데이터베이스의 검색필드도 요소로 고려하였다. 제안한 메타데이터 형식은 레코드 생성과 데이터검색 및 교환에 다음과 같이 활용 할 수 있다. 첫째, 인쇄문헌을 디지털화한 전자문헌에 필요한 항목을 포함시킴으로써 도서관에서의 인쇄문헌 디지털화 작업에 활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인쇄문헌의 메타데이터 레코드 생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저자나 출판기관에서 생성하는 전자문헌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자가 직접 문헌의 생성과 동시에 만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서관이나 기관에서는 이러한 문헌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직접 생성하기보다는 전자문헌 생성자의 메타데이터를 상세한 목록이나 기술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셋째, 문헌의 내용을 잘 알 수 있는 전자문헌 생성자가 직접 작성한 레코드를 도서관 등에서 활용할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검색결과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넷째, 확장 설계한 메타데이터 형식은 全文데이터의 일부로서 메타데이터를 가질 수도 있으므로 全文데이터의 교환이 상대적으로 용이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최소 수준의 한계가 없어 매우 간략해질 수 있으므로 간략화정도를 기관에 따라 정할 수 있으며, 텍스트 중심의 문헌 이외에 이미지 위주 자료나 오디오/비디오 자료 등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확장·적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서관이나 전자문헌 생성자가 네트워크상의 문헌, 인쇄문헌을 디지털화한 전자문헌, 그리고 인쇄문헌의 특징을 용이하게 기술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형식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문헌조사를 통해 메타데이터의 정의와 필요성을 파악한 후, 사례를 조사하여 여러 메타데이터 형식의 요소를 비교분석하였다. 문헌조사와 사례조사를 기반으로 메타데이터 형식의 제안에 참조할 형식으로 Dublin Core를 선정하였고, 추가확장할 데이터요소를 파악하였다. Dublin Core는 15개 요소를 이용하여 전자문헌의 서지기술을 하고 있으며, 가장 최근의 국제적인 합의결과를 반영하여 데이터교환포맷으로서의 잠재성을 가지는 메타데이터 형식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메타데이터 형식은 다음과 같은 원칙에 따라 설계하였다. 첫째, 메타데이터 형식을 이용하는 대상은 도서관이나 전문가 외에 저자나 출판기관 등과 같이 목록규칙이나 서지기술규칙을 훈련받지 않은 이용자도 포함한다. 둘째, 메타데이터 형식의 구조는 다양한 이용대상을 고려하여 MARC보다 메타데이터 레코드를 용이하게 생성할 수 있도록 단순해야 하며, 또한 도서관 등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상세히 기술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따라서 형식은 요소와 값으로 단순하게 구성하며, 의미를 세분화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한정어를 이용하도록 하였다. 한정어는 scheme, type, role, lang이라는 네 가지 한정어로 구성하였다. 셋째, 형식의 모든 요소는 선택적으로 반복해서 사용하도록 설계하였다. 요소의 선택성과 반복성은 간편하게 문헌을 기술하고자 하는 이용자를 위한 것으로, 필요한 요소만을 선택해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저자, 주제 등을 요소의 반복으로 단순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넷째, 형식은 구문독립적이며, 확장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구문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에 영향을 받지 않고 다양한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였으며, 확장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문헌이나 사용기관의 요구를 반영하거나, 시간경과에 따라 변경된 형식의 세부내역을 포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과 같은 원칙에 기초하여 수정 및 확장한 메타데이터 형식은 KORMARC, USMARC, CCF 필드 등의 내용을 준거하도록 하였으며, 설정한 요소를 이용한 검색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CD-ROM 데이터베이스의 검색필드도 요소로 고려하였다. 제안한 메타데이터 형식은 레코드 생성과 데이터검색 및 교환에 다음과 같이 활용 할 수 있다. 첫째, 인쇄문헌을 디지털화한 전자문헌에 필요한 항목을 포함시킴으로써 도서관에서의 인쇄문헌 디지털화 작업에 활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인쇄문헌의 메타데이터 레코드 생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둘째, 저자나 출판기관에서 생성하는 전자문헌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생성자가 직접 문헌의 생성과 동시에 만들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서관이나 기관에서는 이러한 문헌에 대한 메타데이터를 직접 생성하기보다는 전자문헌 생성자의 메타데이터를 상세한 목록이나 기술을 위한 기초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다. 셋째, 문헌의 내용을 잘 알 수 있는 전자문헌 생성자가 직접 작성한 레코드를 도서관 등에서 활용할 경우에는 보다 정확한 검색결과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넷째, 확장 설계한 메타데이터 형식은 全文데이터의 일부로서 메타데이터를 가질 수도 있으므로 全文데이터의 교환이 상대적으로 용이해질 수 있다. 이외에도 최소 수준의 한계가 없어 매우 간략해질 수 있으므로 간략화정도를 기관에 따라 정할 수 있으며, 텍스트 중심의 문헌 이외에 이미지 위주 자료나 오디오/비디오 자료 등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서 확장·적용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and develop the Dublin Metadata Core Element Set(Dublin Core) for electronic documents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data elements of other metadata formats. To design the metadata format,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were performed. The literature 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and develop the Dublin Metadata Core Element Set(Dublin Core) for electronic documents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data elements of other metadata formats. To design the metadata format,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were performed. The literature research included investigation of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etadata, restrictions in existing ways for creating metadata of electronic documents, and requirements of new metadata format. Through case studies, several metadata formats were referred. and required data elem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accomplish this. Dublin Core, IAFA template-DLO, BibTeX, SOIF, RFC1807, and SeriCore were selected. Proposed format is based on Dublin Core, and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simple because only 15 elements are used to describe bibliographic description for electronic documents. Second, Doblin Core has the potential for being used as the data interchange format based on recent international arrangement.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element sets were reflected on the developing metadata format. The contents of the format were based on the CCF(Common Communication Format) mandatory fields, ISO 690-2 draft, and UKOLN metadata content comparing standard. Dublin Core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proposed format. In constructing this format, KORMARC, USMARC, CCF were essentially referred and CD-ROM database fields were also referred. The applications of this format are intended to describe electronic documents and can be extended to print documents in libraries.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metadata format are as follows: 1) It is easy to establish database of print documents as well as electronic documents. 2) Libraries can save the time, money, and endeavors in making metadata record or constructing database by using the record created by the electronic documents' creators. 3) It is expected to achieve high precision ratio and the user can find more relevant documents since making metadata by the electronic documents' creator. 4) Because metadata can be a part of full-text data, it becomes more easy to interchange full-text data and to enhance in resource shar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and and develop the Dublin Metadata Core Element Set(Dublin Core) for electronic documents by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data elements of other metadata formats. To design the metadata format, literature research and case studies were performed. The literature research included investigation of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etadata, restrictions in existing ways for creating metadata of electronic documents, and requirements of new metadata format. Through case studies, several metadata formats were referred. and required data elemen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accomplish this. Dublin Core, IAFA template-DLO, BibTeX, SOIF, RFC1807, and SeriCore were selected. Proposed format is based on Dublin Core, and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it is simple because only 15 elements are used to describe bibliographic description for electronic documents. Second, Doblin Core has the potential for being used as the data interchange format based on recent international arrangement.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element sets were reflected on the developing metadata format. The contents of the format were based on the CCF(Common Communication Format) mandatory fields, ISO 690-2 draft, and UKOLN metadata content comparing standard. Dublin Core applied to the structure of the proposed format. In constructing this format, KORMARC, USMARC, CCF were essentially referred and CD-ROM database fields were also referred. The applications of this format are intended to describe electronic documents and can be extended to print documents in libraries.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metadata format are as follows: 1) It is easy to establish database of print documents as well as electronic documents. 2) Libraries can save the time, money, and endeavors in making metadata record or constructing database by using the record created by the electronic documents' creators. 3) It is expected to achieve high precision ratio and the user can find more relevant documents since making metadata by the electronic documents' creator. 4) Because metadata can be a part of full-text data, it becomes more easy to interchange full-text data and to enhance in resource shar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