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모충 플랑크톤은 박테리아와 미세 식물플랑크톤 (nanophytoplanton)을 포식하는 동시에 중형 동물플랑크톤 (mesozooplankton)의 먹이생물로 수서생태계의 먹이미세망내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자로 그 중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국내 담수역에서 이들의 분류, 생태학적 특성의 조사를 위하여 2000년 12월 15일부터 2001년 12월 6일까지 팔당호에서 표층수를 채집하여 수환경요인을 측정하였고 ...
섬모충 플랑크톤은 박테리아와 미세 식물플랑크톤 (nanophytoplanton)을 포식하는 동시에 중형 동물플랑크톤 (mesozooplankton)의 먹이생물로 수서생태계의 먹이미세망내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자로 그 중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국내 담수역에서 이들의 분류, 생태학적 특성의 조사를 위하여 2000년 12월 15일부터 2001년 12월 6일까지 팔당호에서 표층수를 채집하여 수환경요인을 측정하였고 QPS (Quantitative protargol staining)방법에 의해 섬모충의 정량,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섬모충플랑크톤 중 우점적으로 출현하는 종류를 선별하여 관찰한 결과, 6목 7과 10속 12종이 분류, 동정 되었으며 모두 국내 미기록 종으로서 생태학적 특성과 함께 기재하였다. 우점적으로 출현한 섬모충 플랑크톤은 대부분 부영양수역에서 보고된 종들이었으며, 저수온기인 동계와 춘계에는 비교적 세포의 크기가 큰 종류, Codonella cratera, Rimostrombidium lacustris, Strobilidium caudatum, Limostrombidium viride, Pelagostrombidium fallax, Stylonychia sp., Pseudostrombidium planktonticum, Phascolodon vorticella가 출현하는 반면, 고수온기인 하계와 추계에는, Rimostrombidium hyalinum, Rimostrombidium brachykinetum, Halteria grandinella Vorticella convallaria와 같이 세포의 크기가 작은 종들이 우점하는 계절적 종천이가 나타났다. 이는 먹이 생물의 계절적 변화, 즉, 저수온기에는 소형 규조류와 같은 미세 식물플랑크톤이, 고수온기에는 박테리아가 각각 우점하므로 이를 포식하는 섬모충도 세포의 크기가 반영되는 종조성의 변화를 보였다고 해석된다.
섬모충 플랑크톤은 박테리아와 미세 식물플랑크톤 (nanophytoplanton)을 포식하는 동시에 중형 동물플랑크톤 (mesozooplankton)의 먹이생물로 수서생태계의 먹이미세망내 효율적인 에너지 전달자로 그 중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국내 담수역에서 이들의 분류, 생태학적 특성의 조사를 위하여 2000년 12월 15일부터 2001년 12월 6일까지 팔당호에서 표층수를 채집하여 수환경요인을 측정하였고 QPS (Quantitative protargol staining)방법에 의해 섬모충의 정량,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섬모충플랑크톤 중 우점적으로 출현하는 종류를 선별하여 관찰한 결과, 6목 7과 10속 12종이 분류, 동정 되었으며 모두 국내 미기록 종으로서 생태학적 특성과 함께 기재하였다. 우점적으로 출현한 섬모충 플랑크톤은 대부분 부영양수역에서 보고된 종들이었으며, 저수온기인 동계와 춘계에는 비교적 세포의 크기가 큰 종류, Codonella cratera, Rimostrombidium lacustris, Strobilidium caudatum, Limostrombidium viride, Pelagostrombidium fallax, Stylonychia sp., Pseudostrombidium planktonticum, Phascolodon vorticella가 출현하는 반면, 고수온기인 하계와 추계에는, Rimostrombidium hyalinum, Rimostrombidium brachykinetum, Halteria grandinella Vorticella convallaria와 같이 세포의 크기가 작은 종들이 우점하는 계절적 종천이가 나타났다. 이는 먹이 생물의 계절적 변화, 즉, 저수온기에는 소형 규조류와 같은 미세 식물플랑크톤이, 고수온기에는 박테리아가 각각 우점하므로 이를 포식하는 섬모충도 세포의 크기가 반영되는 종조성의 변화를 보였다고 해석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