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楞嚴經』 修行法의 韓國的 受容 : 耳根圓通과 性命雙修를 중심으로
Surangama-sutra's meditation method in Korea 원문보기


趙龍憲 (원광대학교 대학원 佛敎學科 국내박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근원통란 『능엄경』에서 제시하는 25가지 수행법 중에서 가장 수승한 수행방법으로 제시된다. 六根중에서 耳根을 사용하는 방법은 관음보살의 실펀한 수행법이기도 하다. 이근원통은 소리에 의식을 집중하는 수행법이다. 관음보살의 명칭인 '觀音'이라는 말 자체가 소리(音)를 觀하다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그 소리는 인체의 내면에서 들리는 소리와 바깥에서 들리는 소리의 2종류가 있는데, 觀하는 순서는 먼저 밖의 소리에 집중한 다음에 내면의 소리로 옮겨진다. 밖의 소리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소리는 바닷가에서 들리는 海潮音이다. 내면의 소리는 혼자 입 속에서 중얼거리는 염불소리가 될 수 있다. 이때의 염불은 서방점토에 왕생하기 위한 용도의 염불이 아니라 내면의 불심을 깨우는 자극제로서의 염불이다. 『능엄경』에서만 등장하는 독특한 수행법인 이근원통의 역사적 사례는 무엇인가, 본 논문에서는 그 역사책 사례로써 3가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첫째 8세기 초반 중국 사천성에서 활동하였던 신라출신 승려 淨衆 無相(680-756)의 引聲念佛이다. 둘째 고려 중기 春川 淸平寺에서 『능엄경』의 수행법을 실천하였던 李資玄(1061-1125)의 경우이다. 셋째 중국의 불긍거관음원, 한국의 낙산사 홍련암, 강화도 보문사, 남해 보리암과 같은 유명한 觀音道場들의 공통점이 바닷가에 자리잡고 있다는 점이다. 바닷가에 자리잡은 이유는 海潮音을 청취하기 위해서이다. 無相의 引聲念佛을 『능엄경』의 이근원통으로 보는 근거는 無相 一派의 法脈을 기록한 『歷代法寶記』가 『능엄경』을 중심으로 기술되었다는 데에 있다. 무상의 핵심 사상인 三句인 無憶 ,無念, 莫忘이다. 삼구가 지향하는 바는 깨달음은 단번에 온다는 頓悟사상이다. 무상은 그 돈오의 원리적 근거를 『능엄경』에 나오는 '一根旣返源 六根成解說에서 찾는다. 六根중에서 어느 한 근이 본원으로 돌아가면 나머지 5근도 동시에 본원으로 돌아간다는 것이다. 돈오는 一根一根 단계적으로 시간을 두고 근원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한꺼번에 돌아간다는 의미이다. 이 근거를 다름 아닌 『능엄경』에다 대고 있을뿐만 아니라, 인성염불도 이 돈오사상을 실천하는 수행법으로써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인성염불은 종래의 정토왕생을 기원하는 타력신앙으로서의 염불이 아니다. 자력 수행적인 측면의 염불이다. 따라서 종래의 염불과는 다르다. 그렇다면 무엇인가? 이는 입으로 염불을 반복함으로써 자기 내면의 소리에 집중하는 이근원통의 한 방법이라고 필자는 해석하였다. 고려중기 거사불교를 대표하는 이자현도 『능엄경』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이자현은 고려불교사에서 주요한 위치에 있다. 대각구사 義天이 天台宗을 개창하면서 종래의 禪宗은 천태종에 흡수 통합되는 상황에 놓인다. 천태종 개창에서 보조 지눌이 등장하기 이전까지의 시기에 선종의 맥은 매우 희미하게 전해지던 시기였다. 그 중간 과도기에 그러니까 보조 지눌 이전에 선종의 맥을 이은 인물이 바로 이자현이다. 이자현은 『능엄경』을 불경 가운데 최고의 경전으로 인식하였으며, 『능엄경』에 바탕한 이근원통 수행법을 실천하였다는 것이 필자의 관점이다. 그 근거는 첫째 『능엄경』에 대한 각별한 애호이고 둘째는 암자의 이름이 見性, 聞性에서 드러나는 바와 같이 이근원통에 관계되는 이름들이고, 셋째는 청평사 경내를 흐르는 수로와 대응전 기단석에 뚫어진 배수 장치이다. 수로 배수장치는 우리나라 사찰 가운데 청평사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인공장치로써 물 소리를 듣기 위한 배려이다. 물 소리는 이근원통 수행으로 진입하는 중요한 단서이기도 하다. 이근원통은 불교의 여러 보살 신앙가운데서 특히 觀音信仰과 관련이 있다. 우리나라 3대 관음도량은 동해안 紅蓮庵, 서해안 普門寺, 남해안의 菩提庵이다. 이들 3대 관음도량은 공통적으로 바닷가에 위치하고 있다. 그런가하면 중국의 유명한 관음도량인 불긍거 관음원도 보타도라고 하는 섬의 해안 바위동굴 옆에 자리잡고 있다. 불긍거관음원 역시 바닷가에 자리잡고 있다. 왜 이처럼 관심도량은 모두 바닷가에 자리잡고 있는가. 그 이유는 海潮音을 청취하기 위해서라는 것이 필자의 분석이다. 바닷가에서 들리는 海潮音은 이근원통 수행에 있어서 중요한 자원이다. 『능엄경』에서는 4가지 音을 주목한다. 梵音, 觀音, 妙音, 海潮音이다. 범음, 관음, 묘음은 다분히 추상적이고 상징적인 소리지만, 해조음 만큼은 지상에서 들리는 구체적인 소리이다. 그 해조음에 집중하기 위해서는 파도 소리가 들이는 바닷가라는 ...

주제어

#능엄경 비밀부 수행법 한국 불교 

학위논문 정보

저자 趙龍憲
학위수여기관 원광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박사
학과 佛敎學科
발행연도 2001
총페이지 iii, 205 p
키워드 능엄경 비밀부 수행법 한국 불교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8874873&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