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국의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을 도입하여 효과성을 검증하고 효과성과 관련된 잠정적인 요인들을 파악하며, 정신장애인은 소비자로서 이 모델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이론적 근거로서 강점이론과 소비자 중심의 평가방법을 고찰하였으며,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실증적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근거가 되고 있는 Rapp(1998a)의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실천원리와 실천전략, 주요 과정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인가?' 이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정신장애인들은 소비자로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주요 과정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연구문제에 따라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의 다섯가지 영역 즉 단기목표달성, ...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국의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을 도입하여 효과성을 검증하고 효과성과 관련된 잠정적인 요인들을 파악하며, 정신장애인은 소비자로서 이 모델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이론적 근거로서 강점이론과 소비자 중심의 평가방법을 고찰하였으며,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실증적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근거가 되고 있는 Rapp(1998a)의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실천원리와 실천전략, 주요 과정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인가?' 이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정신장애인들은 소비자로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주요 과정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연구문제에 따라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의 다섯가지 영역 즉 단기목표달성, 자기 효능감, 사회적 관계(가족관계 및 가족 외 사회적 관계), 취업, 입원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 개개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질적으로 검토하여 효과성과 관련된 잠정적인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에 참여한 정신장애인들을 소비자로 간주하여 사후질적면접을 시도하였고, 이 모델의 주요과정을 평가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가설 5가지를 입증하기 위한 표집절차로는 현재 전국 89개소에 달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중 한 곳을 임의표집에 의해 선정하고, 그곳에서 정신장애인 20명을 모집하였으며 이중 선착순으로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12명을 선발하였다. 그러나 최종분석에서는 비교집단 중 2명은 극단치를 보여 제외하였고, 3명은 연구기간 도중 탈락하여서,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7명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은 2001년 11월 27일부터 2002년 2월 21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시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연구자는 사례관리자로서 실험집단의 성원을 약 주 1회씩 개별적으로 만나 사례관리 진행을 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후질적면접은 제 3의 평가자가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SPSS 10.0을 활용하여 독립표본간 t검증과 맨휘트니유 검증, 카이자승 검증(x^2) 중 피셔의 정확확률검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정신과 치료기관 이용 특성 및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검사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첫 번째 가설인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단기목표달성이 향상될 것이다' 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기목표달성에서 두집단 간 사후점수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가설이 지지되었다. 두 번째 가설인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두집단간 사전·사후검사 차이의 평균(사후검사 점수-사전검사 점수)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가설이 지지되었다. 세 번째 가설인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사회적 관계(가족관계, 가족외 사회적 관계)가 향상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족 관계 및 가족외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두집단간 사전·사후검사 차이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가설은 지지되었다(가족외 사회적 관계는 p<.10수준) 네 번째 가설인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취업이 더 잘 될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10수준). 실험집단의 경우 취업이 8명중 4명이 이루어져 50%의 취업률을 보였고 비교집단의 경우 7명중 한 사람도 취업이 되지 않았다. 다섯째 가설인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입원이 적을 것이다' 는 두집단이 실험기간 동안 모두 입원이 이루어지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두집단 모두 실험기간동안 입원을 하지 않았으므로 의의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설검증의 양적 효과성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예외적 사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잠정적인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의 단기목표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행 초반부에 사례관리자가 단기목표수행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아웃리치를 최대화하며, 관계형성을 좀더 강화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기목표 모니터링 때마다 사례관리자가 긍정적인 강화의 코멘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고 스트레스 적인 생활사건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의 가족관계나 가족외 사회적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 단기 목표수행 시 가족자원동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고 생활패턴의 변화를 고려해야 하며, 동기화의 수준과 성격이나 양가감정 등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의 취업을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취업하기와 관련된 장·단기목표 수행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 본 연구의 강점관점 사례관리 모델에 참여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사후질적면접을 한 결과,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본 연구의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도움이 되었다고 하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자들은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과정 중 사례관리자와의 친근하고 편안한 태도, 일상생활중심의 긍정적이고 강점 지향적인 용어 활용, 잦은 접촉(전화 등), 소비자 중심의 진행, 아웃리치, 24시간 서비스 이용성(언제든지 연락가능) 등의 요인들을 중요시하고 도움이 된 것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은 강점관점 사례관리 모델의 단기목표와 구체화된 계획이 자신들의 의욕을 유발하고 흥미, 자신감, 희망, 성취감을 느끼게 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고, 사례관리 시행 과정에서 취업 등의 자원접근활동을 의미 있었던 것으로 여기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강점이론과 강점 개입전략에 바탕을 둔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을 도입하고 이의 효과를 제시함으로서 정신장애인을 위한 강점중심 실천의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례관리의 핵심적 기능을 통합하여 실증적 효과를 입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 방법, 질적 방법을 모두 활용하였고 소비자 중심의 관점을 도입하여서 보다 발전되고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정신보건분야의 사회복지 전문직들은 강점중심 패러다임을 위한 좀더 구체적인 전략들을 발전시키고 결과물들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외국의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을 도입하여 효과성을 검증하고 효과성과 관련된 잠정적인 요인들을 파악하며, 정신장애인은 소비자로서 이 모델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이론적 근거로서 강점이론과 소비자 중심의 평가방법을 고찰하였으며,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실증적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근거가 되고 있는 Rapp(1998a)의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실천원리와 실천전략, 주요 과정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 상정한 첫 번째 연구문제는,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은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인가?' 이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정신장애인들은 소비자로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주요 과정을 어떻게 인식하는가?' 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첫 번째 연구문제에 따라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의 다섯가지 영역 즉 단기목표달성, 자기 효능감, 사회적 관계(가족관계 및 가족 외 사회적 관계), 취업, 입원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 개개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질적으로 검토하여 효과성과 관련된 잠정적인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서는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에 참여한 정신장애인들을 소비자로 간주하여 사후질적면접을 시도하였고, 이 모델의 주요과정을 평가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가설 5가지를 입증하기 위한 표집절차로는 현재 전국 89개소에 달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중 한 곳을 임의표집에 의해 선정하고, 그곳에서 정신장애인 20명을 모집하였으며 이중 선착순으로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12명을 선발하였다. 그러나 최종분석에서는 비교집단 중 2명은 극단치를 보여 제외하였고, 3명은 연구기간 도중 탈락하여서, 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7명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은 2001년 11월 27일부터 2002년 2월 21일까지 약 4개월 동안 시행되었다. 이 기간 동안 연구자는 사례관리자로서 실험집단의 성원을 약 주 1회씩 개별적으로 만나 사례관리 진행을 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후질적면접은 제 3의 평가자가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분석방법으로는 SPSS 10.0을 활용하여 독립표본간 t검증과 맨휘트니유 검증, 카이자승 검증(x^2) 중 피셔의 정확확률검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은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정신과 치료기관 이용 특성 및 종속변수에 대한 사전검사에서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첫 번째 가설인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단기목표달성이 향상될 것이다' 를 검증하기 위하여 단기목표달성에서 두집단 간 사후점수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가설이 지지되었다. 두 번째 가설인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자기효능감이 향상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자기효능감에 있어서 두집단간 사전·사후검사 차이의 평균(사후검사 점수-사전검사 점수)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가설이 지지되었다. 세 번째 가설인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사회적 관계(가족관계, 가족외 사회적 관계)가 향상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가족 관계 및 가족외 사회적 관계에 있어서 두집단간 사전·사후검사 차이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가설은 지지되었다(가족외 사회적 관계는 p<.10수준) 네 번째 가설인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취업이 더 잘 될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10수준). 실험집단의 경우 취업이 8명중 4명이 이루어져 50%의 취업률을 보였고 비교집단의 경우 7명중 한 사람도 취업이 되지 않았다. 다섯째 가설인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에 참여한 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입원이 적을 것이다' 는 두집단이 실험기간 동안 모두 입원이 이루어지지 않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두집단 모두 실험기간동안 입원을 하지 않았으므로 의의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설검증의 양적 효과성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예외적 사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잠정적인 요인들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의 단기목표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행 초반부에 사례관리자가 단기목표수행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아웃리치를 최대화하며, 관계형성을 좀더 강화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기목표 모니터링 때마다 사례관리자가 긍정적인 강화의 코멘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고 스트레스 적인 생활사건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의 가족관계나 가족외 사회적 관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장· 단기 목표수행 시 가족자원동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고 생활패턴의 변화를 고려해야 하며, 동기화의 수준과 성격이나 양가감정 등을 고려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정신장애인의 취업을 달성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취업하기와 관련된 장·단기목표 수행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두 번째 연구문제를 위해, 본 연구의 강점관점 사례관리 모델에 참여한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사후질적면접을 한 결과,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본 연구의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이 도움이 되었다고 하는 등 긍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비자들은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의 과정 중 사례관리자와의 친근하고 편안한 태도, 일상생활중심의 긍정적이고 강점 지향적인 용어 활용, 잦은 접촉(전화 등), 소비자 중심의 진행, 아웃리치, 24시간 서비스 이용성(언제든지 연락가능) 등의 요인들을 중요시하고 도움이 된 것으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들은 강점관점 사례관리 모델의 단기목표와 구체화된 계획이 자신들의 의욕을 유발하고 흥미, 자신감, 희망, 성취감을 느끼게 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고, 사례관리 시행 과정에서 취업 등의 자원접근활동을 의미 있었던 것으로 여기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함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강점이론과 강점 개입전략에 바탕을 둔 강점관점 사례관리모델을 도입하고 이의 효과를 제시함으로서 정신장애인을 위한 강점중심 실천의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례관리의 핵심적 기능을 통합하여 실증적 효과를 입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 방법, 질적 방법을 모두 활용하였고 소비자 중심의 관점을 도입하여서 보다 발전되고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 정신보건분야의 사회복지 전문직들은 강점중심 패러다임을 위한 좀더 구체적인 전략들을 발전시키고 결과물들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evaluate the consumer's view of this Model. Research question were raised as follows: 1) How does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has an effect on the 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evaluate the consumer's view of this Model. Research question were raised as follows: 1) How does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has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short-term goal attainment, self-efficacy, social relation, employment, hospitalizatio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 2) How does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 those who receive it ? A total of 20 individuals of one mental health cente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receive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or to the control group. The Strengths Model of this study was implemented by researcher. The model of this study spanned an 4 month period, from November in 2001 through February in 2002. Of the 12 peopl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3 were drop out and 2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because of the extremely pretest results. A total of 8 experimental group subjects and 7 control group subjects completed both pre and posttests.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ere literature stud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chi-squar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Statistical analysi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first hypothesis tested in this study predicted that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how a greater increase in their short term-goal attainment rate compared to those subjects involved in the control group. The dependent variable, short term-goal attainment was measured using the Goal Attainment Scal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ich would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 increase on the short-term goal attainment rate. The second hypothesis tested in this study predicted that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how a greater increase in their self-efficacy compared to those subject involved in the control group. The dependent variable,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Roger's scal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ich would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 increase on the self-efficacy. The third hypothesis tested in this study predicted that subj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how a greater increase in their social relation(family relation, general social relation) compared to those subject involved in the control group. The dependent variable, family relation and general social relation were measured using Lehman's scal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ich would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 increase on the social relation. The Forth hypothesis tested in this study predicted that subj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how higher levels of client performance of employment compared to those subject involved in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ich would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is, 4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mployed beyond one month and none of the control group were employed. The Fifth hypothesis tested in this study predicted that subj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how reduced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compared to those subject involved in the control group. None of the areas of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ne of the two groups were hospitalized during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period. Also, the resul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case evaluation suggested that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Strengths Model need to be consider next progressive foci. First, the short-term goal process is promoted through the case manager's involvement in the initial phase, aggressive outreach mode, good relationship. Second, self-efficacy is promoted through the case manager's positive comments, reduced stressful events. Third, social relation is promoted through the family involvement, life style change, motivation, ambivalence. Fourth, employment is promoted through implementing the long-term and short-term goal which involve vocational activities. After the deep interview with the consumers participating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st of Consumers reported a positive experience of receiving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of this study. They provided further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collaborative and reciproc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relevance of assistance with resource acquisition and the use of the goal plan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efficacy of using the Strengths Model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It is important to proceed with optimistic caution, however, as we continue to learn more about the complex nature of the helping process and the many factors that coverage to influence mental health and community integ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and evaluate the consumer's view of this Model. Research question were raised as follows: 1) How does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has an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short-term goal attainment, self-efficacy, social relation, employment, hospitalization) of people with mental illness ? 2) How does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work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 those who receive it ? A total of 20 individuals of one mental health center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and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o receive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or to the control group. The Strengths Model of this study was implemented by researcher. The model of this study spanned an 4 month period, from November in 2001 through February in 2002. Of the 12 peopl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3 were drop out and 2 were excluded from the study because of the extremely pretest results. A total of 8 experimental group subjects and 7 control group subjects completed both pre and posttests.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were literature stud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chi-squar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Statistical analysi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first hypothesis tested in this study predicted that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how a greater increase in their short term-goal attainment rate compared to those subjects involved in the control group. The dependent variable, short term-goal attainment was measured using the Goal Attainment Scal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ich would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 increase on the short-term goal attainment rate. The second hypothesis tested in this study predicted that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how a greater increase in their self-efficacy compared to those subject involved in the control group. The dependent variable, self-efficacy was measured using Roger's scal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ich would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 increase on the self-efficacy. The third hypothesis tested in this study predicted that subj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how a greater increase in their social relation(family relation, general social relation) compared to those subject involved in the control group. The dependent variable, family relation and general social relation were measured using Lehman's scal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ich would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i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great increase on the social relation. The Forth hypothesis tested in this study predicted that subj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how higher levels of client performance of employment compared to those subject involved in the control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which would support the research hypothesis, 4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mployed beyond one month and none of the control group were employed. The Fifth hypothesis tested in this study predicted that subject in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show reduced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compared to those subject involved in the control group. None of the areas of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ne of the two groups were hospitalized during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period. Also, the results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case evaluation suggested that the process of delivering the Strengths Model need to be consider next progressive foci. First, the short-term goal process is promoted through the case manager's involvement in the initial phase, aggressive outreach mode, good relationship. Second, self-efficacy is promoted through the case manager's positive comments, reduced stressful events. Third, social relation is promoted through the family involvement, life style change, motivation, ambivalence. Fourth, employment is promoted through implementing the long-term and short-term goal which involve vocational activities. After the deep interview with the consumers participating the experimental interven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st of Consumers reported a positive experience of receiving the Strengths Model of Case Management of this study. They provided further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a collaborative and reciproc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relevance of assistance with resource acquisition and the use of the goal plann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efficacy of using the Strengths Model with people with mental illness. It is important to proceed with optimistic caution, however, as we continue to learn more about the complex nature of the helping process and the many factors that coverage to influence mental health and community integration.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