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여러 연구에 의하면 개방각녹내장과 당뇨병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하여 안압이 높고(Cristiansson, 1961, 1965; Jain 등, 1967; Klein 등, 1984) 개방각녹내장의 유병률이 높으며(Klein 등, 1994; Dielemans 등, 1996; Mitchell 등, 1997), 녹내장 환자는 정상인에 비하여 포도당 대사 이상의 유병률이 높다고 한다(Armstrong 등, 1960; Kahn 등, 1980; Clark 등, 1986).
Ko"nigsreuther 등의 연구에 의하면, 당뇨병 환자의 시신경유두의 모양, 크기, 시신경테, 그리고 시신경유두주위위축은 정상인과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유두가 정상인에 비하여 창백하고 당뇨병이 심할수록 망막신경섬유층의 관찰이 어려워진다고 하였다(Ko"nigsreuther 등, 1995). 즉, 당뇨병 환자의 시신경유두 검사시 녹내장이 동반되지 않았더라도 시신경유두의 창백과 미만성 망막신경섬유층 결손이 나타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Klein 등은 시신경테면적이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넓어지는 경향이 있고, 당뇨병 환자에서 ...
기존의 여러 연구에 의하면 개방각녹내장과 당뇨병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하여 안압이 높고(Cristiansson, 1961, 1965; Jain 등, 1967; Klein 등, 1984) 개방각녹내장의 유병률이 높으며(Klein 등, 1994; Dielemans 등, 1996; Mitchell 등, 1997), 녹내장 환자는 정상인에 비하여 포도당 대사 이상의 유병률이 높다고 한다(Armstrong 등, 1960; Kahn 등, 1980; Clark 등, 1986).
Ko"nigsreuther 등의 연구에 의하면, 당뇨병 환자의 시신경유두의 모양, 크기, 시신경테, 그리고 시신경유두주위위축은 정상인과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유두가 정상인에 비하여 창백하고 당뇨병이 심할수록 망막신경섬유층의 관찰이 어려워진다고 하였다(Ko"nigsreuther 등, 1995). 즉, 당뇨병 환자의 시신경유두 검사시 녹내장이 동반되지 않았더라도 시신경유두의 창백과 미만성 망막신경섬유층 결손이 나타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Klein 등은 시신경테면적이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넓어지는 경향이 있고,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이 심한 정도에 비례하여 넓어지며 이는 신경의 부종때문이라고 하였다(Klein 등, 1990).
본 연구에서는 시신경병변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당뇨병이 있을 때 시신경유두 주변 망막신경섬유층과 시신경유두에 어떤 변화가 오는지 레이저 시신경유두분석기 TopSSTM(software version 2.2, LDT, Inc., U.S.A.)와 레이저 시신경섬유 측정기 NFA(software version 2.1.07 Alpha, LDT, Inc., U.S.A.)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녹내장성 변화와 비교하였다.
101명(101안)의 개방각녹내장환자와 녹내장이 없는 91명(91안)을 당뇨병의 유무에 따라 각각 두군으로 나누었다. 대상이 된 네군은 당뇨병이 없는 비녹내장군(정상군) 53명(53안), 당뇨병이 있는 비녹내장군 38명(38안), 당뇨병이 없는 개방각녹내장군 67명(67안), 그리고 당뇨병이 있는 개방각녹내장군 34명(34안)이었다.
연구결과 비녹내장군에서 당뇨병이 있을 때 시신경유두의 형태가 개방각녹내장에서 나타나는 변화와 유사하여 당뇨병이 개방각녹내장과 형태학적으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당뇨병의 존재시 망막신경섬유층두께는 비측만이 유의하게 얇아져 개방각녹내장성 변화와 다소 달랐다.
한편 개방각녹내장군에서는 당뇨병이 있을 때 시신경유두의 형태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비측 망막신경섬유층두께만이 유의하게 얇아졌다.
따라서 당뇨병이나 녹내장의 병력이 없던 환자의 시신경유두가 녹내장성 변화를 보일 때 당뇨병의 가능성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겠고, 비측 망막신경섬유층두께의 변화를 주시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미 개방각녹내장으로 진단받은 환자에서는 시신경유두의 형태보다는 비측 망막신경섬유층두께를 관찰하는 것이 당뇨병성 변화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기존의 여러 연구에 의하면 개방각녹내장과 당뇨병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당뇨병 환자는 당뇨병이 없는 사람에 비하여 안압이 높고(Cristiansson, 1961, 1965; Jain 등, 1967; Klein 등, 1984) 개방각녹내장의 유병률이 높으며(Klein 등, 1994; Dielemans 등, 1996; Mitchell 등, 1997), 녹내장 환자는 정상인에 비하여 포도당 대사 이상의 유병률이 높다고 한다(Armstrong 등, 1960; Kahn 등, 1980; Clark 등, 1986).
Ko"nigsreuther 등의 연구에 의하면, 당뇨병 환자의 시신경유두의 모양, 크기, 시신경테, 그리고 시신경유두주위위축은 정상인과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유두가 정상인에 비하여 창백하고 당뇨병이 심할수록 망막신경섬유층의 관찰이 어려워진다고 하였다(Ko"nigsreuther 등, 1995). 즉, 당뇨병 환자의 시신경유두 검사시 녹내장이 동반되지 않았더라도 시신경유두의 창백과 미만성 망막신경섬유층 결손이 나타날 수 있음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한편 Klein 등은 시신경테면적이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넓어지는 경향이 있고, 당뇨병 환자에서 당뇨망막병증이 심한 정도에 비례하여 넓어지며 이는 신경의 부종때문이라고 하였다(Klein 등, 1990).
본 연구에서는 시신경병변의 위험인자로 알려진 당뇨병이 있을 때 시신경유두 주변 망막신경섬유층과 시신경유두에 어떤 변화가 오는지 레이저 시신경유두분석기 TopSSTM(software version 2.2, LDT, Inc., U.S.A.)와 레이저 시신경섬유 측정기 NFA(software version 2.1.07 Alpha, LDT, Inc., U.S.A.)를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녹내장성 변화와 비교하였다.
101명(101안)의 개방각녹내장환자와 녹내장이 없는 91명(91안)을 당뇨병의 유무에 따라 각각 두군으로 나누었다. 대상이 된 네군은 당뇨병이 없는 비녹내장군(정상군) 53명(53안), 당뇨병이 있는 비녹내장군 38명(38안), 당뇨병이 없는 개방각녹내장군 67명(67안), 그리고 당뇨병이 있는 개방각녹내장군 34명(34안)이었다.
연구결과 비녹내장군에서 당뇨병이 있을 때 시신경유두의 형태가 개방각녹내장에서 나타나는 변화와 유사하여 당뇨병이 개방각녹내장과 형태학적으로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당뇨병의 존재시 망막신경섬유층두께는 비측만이 유의하게 얇아져 개방각녹내장성 변화와 다소 달랐다.
한편 개방각녹내장군에서는 당뇨병이 있을 때 시신경유두의 형태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고 비측 망막신경섬유층두께만이 유의하게 얇아졌다.
따라서 당뇨병이나 녹내장의 병력이 없던 환자의 시신경유두가 녹내장성 변화를 보일 때 당뇨병의 가능성도 항상 염두에 두어야 하겠고, 비측 망막신경섬유층두께의 변화를 주시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미 개방각녹내장으로 진단받은 환자에서는 시신경유두의 형태보다는 비측 망막신경섬유층두께를 관찰하는 것이 당뇨병성 변화를 평가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Despite the fact that diabetes mellitus(DM) and glaucoma can be detected early, they are usually not correctly diagnosed, which eventually results in progressive end-organ damage. Diabetes and glaucoma are the leading causes of blindness in the worl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6 to 16% of ope...
Despite the fact that diabetes mellitus(DM) and glaucoma can be detected early, they are usually not correctly diagnosed, which eventually results in progressive end-organ damage. Diabetes and glaucoma are the leading causes of blindness in the worl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6 to 16% of open-angle glaucoma(OAG) patients have diabetes, and 10 to 22% of OAG patients have shown abnormality in the glucose tolerance test. Various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diabetes is associated with OAG or with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e size and shape of the optic disc, neuroretinal rim, and parapapillary atroph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diabetic and nondiabetic eyes. Diabetic eyes tended to show decreased visibility of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and increased optic pallor. Another study reported that the neuroretinal rim area tended to increase with the severity of diabetic retinopathy. However these results were not corrected for the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ic image, caused by refractive error, corneal power, or axial length. Other potential sources of error include different methods of photography, different landmarks chosen in measurement, and inter-and intraobserver variations in disc photo interpretation.
Confocal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Topographic Scanning System, TopSSTM) and scanning laser polarimetry(Nerve Fiber Analyzer, NFA) have been proposed as a rapid, objective, reproducible, and quantitative method for assessing optic nerve head and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M on the optic nerve head parameters(ONHP) and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RNFLT), each group of 101 patients with OAG and 91 control subjects(nonglaucomatous group)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M. TopSSTMand NFA were used to compare the ONHP and RNFLT among groups (:) 53 nonglaucomatous eyes without DM(normal group), 38 nonglaucomatous eyes with DM, 67 OAG eyes without DM, and 34 OAG eyes with DM.
In nonglaucomatous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mean contour depth, cupshape, NRRA, NRRA/disc area ratio, and superior and nasal RNFLT, as well as an increase in effective area and cup/disc ratio, were observed in the presence of DM. These changes in ONHP were similar to those reported for cases of glaucomatous optic nerve damage. In the group with OAG,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NHP was not observed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nasal RNFLT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DM.
In conclusion, the possible presence of DM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f the ONHP and RNFLT for the screening or early diagnosis of OAG when using TopSS^TMand NFA. In patients with OAG, the evaluation of RNFLT - especially nasal RNFLT rather than ONHP - can be helpful in assessing the influence of DM.
Despite the fact that diabetes mellitus(DM) and glaucoma can be detected early, they are usually not correctly diagnosed, which eventually results in progressive end-organ damage. Diabetes and glaucoma are the leading causes of blindness in the worl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6 to 16% of open-angle glaucoma(OAG) patients have diabetes, and 10 to 22% of OAG patients have shown abnormality in the glucose tolerance test. Various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suggested that diabetes is associated with OAG or with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the size and shape of the optic disc, neuroretinal rim, and parapapillary atrophy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diabetic and nondiabetic eyes. Diabetic eyes tended to show decreased visibility of the retinal nerve fiber layer and increased optic pallor. Another study reported that the neuroretinal rim area tended to increase with the severity of diabetic retinopathy. However these results were not corrected for the magnification of the photographic image, caused by refractive error, corneal power, or axial length. Other potential sources of error include different methods of photography, different landmarks chosen in measurement, and inter-and intraobserver variations in disc photo interpretation.
Confocal scanning laser ophthalmoscope(Topographic Scanning System, TopSSTM) and scanning laser polarimetry(Nerve Fiber Analyzer, NFA) have been proposed as a rapid, objective, reproducible, and quantitative method for assessing optic nerve head and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In this study,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DM on the optic nerve head parameters(ONHP) and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RNFLT), each group of 101 patients with OAG and 91 control subjects(nonglaucomatous group)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M. TopSSTMand NFA were used to compare the ONHP and RNFLT among groups (:) 53 nonglaucomatous eyes without DM(normal group), 38 nonglaucomatous eyes with DM, 67 OAG eyes without DM, and 34 OAG eyes with DM.
In nonglaucomatous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mean contour depth, cupshape, NRRA, NRRA/disc area ratio, and superior and nasal RNFLT, as well as an increase in effective area and cup/disc ratio, were observed in the presence of DM. These changes in ONHP were similar to those reported for cases of glaucomatous optic nerve damage. In the group with OAG,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NHP was not observed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nasal RNFLT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DM.
In conclusion, the possible presence of DM should b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f the ONHP and RNFLT for the screening or early diagnosis of OAG when using TopSS^TMand NFA. In patients with OAG, the evaluation of RNFLT - especially nasal RNFLT rather than ONHP - can be helpful in assessing the influence of DM.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