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디 셔먼(Cindy Sherman)의 사진 작품에 나타난 신체 이미지 연구
A Deconstruction of the Body's Myth:Cindy Sherman's Photographs 원문보기


이윤주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신디 셔먼(Cindy Sherman, 1954 - )의 사진 작품을 신체 이미지의 변화라는 일관된 흐름으로 바라본 연구이다. 셔먼의 작품은 일반적으로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중반에 제작된 <무제 영화 스틸> 및 <무제> 시리즈로 알려져 있다. 이 시기에 그녀는 다양한 유형의 여성으로 분장한 자신의 모습을 찍은 사진을 제작했다. 영화나 TV, 잡지에서 볼 수 있는 익숙한 여성 이미지들을 나열하고 있는 셔먼의 작품은 여성의 정체성과 젠더 구성에 대한 효과적인 비판의 작업으로 해석되어 왔다. 그렇지만 이러한 해석은 1985년을 기점으로 셔먼의 작품에 나타나기 시작한 기괴함과 역겨움으로 뒤범벅된 신체에 관한 설명으로는 부적절하다. 필자는 이러한 상황에 주목하고 후기의 작품에서 부각된 신체의 개념을 통해 초기의 작품까지 새롭게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아보려 했다. 신체는 최근 미술에 관한 논의에서 가장 활발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전통적으로 신체는 정신과 대비되어 상대적으로 평가 절하되어 왔으나, 사회를 경험하는 실체로서의 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체는 사회적 관계와 힘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사회적 구성물이라는 인식이 팽배해졌다. 최근 들어 신체가 고도로 치열해진 이념적 논쟁의 출발점이 됨에 따라 신체가 사회적 산물인 동시에 본질적으로 생물학적 실체임을 역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필자는 셔먼의 작품이 이와 같은 신체에 관한 인식의 변화를 그 누구보다도 민감하게 포착하여 효과적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필자는 여성의 이미지에 주력한 전기의 작품을 '사회적으로 구축된 신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 신체 내부와 배설물들을 묘사한 후기의 작품을 '사회화 이전의 물질'로서의 신체라는 측면에서 접근했다. 신체가 셔먼의 작품을 총괄하는 핵심어가 될 수 있다는 이러한 가정은 셔먼이 작업을 시작하던 시기의 미술계의 상황에 의해 뒷받침되었다. 그녀가 본격적으로 작업을 시작한 1970년대 후반은 모더니즘 패러다임의 붕괴가 심화되던 시기였다. 그 가운데 특히 두각을 나타낸 움직임이 페미니즘 미술이었고, 그 결과 여성의 신체는 논쟁의 중심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더욱이 사진 매체는 셔먼을 비롯한 다른 많은 여성 미술가들에 의해 여성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작업의 수행에 있어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활용되었다. 자신의 몸을 작품의 대상으로 삼는 퍼포먼스적 측면, 여성 이미지에 대한 비판 의식, 사진 매체의 새로운 활용 등 셔먼의 작품은 당대의 흐름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무엇보다도 1970년대 말에서 80년대 중반에 이르는 셔먼의 작품은 대중매체를 통해 끊임없이 주입되는 여성 이미지들을 패러디함으로써 여성의 신체에 가해지는 사회 구조의 힘을 교묘하게 파헤치고 있다. 특히 사진이라는 매체의 특성상 피사체인 대상과 촬영의 주체인 작가가 존재하는데, 셔먼은 자신을 모델로 사진을 찍음으로써 주체와 객체의 절대적 관계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녀는 사회적으로 부과되는 가장을 전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여성의 신체에 가해지는 억압과 왜곡에 관한 비판적 인식을 불러일으켰다. 그렇지만 여성이 여성의 스테레오 타입을 연기한다는 것은 자칫 스테레오 타입 그 자체로 환원될 위험이 있었다. 그러한 비판에 대한 반응이자 여성의 신체를 둘러싼 신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 속에서, 셔먼은 물질로서의 신체에 주의를 돌리게 되었다. 그러한 조짐은 1985년에 제작된 '동화' 시리즈에서 시작되었다. 인공적인 신체는 실제 셔먼의 신체와 괴리된 채 드러나기 시작했고, '혐오' 시리즈에 이르러서는 배설물과 부패물, 신체 내부의 장면과 같은 극단적인 방향을 향해 나아갔다. 안정된 신체 이미지의 분열은 1980년대 후반 '역사 초상' 시리즈에서 다양하게 시도되었다. 특히 모체에 관한 표현은 이 시리즈에서 주목할 만한 요소로 떠올랐고, 이 때 촉발된 여성 신체에 관한 ...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hotographs of Cindy Sherman(1954- ). Sherman has been known by the series of 'Untitled Film Stills' and 'Untitleds' which were produced between the late 1970s and mid-1980s. The photographs are portraits of herself in various scenarios that parody stereotypes of woman....

주제어

#신디 셔먼  #사진  #신체  #이미지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윤주
학위수여기관 이화여자대학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미술사학과
발행연도 2001
총페이지 iv, 105 p.
키워드 신디 셔먼, 사진, 신체, 이미지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8953083&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