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간(間)' 개념에 의한 亭子空間의 연구 : 주거건축 內 亭子를 中心으로 (A) study on the pavilion space by notion of the 'kan' : focused on the pavilion within the Korean traditional residence원문보기
본 논문은 전통 건축 공간계획에 있어 공간이 이루어지게 되었던 기본 구성 단위인 간(間)의 개념을 찾고, 구조적이고 수치적인 구성의 측면이 아닌 '간(間)' 개념을 중심으로 동양의 시공간적 관점으로 내부공간을 분석하여 간이 공간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또한 동양관점의 우리 정서에 맞는 간 개념이 서양적 공간 개념으로부터 벗어나 한국건축공간에 기본모듈로서 볼 수 있는 구성단위이길 바라며 그에 따른 한국전통 공간을 좀 더 이해하여 서양과는 차별화된 한국성을 가진 공간을 추구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동양관의 시공간적 개념으로부터 간의 공간구성형성을 분석하고 공간에 있어서 간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간(間)의 본질적 구성이 잘 드러날 수 있는 가장 집약된 공간인 정자건축을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많은 전통건축에 관한 문헌중심의 이론을 바탕으로 공간적, 구조적, 시간적 의미로 고찰하였고, 고찰된 내용을 참고하여 정자건축에 대입하여 공간에서의 간을 분석하였다. 분석하기 앞서, 간의 의미를 파악하고, 공간형성의 요소로서 공간적 역할의 성격과 구성방식의 요소를 통해 간을 이해하였다. 그 결과 간의 구성으로 인해 공간은 다양한 성격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한 풍부한 공간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분석틀은 동양관점에서 크게 볼 수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시간적공간, 구성적공간, 기능성의 공간, 그리고 내외부와의 상관성 공간으로 제시하였다. 제시한 간의 공간형성의 요소로는, 간의 공간적 역할의 가변성, ...
본 논문은 전통 건축 공간계획에 있어 공간이 이루어지게 되었던 기본 구성 단위인 간(間)의 개념을 찾고, 구조적이고 수치적인 구성의 측면이 아닌 '간(間)' 개념을 중심으로 동양의 시공간적 관점으로 내부공간을 분석하여 간이 공간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또한 동양관점의 우리 정서에 맞는 간 개념이 서양적 공간 개념으로부터 벗어나 한국건축공간에 기본모듈로서 볼 수 있는 구성단위이길 바라며 그에 따른 한국전통 공간을 좀 더 이해하여 서양과는 차별화된 한국성을 가진 공간을 추구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동양관의 시공간적 개념으로부터 간의 공간구성형성을 분석하고 공간에 있어서 간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간(間)의 본질적 구성이 잘 드러날 수 있는 가장 집약된 공간인 정자건축을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많은 전통건축에 관한 문헌중심의 이론을 바탕으로 공간적, 구조적, 시간적 의미로 고찰하였고, 고찰된 내용을 참고하여 정자건축에 대입하여 공간에서의 간을 분석하였다. 분석하기 앞서, 간의 의미를 파악하고, 공간형성의 요소로서 공간적 역할의 성격과 구성방식의 요소를 통해 간을 이해하였다. 그 결과 간의 구성으로 인해 공간은 다양한 성격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한 풍부한 공간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분석틀은 동양관점에서 크게 볼 수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시간적공간, 구성적공간, 기능성의 공간, 그리고 내외부와의 상관성 공간으로 제시하였다. 제시한 간의 공간형성의 요소로는, 간의 공간적 역할의 가변성, 중심성, 상관성, 연계성으로 크게 보았고, 간의 구성방식의 연결, 분할, 운동, 관통으로 나누어 간에 대한 특징적 이론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요소를 바탕으로 분석틀을 제시하여 공간을 연구하였다. 분석의 틀에 준한 각각의 세부적인 정자공간분석을 통해, 앞서 제시된 간의 특징들 살펴보며 공간형성에 있어 간의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었다. 즉 본 논문은 전통건축 공간구성의 분석을 최소공간단위인 간의 개념으로 정자건축을 대상으로 파악하려고 하였고, 이는 간이 내포한 형식과 특징 그리고 간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논문에서 발췌된 내용은 間은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로, ① 間은 사람의 시점과 움직임에 따라 공간의 깊이감과 규모가 변화는 등의 시간적 공간을 만들었다. ② 구조적인 사각형(장방형, 정방형) 형태를 기본으로 배치가 이루어지고 규모가 형성되는 평면, 공간의 입체의 구성적 공간으로서의 間을 볼 수 있었다. ③ 내외부와의 상관성 공간분석으로 내부시점을 중심으로 외부를 보고 다시 내부를 보는 관점에서 연구한 결과 동양관점의 혼연일체(渾然一體)를 바탕으로 間의 무한함을 알 수 있었다. ④ 경계와 무경계의 동시적인 동시에 공시적인 역할로 분할과 연결, 운동과 관통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전통건축공간을 間으로부터 정자건축물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間은 자연을 해석하기 위한 자율적 체계로 무의 공간에 계획적이고 구조체계인 질서로 인해 생명을 생하게 하는 체계였다.. 간은 비어있음을 만들기 위한 비어있음의 체계이고 즉, 허(虛)의 체계이다. 정자공간은 자연이 계절에 따라 나무가 자라고 물이 흐르는 생명력 움직임의 기를 담는 비어있음의 체계이다. 공간은 間으로 인해 허(虛)를 가지고 실(室)을 가지게 된다. 그러한 비어있음의 체계를 만들려는 것이 간임을 분석을 통해 파악해 볼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전통 건축 공간계획에 있어 공간이 이루어지게 되었던 기본 구성 단위인 간(間)의 개념을 찾고, 구조적이고 수치적인 구성의 측면이 아닌 '간(間)' 개념을 중심으로 동양의 시공간적 관점으로 내부공간을 분석하여 간이 공간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또한 동양관점의 우리 정서에 맞는 간 개념이 서양적 공간 개념으로부터 벗어나 한국건축공간에 기본모듈로서 볼 수 있는 구성단위이길 바라며 그에 따른 한국전통 공간을 좀 더 이해하여 서양과는 차별화된 한국성을 가진 공간을 추구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동양관의 시공간적 개념으로부터 간의 공간구성형성을 분석하고 공간에 있어서 간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간(間)의 본질적 구성이 잘 드러날 수 있는 가장 집약된 공간인 정자건축을 대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많은 전통건축에 관한 문헌중심의 이론을 바탕으로 공간적, 구조적, 시간적 의미로 고찰하였고, 고찰된 내용을 참고하여 정자건축에 대입하여 공간에서의 간을 분석하였다. 분석하기 앞서, 간의 의미를 파악하고, 공간형성의 요소로서 공간적 역할의 성격과 구성방식의 요소를 통해 간을 이해하였다. 그 결과 간의 구성으로 인해 공간은 다양한 성격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한 풍부한 공간을 가지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분석틀은 동양관점에서 크게 볼 수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시간적공간, 구성적공간, 기능성의 공간, 그리고 내외부와의 상관성 공간으로 제시하였다. 제시한 간의 공간형성의 요소로는, 간의 공간적 역할의 가변성, 중심성, 상관성, 연계성으로 크게 보았고, 간의 구성방식의 연결, 분할, 운동, 관통으로 나누어 간에 대한 특징적 이론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요소를 바탕으로 분석틀을 제시하여 공간을 연구하였다. 분석의 틀에 준한 각각의 세부적인 정자공간분석을 통해, 앞서 제시된 간의 특징들 살펴보며 공간형성에 있어 간의 중요성을 인지할 수 있었다. 즉 본 논문은 전통건축 공간구성의 분석을 최소공간단위인 간의 개념으로 정자건축을 대상으로 파악하려고 하였고, 이는 간이 내포한 형식과 특징 그리고 간의 역할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논문에서 발췌된 내용은 間은 공간을 형성하는 역할로, ① 間은 사람의 시점과 움직임에 따라 공간의 깊이감과 규모가 변화는 등의 시간적 공간을 만들었다. ② 구조적인 사각형(장방형, 정방형) 형태를 기본으로 배치가 이루어지고 규모가 형성되는 평면, 공간의 입체의 구성적 공간으로서의 間을 볼 수 있었다. ③ 내외부와의 상관성 공간분석으로 내부시점을 중심으로 외부를 보고 다시 내부를 보는 관점에서 연구한 결과 동양관점의 혼연일체(渾然一體)를 바탕으로 間의 무한함을 알 수 있었다. ④ 경계와 무경계의 동시적인 동시에 공시적인 역할로 분할과 연결, 운동과 관통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전통건축공간을 間으로부터 정자건축물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間은 자연을 해석하기 위한 자율적 체계로 무의 공간에 계획적이고 구조체계인 질서로 인해 생명을 생하게 하는 체계였다.. 간은 비어있음을 만들기 위한 비어있음의 체계이고 즉, 허(虛)의 체계이다. 정자공간은 자연이 계절에 따라 나무가 자라고 물이 흐르는 생명력 움직임의 기를 담는 비어있음의 체계이다. 공간은 間으로 인해 허(虛)를 가지고 실(室)을 가지게 된다. 그러한 비어있음의 체계를 만들려는 것이 간임을 분석을 통해 파악해 볼 수 있었다.
This article is on searching for the concept of "Kan''(space) that became foundation of architectural spatial plan, and how the "Kan" affects space using oriental idea of time and space not followed by structural and numerical concepts. Also, the spirit of this article is for being basic module of "...
This article is on searching for the concept of "Kan''(space) that became foundation of architectural spatial plan, and how the "Kan" affects space using oriental idea of time and space not followed by structural and numerical concepts. Also, the spirit of this article is for being basic module of "Kan'' not as a western spatial concept, but as a point of view according to that of an oriental concept, and understanding Korean traditional spaces apart from western styl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role of "Kan" from oriental timing and spatial concepts. Pavilion architect is the main research here that is represents of potential organization of "Kan".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with those traditional architects of special, organizational principles, and passage of time based on previous studies. Pavilion architect is analyzed refer to those previous studies. Before analyzing, it was necessary that grasp of "Kan" and as a factor of spatial-making, understood through spatial character and structural method as well. As a result, space has various characters and bred scales with composition of "Kan". Analyses suggest space as an oriental aspect for that of time, organiz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both inside and outside. For the suggested factors of "Kan", I divided into four large parts of variableness, balance, interrelationship, and connection. Furthermore, I also considered characteristic theories of organizational connection, division, movement, and penetration. All with these constitution, I studied "space". Through each of pavilion space detail analysis, I could acknowledged importance of space.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for using "Kan" as a smallest unit and find out the role of "KAN" which includes meanings of it's special feature. In this article, "Kan" as a constitution of space; 1. 'Kan" makes depth of timing space and changing of range according to people's viewpoint and movement. 2. based on rectangle and square, Kan can be arranged and that scale also can be decided by plane , vertical spaces. 3. interrelationship between inside and outside can be analyzed through oriental point of view from inside to outside , again to inside. This study has offered limitless of united nature and architect. 4. boundary and anti-boundary can be divided and united at the same time, plus, movement and passing through also happens at the same time. After study "Kan" with pavilion architect, the result of architectural space, "Kan" can create lives into nonexistence with planned and systematic order. "Kan" is empty system to make empty space which means "nothing". Pavilion space is emptiness like water flows following nature law such as growing trees, four seasons. Spaces can be filled with "nothing" and "something" due to "Kan" To make empty system is "Kan" according to this study.
This article is on searching for the concept of "Kan''(space) that became foundation of architectural spatial plan, and how the "Kan" affects space using oriental idea of time and space not followed by structural and numerical concepts. Also, the spirit of this article is for being basic module of "Kan'' not as a western spatial concept, but as a point of view according to that of an oriental concept, and understanding Korean traditional spaces apart from western style.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role of "Kan" from oriental timing and spatial concepts. Pavilion architect is the main research here that is represents of potential organization of "Kan". This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with those traditional architects of special, organizational principles, and passage of time based on previous studies. Pavilion architect is analyzed refer to those previous studies. Before analyzing, it was necessary that grasp of "Kan" and as a factor of spatial-making, understood through spatial character and structural method as well. As a result, space has various characters and bred scales with composition of "Kan". Analyses suggest space as an oriental aspect for that of time, organiz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both inside and outside. For the suggested factors of "Kan", I divided into four large parts of variableness, balance, interrelationship, and connection. Furthermore, I also considered characteristic theories of organizational connection, division, movement, and penetration. All with these constitution, I studied "space". Through each of pavilion space detail analysis, I could acknowledged importance of space. In other words, this study is for using "Kan" as a smallest unit and find out the role of "KAN" which includes meanings of it's special feature. In this article, "Kan" as a constitution of space; 1. 'Kan" makes depth of timing space and changing of range according to people's viewpoint and movement. 2. based on rectangle and square, Kan can be arranged and that scale also can be decided by plane , vertical spaces. 3. interrelationship between inside and outside can be analyzed through oriental point of view from inside to outside , again to inside. This study has offered limitless of united nature and architect. 4. boundary and anti-boundary can be divided and united at the same time, plus, movement and passing through also happens at the same time. After study "Kan" with pavilion architect, the result of architectural space, "Kan" can create lives into nonexistence with planned and systematic order. "Kan" is empty system to make empty space which means "nothing". Pavilion space is emptiness like water flows following nature law such as growing trees, four seasons. Spaces can be filled with "nothing" and "something" due to "Kan" To make empty system is "Kan" according to this study.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