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에서 배우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한 8종 과학 교과서와 일본에서 최근 출판된 3종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및 중국 과학교과서를 연구 자료로 하여 이 중 생물영역의 실험 및 관찰항목을 비교분석하여 이를 통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보다 바람직한 중학교 과학교과서(생물영역)의 교육과정의 개선과 학생들의 창의성과 탐구적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학습내용 및 실험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세 나라의 과학 교과서 중에서 생물영역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과...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에서 배우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한 8종 과학 교과서와 일본에서 최근 출판된 3종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및 중국 과학교과서를 연구 자료로 하여 이 중 생물영역의 실험 및 관찰항목을 비교분석하여 이를 통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보다 바람직한 중학교 과학교과서(생물영역)의 교육과정의 개선과 학생들의 창의성과 탐구적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학습내용 및 실험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세 나라의 과학 교과서 중에서 생물영역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과학교과서는 학년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8종 교과서 모두 4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1, 2학년은 1단원씩, 3학년에서는 2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본 교과서는 1분야와 2분야로 나뉘며, 1분야에는 물리, 화학영역으로, 2분야에서는 생물과 지구과학영역을 다루고 있었다. 중국 연변 초급중학교 교과서의 생물영역은 1권과 2권으로 나뉘고, 1권은 다시 상 ·하권으로 나뉘어 학년별로 학습하게 하였다. 2. 중국, 한국, 일본 교과서 순으로 개념과 내용의 설명에 많은 지면을 할애한 것으로 보아 중국과 한국 교과서가 일본 교과서보다 지식 위주의 학문 중심적임을 알 수 있었다. 3. 한국에서 사용되는 8종류의 교과서에 나오는 실험 및 관찰의 내용과 주제는 거의 유사했으나 일본의 경우는 실험 및 관찰의 내용은 교과서마다 상이한 것으로 보아 교과서 별로 독창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한국, 중국,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생물영역의 수준의 강조도를 분석한 결과, 세 나라 모두 개체와 조직과 기관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주제의 강조도를 분석한 결과,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중학생의 수준에 적절하였다. 5. 실험·관찰에 사용되는 약품으로는 삼국 모두 취급상 폭발 및 유독성의 위험이 있는 시약은 거의 없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된 시약은 중국은 요드용액, 일본은 요오드액, 한국은 아세트산카민이었다. 재료생물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된 생물은 중국은 참개구리, 옥수수였고 일본은 봉선화, 유채였으며 한국은 양파가 많이 사용되었다. 실험에 가장 많이 사용된 기구는 중국은 핀세트였고 일본은 현미경 관찰용구였으며 한국은 현미경이 활용빈도가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학교에서 배우는 제 6차 교육과정에 의한 8종 과학 교과서와 일본에서 최근 출판된 3종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및 중국 과학교과서를 연구 자료로 하여 이 중 생물영역의 실험 및 관찰항목을 비교분석하여 이를 통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보다 바람직한 중학교 과학교과서(생물영역)의 교육과정의 개선과 학생들의 창의성과 탐구적 능력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학습내용 및 실험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세 나라의 과학 교과서 중에서 생물영역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 과학교과서는 학년별로 구분되어 있으며, 8종 교과서 모두 4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고 1, 2학년은 1단원씩, 3학년에서는 2단원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본 교과서는 1분야와 2분야로 나뉘며, 1분야에는 물리, 화학영역으로, 2분야에서는 생물과 지구과학영역을 다루고 있었다. 중국 연변 초급중학교 교과서의 생물영역은 1권과 2권으로 나뉘고, 1권은 다시 상 ·하권으로 나뉘어 학년별로 학습하게 하였다. 2. 중국, 한국, 일본 교과서 순으로 개념과 내용의 설명에 많은 지면을 할애한 것으로 보아 중국과 한국 교과서가 일본 교과서보다 지식 위주의 학문 중심적임을 알 수 있었다. 3. 한국에서 사용되는 8종류의 교과서에 나오는 실험 및 관찰의 내용과 주제는 거의 유사했으나 일본의 경우는 실험 및 관찰의 내용은 교과서마다 상이한 것으로 보아 교과서 별로 독창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 한국, 중국, 일본의 중학교 과학교과서 중 생물영역의 수준의 강조도를 분석한 결과, 세 나라 모두 개체와 조직과 기관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주제의 강조도를 분석한 결과, 구조와 기능을 중심으로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중학생의 수준에 적절하였다. 5. 실험·관찰에 사용되는 약품으로는 삼국 모두 취급상 폭발 및 유독성의 위험이 있는 시약은 거의 없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된 시약은 중국은 요드용액, 일본은 요오드액, 한국은 아세트산카민이었다. 재료생물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이 주로 사용되었는데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된 생물은 중국은 참개구리, 옥수수였고 일본은 봉선화, 유채였으며 한국은 양파가 많이 사용되었다. 실험에 가장 많이 사용된 기구는 중국은 핀세트였고 일본은 현미경 관찰용구였으며 한국은 현미경이 활용빈도가 높았다.
The natural science education of three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and Korea began with an introduction to the Western educational curriculum and methodology, and their viewpoints of education are similar.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8 kinds of science textbooks for middle sc...
The natural science education of three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and Korea began with an introduction to the Western educational curriculum and methodology, and their viewpoints of education are similar.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8 kinds of scienc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sixth curriculum in Korea, 3 kinds of science textbooks recently publish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Japan, and the science textbooks in China, and to investigate the fields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biolo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pply the teaching materials and experimental material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in research and learning such as practice and experiment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learning and experiment required in the change of curriculum of biology textbook suited to our actual conditions in scienc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from this analytical study are as follows: 1. The Korean science textbooks are classified by grade, and all of them consist of 4 chapters. And chapter 1 is for the first graders, chapter 2 is for the second graders and chapters 3 and 4 are for the third graders. The Japanese science textbooks are classified into field 1 and field 2, and field 1 deals with physics and chemistry while field 2 treats biology and geological science. The field of biology in the textbook for elementary middle school in Yeon-byun, China is classified into book 1 and book 2, and book 1, in turn, is divided into Ⅰ and Ⅱ, which is used by grade. 2.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Chinese textbooks have the most number of pages related to theoretical concepts and explanatory contents, the Korean textbooks are the next and the Japanese textbooks have the least, it can be seen that our textbooks are more knowledge-oriented than the Japanese textbooks. 3. The contents and the topics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8 kinds of the Korean textbooks are similar, while their contents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the Japanese textbook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is tells that the Japanese textbooks have their own peculiarity or originality. 4. It can be proved that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standard of the biological section in th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of three countries and they lay a weight upon individual systems, textures and organs, and that as a result of analysis on its theme, they are proper for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so that they can learn centering upon the structures and the functions of organs. 5. As for reagents for experiments or observations, it can be seen that all the textbooks of three countries nearly deal with the dangerously poisonous reagents or explosive ones, and that the Chinese textbooks use mostly iodine, the Japanese textbooks use mostly urea and the Korean textbooks do acet acid carmine. In addition, it can be perceived that they use the common things as biological materials an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things are frogs and corns in the Chinese textbooks while the Japanese textbooks use a balsam and a rape most frequently and the Korean textbooks use onions extremely much. Moreover, it can be observed that a pincette is printed on the Chinese textbooks as the experimental apparatus which has a high frequency in its use, an observing instrument is printed on the Japanese textbooks and a microscope is printed on the Korean textbooks.
The natural science education of three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China and Korea began with an introduction to the Western educational curriculum and methodology, and their viewpoints of education are similar. This study attempts to compare and analyze 8 kinds of scienc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accordance with the sixth curriculum in Korea, 3 kinds of science textbooks recently publish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Japan, and the science textbooks in China, and to investigate the fields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biolog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upply the teaching materials and experimental materials necessary to improve the efficiency in research and learning such as practice and experiment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learning and experiment required in the change of curriculum of biology textbook suited to our actual conditions in scienc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from this analytical study are as follows: 1. The Korean science textbooks are classified by grade, and all of them consist of 4 chapters. And chapter 1 is for the first graders, chapter 2 is for the second graders and chapters 3 and 4 are for the third graders. The Japanese science textbooks are classified into field 1 and field 2, and field 1 deals with physics and chemistry while field 2 treats biology and geological science. The field of biology in the textbook for elementary middle school in Yeon-byun, China is classified into book 1 and book 2, and book 1, in turn, is divided into Ⅰ and Ⅱ, which is used by grade. 2. Judging from the fact that the Chinese textbooks have the most number of pages related to theoretical concepts and explanatory contents, the Korean textbooks are the next and the Japanese textbooks have the least, it can be seen that our textbooks are more knowledge-oriented than the Japanese textbooks. 3. The contents and the topics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8 kinds of the Korean textbooks are similar, while their contents of observation and experiment in the Japanese textbook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his tells that the Japanese textbooks have their own peculiarity or originality. 4. It can be proved that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standard of the biological section in th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students of three countries and they lay a weight upon individual systems, textures and organs, and that as a result of analysis on its theme, they are proper for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so that they can learn centering upon the structures and the functions of organs. 5. As for reagents for experiments or observations, it can be seen that all the textbooks of three countries nearly deal with the dangerously poisonous reagents or explosive ones, and that the Chinese textbooks use mostly iodine, the Japanese textbooks use mostly urea and the Korean textbooks do acet acid carmine. In addition, it can be perceived that they use the common things as biological materials and that the most frequently used things are frogs and corns in the Chinese textbooks while the Japanese textbooks use a balsam and a rape most frequently and the Korean textbooks use onions extremely much. Moreover, it can be observed that a pincette is printed on the Chinese textbooks as the experimental apparatus which has a high frequency in its use, an observing instrument is printed on the Japanese textbooks and a microscope is printed on the Korean textbooks.
Keyword
#한국 일본 중국 중학교 교과서 생물영역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