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대두식품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을 평가하며, 이소플라본 섭취와 관련된 변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식사로부터 섭취되어야 하는 이소플라본의 권장량을 설정하고 섭취를 촉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총 714명의 청소년으로, 성별로는 남학생 43%, 여학생 57%이었고, 평균 연령은15.4세로 중학생 46.7%, 고등학생 53.5%이었다. 거주지역은 서울이 27.1%로 가장 많았고, 전국 각 지역이 비교적 고르게 포함되었으며, 10.9%는 현재 농·어촌지역에 거주하며, 12.0%가 농·어촌지역에서 출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BMI는 19.98이었고, 50.2%는 정상체중으로 분류되었으며, 36.5%는 저체중이었고, 과체중은 7.1%, 비만은 6.3%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는 대두식품 중 된장, 두부, 두유, 콩나물, 청국장 순으로 영양적으로 우수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중 콩나물이 각 항목에서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았다. 18가지 대두음식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유부초밥에 대한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순두부찌개와 된장찌개가 그 다음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조사한 대두음식 중 기호도가 가장 낮은 것은 일본 된장국(미소)이었고, 이어서 콩밥, 청국장찌개와 콩비지 찌개가 낮은 평가를 받았다. 조사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별로 대두음식에 대한 기호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대두음식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좋아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7.9%이었고,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0.4%이었으며, 11.6%는 싫어한다고 응답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일주일에 2번 이상 된장국/찌개와 두부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의 12.3%는 콩을 하루에 한 번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을 평가한 결과, 하루 평균 32.4㎎의 이소플라본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대두식품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을 평가하며, 이소플라본 섭취와 관련된 변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식사로부터 섭취되어야 하는 이소플라본의 권장량을 설정하고 섭취를 촉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총 714명의 청소년으로, 성별로는 남학생 43%, 여학생 57%이었고, 평균 연령은15.4세로 중학생 46.7%, 고등학생 53.5%이었다. 거주지역은 서울이 27.1%로 가장 많았고, 전국 각 지역이 비교적 고르게 포함되었으며, 10.9%는 현재 농·어촌지역에 거주하며, 12.0%가 농·어촌지역에서 출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BMI는 19.98이었고, 50.2%는 정상체중으로 분류되었으며, 36.5%는 저체중이었고, 과체중은 7.1%, 비만은 6.3%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는 대두식품 중 된장, 두부, 두유, 콩나물, 청국장 순으로 영양적으로 우수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중 콩나물이 각 항목에서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았다. 18가지 대두음식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유부초밥에 대한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순두부찌개와 된장찌개가 그 다음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조사한 대두음식 중 기호도가 가장 낮은 것은 일본 된장국(미소)이었고, 이어서 콩밥, 청국장찌개와 콩비지 찌개가 낮은 평가를 받았다. 조사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별로 대두음식에 대한 기호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대두음식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좋아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7.9%이었고,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0.4%이었으며, 11.6%는 싫어한다고 응답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일주일에 2번 이상 된장국/찌개와 두부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의 12.3%는 콩을 하루에 한 번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을 평가한 결과, 하루 평균 32.4㎎의 이소플라본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제니스테인의 평균 섭취수준은 18.5㎎, 다이드제인은 13.9㎎이었다. 조사대상자의 50백분위수에 해당하는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은 22.2㎎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의 10%는 하루 6㎎ 이상의 이소플라본을 섭취하며, 10%는 하루 5㎎ 이하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학적변인에 따른 평균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거주지역과 경제수준에 따라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천·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이 서울에 거주하는 학생에 비해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수준이 가장 높은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대두식품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고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을 평가하며, 이소플라본 섭취와 관련된 변인들을 분석함으로써 식사로부터 섭취되어야 하는 이소플라본의 권장량을 설정하고 섭취를 촉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총 714명의 청소년으로, 성별로는 남학생 43%, 여학생 57%이었고, 평균 연령은15.4세로 중학생 46.7%, 고등학생 53.5%이었다. 거주지역은 서울이 27.1%로 가장 많았고, 전국 각 지역이 비교적 고르게 포함되었으며, 10.9%는 현재 농·어촌지역에 거주하며, 12.0%가 농·어촌지역에서 출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BMI는 19.98이었고, 50.2%는 정상체중으로 분류되었으며, 36.5%는 저체중이었고, 과체중은 7.1%, 비만은 6.3%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는 대두식품 중 된장, 두부, 두유, 콩나물, 청국장 순으로 영양적으로 우수하고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중 콩나물이 각 항목에서 비교적 높은 평가를 받았다. 18가지 대두음식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유부초밥에 대한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순두부찌개와 된장찌개가 그 다음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조사한 대두음식 중 기호도가 가장 낮은 것은 일본 된장국(미소)이었고, 이어서 콩밥, 청국장찌개와 콩비지 찌개가 낮은 평가를 받았다. 조사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별로 대두음식에 대한 기호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및 연령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식에서 제공되는 대두음식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좋아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37.9%이었고, 보통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0.4%이었으며, 11.6%는 싫어한다고 응답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일주일에 2번 이상 된장국/찌개와 두부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의 12.3%는 콩을 하루에 한 번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을 평가한 결과, 하루 평균 32.4㎎의 이소플라본을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제니스테인의 평균 섭취수준은 18.5㎎, 다이드제인은 13.9㎎이었다. 조사대상자의 50백분위수에 해당하는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은 22.2㎎으로 나타났으며, 조사대상자의 10%는 하루 6㎎ 이상의 이소플라본을 섭취하며, 10%는 하루 5㎎ 이하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학적변인에 따른 평균 이소플라본 섭취 수준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거주지역과 경제수준에 따라 이소플라본 섭취수준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천·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이 서울에 거주하는 학생에 비해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수준이 가장 높은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re is growing evidence that soy isoflavone play beneficial roles in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ormone dependent cancers, cardiovascular diseases, osteoporosis and also reduced incidence of menopausal sympotoms. However current data are not sufficent to determine the effective dos...
There is growing evidence that soy isoflavone play beneficial roles in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ormone dependent cancers, cardiovascular diseases, osteoporosis and also reduced incidence of menopausal sympotoms. However current data are not sufficent to determine the effective doses for beneficial as well as harmful effects and to support dietary recommendations for isoflavones. Since soy products containing isoflavone are one of the common food items that Koreans consume daily basis, assessing consumption of soy isoflavone by Koreans will give a valuable information on making dietary recommendations for isoflavones.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dietary intake of isoflavone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o evaluate the perception of soy foods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ay provide a useful information making dietary recommendations and scheme for consumption promotion of soy foods. Subjects were consisted of 714 Korean students(13 ∼18 y) who live in urbon and rural areas. All subjects provided detailed information on demographics, anthropometry, health history,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soy foods, and soy food intake using food frequency.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15.4 years. The soy products which the subjects thought to be beneficial for hearth and nutritionally good were soybean paste, soybean curd, and soybean sprout. The most favorite soybean foods were stuffed rice in soybean curd, uncurdled soybean curd stew and soybean curd stew. The mean daily isoflavone intake from soy foods was estimated 32.4㎎ which was attributed to genistein(18.5㎎) and daidzein(13.9㎎). The residents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had higher intake level of isoflavone than those in Seoul and the subjects at the hight ecanomic level had higher that than other counterparts, respectively.
There is growing evidence that soy isoflavone play beneficial roles in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ormone dependent cancers, cardiovascular diseases, osteoporosis and also reduced incidence of menopausal sympotoms. However current data are not sufficent to determine the effective doses for beneficial as well as harmful effects and to support dietary recommendations for isoflavones. Since soy products containing isoflavone are one of the common food items that Koreans consume daily basis, assessing consumption of soy isoflavone by Koreans will give a valuable information on making dietary recommendations for isoflavones.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dietary intake of isoflavone of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to evaluate the perception of soy foods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may provide a useful information making dietary recommendations and scheme for consumption promotion of soy foods. Subjects were consisted of 714 Korean students(13 ∼18 y) who live in urbon and rural areas. All subjects provided detailed information on demographics, anthropometry, health history,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soy foods, and soy food intake using food frequency.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15.4 years. The soy products which the subjects thought to be beneficial for hearth and nutritionally good were soybean paste, soybean curd, and soybean sprout. The most favorite soybean foods were stuffed rice in soybean curd, uncurdled soybean curd stew and soybean curd stew. The mean daily isoflavone intake from soy foods was estimated 32.4㎎ which was attributed to genistein(18.5㎎) and daidzein(13.9㎎). The residents in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had higher intake level of isoflavone than those in Seoul and the subjects at the hight ecanomic level had higher that than other counterparts, respectively.
Keyword
#대두식품-음식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대두식품에 대한 인식 대두식품-음식에 대한 기호도 대두식품-음식 섭취빈도 Soy products/foods Genistein Daidzein Consumption of the soy products/foods Perception of the soy products/foods Preference of the soy products/foods
학위논문 정보
저자
김민정
학위수여기관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식품영양학과
지도교수
윤선
발행연도
2003
총페이지
vi, 61p.
키워드
대두식품-음식 이소플라본 제니스테인 다이드제인 대두식품에 대한 인식 대두식품-음식에 대한 기호도 대두식품-음식 섭취빈도 Soy products/foods Genistein Daidzein Consumption of the soy products/foods Perception of the soy products/foods Preference of the soy products/foods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