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인터페이스의 분야에서 자콥 닐슨(Jacob Nielsen)과 더불어 명성을 얻고 있는 도널드 노만(Donald A. Norman)은 그의 저서 'The psycho logy of everyday things'의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인간이 항상 서투르게 행동하는 것은 아니며 항상 오류를 범하는 것도 아니었다. 오히려 잘못 고안되었거나 디자인된 물건을 사용할 때 인간은 오류나 사고를 범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잘못이나 사고의 책임을 인간에게 ...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분야에서 자콥 닐슨(Jacob Nielsen)과 더불어 명성을 얻고 있는 도널드 노만(Donald A. Norman)은 그의 저서 'The psycho logy of everyday things'의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인간이 항상 서투르게 행동하는 것은 아니며 항상 오류를 범하는 것도 아니었다. 오히려 잘못 고안되었거나 디자인된 물건을 사용할 때 인간은 오류나 사고를 범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잘못이나 사고의 책임을 인간에게 돌리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 이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중요성과 제품사용과정에서 인간-제품 상호작용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단적으로 지적하는 문구이다. 즉,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적합하게 이루어져야만 제품사용과정에서 인간과 제품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되고 더불어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제품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이 적합하지 못했을 때 인간과 제품사이의 상호작용이 원할 하지 못하게 되고 사용자의 작업부하를 초래하여 결국, 사용편의성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이 대형화된 인간-기계시스템에서 초래되면 사용자 또는 시스템 운영자의 인적오류를 유발시켜, 과거 체르노빌(Chernobyl, 1986)원자력 발전소 사고처럼 피할 수 없는 재해를 초래하기도 한다. 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수많은 제품의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이 원활하지 못해서 겪게 되는 불편함과 시간적 경제적 손실은 막대하다. 이는 대형화된 인간-기계시스템에서 초래된 경우에 결코 뒤지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중요한 제품 사용과정에서의 사용편의성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 볼 수 있다. 첫째, 사용편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 및 디자인에 관한 연구이며, 둘째,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사용편의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편의성 평가방법 연구의 일환으로 인간-제품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NASA-TLX(task load index) 평가방법을 활용한 작업부하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또 제품사용과정에서 NASA-TLX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사용성 측면에서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편의성 파악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제품 사용과정에서 중요한 사용편의성의 측정척도 중의 하나인 작업수행시간과 작업부하와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작업부하가 제품의 사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작업부하와 제품의 사용성이 어떠한 상호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실험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입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사용편의성의 평가방법으로서 NASA-TLX 평가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제1장 서론부에서 연구의 배경과 연구 목적을 살펴보고, 논문에서 다루고자하는 내용의 당위성 및 논문의 내용 및 구성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사용자특성을 고찰하는데 인간의 인지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 그리고 감성적 특성에 입각해서 살펴보고 제품사용과정에서 사용편의성의 의미와 자콥 닐슨(Jacob Nielsen)을 비롯한 사용편의성 연구자들의 사용편의성 기준속성을 알아보았다. 사용편의성검사(usability inspection) 방법으로, 탐색적 평가(heuristicevaluation), 인지적 과제분석(cognitive walk through)들을 알아보고 사용편의성 테스트(usability testing)방법으로, 음성보고 방법(think aloud), 관찰법(observation)등을 알아보았다. 기타 사용편의성 평가방법으로 실험법(experiment)등을 통하여 본 연구 주제인 NASA-TLX 평가방법을 활용한 제품 사용과정에서의 작업부하 평가방법의 효용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제3장은 NASA-TLX 평가방법을 활용한 사용편의성 평가가능성 파악의 장이다. 인간-제품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 파악을 위하여 NASA-TLX 평가방법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또 사례연구로 NASA-TLX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제품(휴대폰) 사용과정에서의 작업부하를 평가하였다. 또 작업부하 평가자의 주관적 답변의 객관화 검증을 위해 분석계층과정(AHP)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사용성 측면에서 제품(휴대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을 파악하였다. 즉, 사용편의성 평가척도중의 하나인 작업수행시간을 측정하여 실험적으로 제품사용과정에서의 작업부하와 관련성을 입증하였다. 대표적 사용편의성 측정척도 중의 하나인 작업수행시간과 NASA-TLX 평가방법으로 구한 작업부하와의 관련성을 종합 분석하여 서로의 상관관계를 입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인간-제품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제품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 파악에 NASA-TLX 평가방법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사용편의성 파악의 가능성을 확인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4장은 결론 및 향후과제의 장으로 NASA-TLX 평가방법을 이용한 작업부하 평가를 통해서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 파악의 타당성에 대한 결과들을 종합하였다. 또, 제품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 파악과 이를 활용한 사용편의성 파악을 위한 방법으로서 NASA-TLX 평가방법이 타당한지 결론을 내리고 향후 과제에 대해서 방향을 제시하였다.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분야에서 자콥 닐슨(Jacob Nielsen)과 더불어 명성을 얻고 있는 도널드 노만(Donald A. Norman)은 그의 저서 'The psycho logy of everyday things'의 서문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하고 있다. "인간이 항상 서투르게 행동하는 것은 아니며 항상 오류를 범하는 것도 아니었다. 오히려 잘못 고안되었거나 디자인된 물건을 사용할 때 인간은 오류나 사고를 범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잘못이나 사고의 책임을 인간에게 돌리는 사회에서 살고 있다". 이는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중요성과 제품사용과정에서 인간-제품 상호작용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단적으로 지적하는 문구이다. 즉,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이 적합하게 이루어져야만 제품사용과정에서 인간과 제품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되고 더불어서 사용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제품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이 적합하지 못했을 때 인간과 제품사이의 상호작용이 원할 하지 못하게 되고 사용자의 작업부하를 초래하여 결국, 사용편의성을 저해하는 주요 원인이 된다. 이러한 현상이 대형화된 인간-기계시스템에서 초래되면 사용자 또는 시스템 운영자의 인적오류를 유발시켜, 과거 체르노빌(Chernobyl, 1986)원자력 발전소 사고처럼 피할 수 없는 재해를 초래하기도 한다. 또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수많은 제품의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의 디자인이 원활하지 못해서 겪게 되는 불편함과 시간적 경제적 손실은 막대하다. 이는 대형화된 인간-기계시스템에서 초래된 경우에 결코 뒤지지 않을 것이다. 이처럼 중요한 제품 사용과정에서의 사용편의성에 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 볼 수 있다. 첫째, 사용편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소 및 디자인에 관한 연구이며, 둘째,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사용편의성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편의성 평가방법 연구의 일환으로 인간-제품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NASA-TLX(task load index) 평가방법을 활용한 작업부하 평가방법을 제안하였다. 또 제품사용과정에서 NASA-TLX 평가방법을 활용하여 사용성 측면에서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사용편의성 파악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제품 사용과정에서 중요한 사용편의성의 측정척도 중의 하나인 작업수행시간과 작업부하와의 상관분석을 통하여 작업부하가 제품의 사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작업부하와 제품의 사용성이 어떠한 상호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실험적 연구방법을 통하여 입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사용편의성의 평가방법으로서 NASA-TLX 평가방법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본 논문의 구성은 제1장 서론부에서 연구의 배경과 연구 목적을 살펴보고, 논문에서 다루고자하는 내용의 당위성 및 논문의 내용 및 구성체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 사용자인터페이스 설계를 위한 사용자특성을 고찰하는데 인간의 인지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 그리고 감성적 특성에 입각해서 살펴보고 제품사용과정에서 사용편의성의 의미와 자콥 닐슨(Jacob Nielsen)을 비롯한 사용편의성 연구자들의 사용편의성 기준속성을 알아보았다. 사용편의성검사(usability inspection) 방법으로, 탐색적 평가(heuristic evaluation), 인지적 과제분석(cognitive walk through)들을 알아보고 사용편의성 테스트(usability testing)방법으로, 음성보고 방법(think aloud), 관찰법(observation)등을 알아보았다. 기타 사용편의성 평가방법으로 실험법(experiment)등을 통하여 본 연구 주제인 NASA-TLX 평가방법을 활용한 제품 사용과정에서의 작업부하 평가방법의 효용성 여부를 알아보았다. 제3장은 NASA-TLX 평가방법을 활용한 사용편의성 평가가능성 파악의 장이다. 인간-제품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제품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 파악을 위하여 NASA-TLX 평가방법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또 사례연구로 NASA-TLX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제품(휴대폰) 사용과정에서의 작업부하를 평가하였다. 또 작업부하 평가자의 주관적 답변의 객관화 검증을 위해 분석계층과정(AHP)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활용하여 사용성 측면에서 제품(휴대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을 파악하였다. 즉, 사용편의성 평가척도중의 하나인 작업수행시간을 측정하여 실험적으로 제품사용과정에서의 작업부하와 관련성을 입증하였다. 대표적 사용편의성 측정척도 중의 하나인 작업수행시간과 NASA-TLX 평가방법으로 구한 작업부하와의 관련성을 종합 분석하여 서로의 상관관계를 입증하였다. 결과적으로 인간-제품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제품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 파악에 NASA-TLX 평가방법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입증한 것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사용편의성 파악의 가능성을 확인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제4장은 결론 및 향후과제의 장으로 NASA-TLX 평가방법을 이용한 작업부하 평가를 통해서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 파악의 타당성에 대한 결과들을 종합하였다. 또, 제품의 사용자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적합성 파악과 이를 활용한 사용편의성 파악을 위한 방법으로서 NASA-TLX 평가방법이 타당한지 결론을 내리고 향후 과제에 대해서 방향을 제시하였다.
In the present information society, there are a lot of requirement for the change of design value. In particular, the focus of value is changing from hardware to software because of the computerization of product. Product complexity was increased with the computerization of product and it gave rise ...
In the present information society, there are a lot of requirement for the change of design value. In particular, the focus of value is changing from hardware to software because of the computerization of product. Product complexity was increased with the computerization of product and it gave rise to many problems for the usability of products. In order to solve the complexity of a product, its user interface design was more important than ever. In this study, a method that can evaluate the design suitability of user interface from the point of view on usability was proposed. NASA-TLX (NASA-Task Load Index) that can subjectively evaluate task load in man-machine system was used in this method. Six evaluation criteria; mental demands, physical demands, temporal demands, effort, performance, frustration were used in this method. Relative importance weights of evaluation criteria were obtained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n, task load index was calculated by weighted-averaging using these weight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load and task completion time was identified. Eight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nd two mobile phones were us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ask load index and task completion time was proved in significance level 0.05. Furthermore, the result of ANOVA (analysis of variance) on the type of mobile phone consistently appeared in both task load index and task completion time. In conclusion, that NASA-TLX can be effectively used to evaluate task load in man-product interaction and also task load can be used to evaluate the design suitability of user interface on a product were proved.
In the present information society, there are a lot of requirement for the change of design value. In particular, the focus of value is changing from hardware to software because of the computerization of product. Product complexity was increased with the computerization of product and it gave rise to many problems for the usability of products. In order to solve the complexity of a product, its user interface design was more important than ever. In this study, a method that can evaluate the design suitability of user interface from the point of view on usability was proposed. NASA-TLX (NASA-Task Load Index) that can subjectively evaluate task load in man-machine system was used in this method. Six evaluation criteria; mental demands, physical demands, temporal demands, effort, performance, frustration were used in this method. Relative importance weights of evaluation criteria were obtained by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n, task load index was calculated by weighted-averaging using these weight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load and task completion time was identified. Eight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and two mobile phones were us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ask load index and task completion time was proved in significance level 0.05. Furthermore, the result of ANOVA (analysis of variance) on the type of mobile phone consistently appeared in both task load index and task completion time. In conclusion, that NASA-TLX can be effectively used to evaluate task load in man-product interaction and also task load can be used to evaluate the design suitability of user interface on a product were proved.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