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단거리달리기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와 효과적인 보조·보강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으로 육상선수의 기초체력과 전문체력 증진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경기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K중학교 육상부 학생으로 14세에서 16세 사이의 12명(남:8, 여:4)을 대상으로 기초체력검사와 전문체력 검사를 학교 시설물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2003년 4월, 7월, 그리고 10월에 실시되었으며 실험실시 사이의 3개월간은 보조·보강 운동프로그램을 적용시켜 훈련...
본 연구의 목적은 단거리달리기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와 효과적인 보조·보강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으로 육상선수의 기초체력과 전문체력 증진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경기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K중학교 육상부 학생으로 14세에서 16세 사이의 12명(남:8, 여:4)을 대상으로 기초체력검사와 전문체력 검사를 학교 시설물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2003년 4월, 7월, 그리고 10월에 실시되었으며 실험실시 사이의 3개월간은 보조·보강 운동프로그램을 적용시켜 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실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Windows용 Spss 10을 이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남녀 중학교 육상부 운동선수의 기초체력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기초체력중 제자리 멀리뛰기에서 남녀의 운동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장거리 달리기에서의 보조·보강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전문체력 항목인 서전트점프와 사이드스텝에서 모두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을 요약하면 보조·보강 운동프로그램의 적용이 남녀 중학교 육상부 선수들의 기초체력 향상과 전문체력 향상을 가져왔다. 이는 체력 증진과 함께 각종 대회에서 경기력 향상에 기초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나, 일부 기초체력 항목은 종목의 특성에 맞는 운동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함을 나타내주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거리달리기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지도와 효과적인 보조·보강운동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으로 육상선수의 기초체력과 전문체력 증진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경기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K중학교 육상부 학생으로 14세에서 16세 사이의 12명(남:8, 여:4)을 대상으로 기초체력검사와 전문체력 검사를 학교 시설물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은 2003년 4월, 7월, 그리고 10월에 실시되었으며 실험실시 사이의 3개월간은 보조·보강 운동프로그램을 적용시켜 훈련을 실시하였다. 실험실시 나타난 결과를 토대로 Windows용 Spss 10을 이용하여 자료처리를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남녀 중학교 육상부 운동선수의 기초체력 향상이 나타났다. 둘째, 기초체력중 제자리 멀리뛰기에서 남녀의 운동효과가 달라질 수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장거리 달리기에서의 보조·보강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전문체력 항목인 서전트점프와 사이드스텝에서 모두 향상을 나타내었다. 이상을 요약하면 보조·보강 운동프로그램의 적용이 남녀 중학교 육상부 선수들의 기초체력 향상과 전문체력 향상을 가져왔다. 이는 체력 증진과 함께 각종 대회에서 경기력 향상에 기초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나, 일부 기초체력 항목은 종목의 특성에 맞는 운동프로그램의 적용이 필요함을 나타내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fficient supplementary and reinforced workout programs in a bid to promote the basic and professional physical fitness and performance of track-and-field players, especially of sprint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 students in the athletic depar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fficient supplementary and reinforced workout programs in a bid to promote the basic and professional physical fitness and performance of track-and-field players, especially of sprint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 students in the athletic department of K middle school in Seoul, who included eight boys and four girls at the age of 14 to 16. Their basic and professional physical fitness was tested by using school faciliti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pril, July and October, 2003, and during the three months when the experiment paused, they underwent training with supplementary and reinforced exercise progra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er 10.0 for Window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oy and girl middle school athletic players showed improvement in basic physical strength. Second, the exercise programs might have a different effect on the boys and girls in terms of standing long jump, one of the sporting events by which basic physical fitness could be measured. Third, the workout programs weren't effective for long-distance race. Fourth, they made a progress in both sergeant jump and side step, two of the sporting events that called for professional physical fitness. In summary, the supplementary and reinforced workout programs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basic and professional physical fitness of the boy and girl middle school athletic players. This fact illustrated that those programs could improve their performance in all sorts of athletic meets, but it's requested to apply differentiated programs to some sporting events related to basic physical strength in light of their characteris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fficient supplementary and reinforced workout programs in a bid to promote the basic and professional physical fitness and performance of track-and-field players, especially of sprint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2 students in the athletic department of K middle school in Seoul, who included eight boys and four girls at the age of 14 to 16. Their basic and professional physical fitness was tested by using school facilitie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pril, July and October, 2003, and during the three months when the experiment paused, they underwent training with supplementary and reinforced exercise program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Ver 10.0 for Window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oy and girl middle school athletic players showed improvement in basic physical strength. Second, the exercise programs might have a different effect on the boys and girls in terms of standing long jump, one of the sporting events by which basic physical fitness could be measured. Third, the workout programs weren't effective for long-distance race. Fourth, they made a progress in both sergeant jump and side step, two of the sporting events that called for professional physical fitness. In summary, the supplementary and reinforced workout programs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basic and professional physical fitness of the boy and girl middle school athletic players. This fact illustrated that those programs could improve their performance in all sorts of athletic meets, but it's requested to apply differentiated programs to some sporting events related to basic physical strength in light of their characteristics.
Keyword
#보조 보강 운동프로그램 중학교 육상선수 기초체력 전문체력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