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960년대 모더니즘 시 연구 원문보기


이정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국내석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30년대 모더니즘 시는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20년대의 시가 가진 낭만파의 감상주의와 경향파의 편내용주의에 대한 반발로서 출발했다. 김기림, 정지용 등은 자신들의 작품속에서 보여준 감정의 절제를 통한 이미지즘 시들을 통해 완성도 높은 작품들을 보여주고 있으나 역사나 사회에 대한 인식이 빈약한 한계를 가진다. 또한 당시의 전위적 문학운동가 이상은 다다나 초현실주의적인 작품들을 발표하면서 우리의 문학의 범위를 한 차원 넓혔다. 이들의 작품세계는 전시대의 문학과 비교하여 감정의 발로보다는 감정의 절제를, 시의 이미지에 있어서 음악성보다는 회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시각적 이미지의 중시가 당시의 도시를 나타냄에 있어서 그들의 삶 속의 생활공간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단순한 사물이나 풍경으로 드러나는 한계를 보인다는 점에서 이후 모더니즘 작가들의 극복의 대상이 된다. 50년대 모더니즘시는 당시의 문단이 경향문학의 편내용주의가 사라짐으로 인해, 당시의 문단의 중심이던 인생파와 청록파를 비판하면서 출발한다. 「후반기」 동인 등을 중심으로 당시의 문단이 정치주의에 오염되어 싫음을 비판하고, 정치중립을 선언하고 예술에 충실하고자 하는 태도를 보여준다. 또한 정치중립을 선언하였음에도 시대상황과 현실인식을 외면한 것은 아니었다. 그들의 진보의식은 현실인식에 바탕을 둔 것이었고, 그러한 문학적 신념은 이론과 창작을 통해 표출되었다.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이라는 책의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들이 해방된 조국의 새로운 도시에서 창작하려했던 것은 정치적 당파주의가 아닌 시민정신이 드러난 문학이었다. 그러나 그들 역시도 확고한 역사적인 인식이 나타나는 시들을 창작하고있지 못하고 있다. 해방정국의 혼란이나 6.25전쟁 등 50년대 한국이라는 공간의 특성들을 작품 속에서 전망과 극복의 공간으로 그려내지 못하고 있는 한계들을 보인다. 60년대의 모더니즘시는 전시대 문학적 성과들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의지에서 출발한다고 불 수 있다. 4.19나 5.16의 역사적 사건들을 거치면서 역사적 주체에 대한 인식을 하게 되었고, 군사정권의 몰개성주의와 천민 자본주의의 산업화가 가져온 소외 의식은 60년대 작가들이 서구적인 이미지를 제시하는 것으로 모더니즘 문학을 만족할 수 없게 만들었다. 그들은 자신이 처해있는 1960년대 한국이라는 공간에 발을 밀고 있었으며 자신의 일상 공간 속에 존재하는 모든 대상 사물들을 통해 현실을 그려내려 노력했다. 이러한 시도들이 일군의 사물시와 일상을 제시하는 시들로 나타나게 되었고, 현실속에서 존재의 문제를 계속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적 인식은 계속적으로 물화되고 상품화되어 가는 사회 현실과 만나면서, 구체적 현실과의 연관을 상실하고, 언어 체계에 대한 불신과 회의를 가져오며, 무의미·무의식의 시로 나타났음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1960년대 모더니즘에 속하는 세 명의 시인을 중심으로 그들의 시세계를 살펴보았다. 이들은 기존의 시적 질서에 반기를 들고 새로운 질서를 확립하기 위해 자신의 시세계를 계속적으로 변모시켜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모두 기존의 전통서정시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가졌다는데 공통점이있다. 이러한 과거의 전통에 대한 비판적 인식을 작품이나 시론을 통해 보여주고 있는데 이들의 시의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김춘수의 경우 그의 대표작인 「꽃」에서 기존 서정시들이 가지고 있던 꽃의 이미지를 부정한다. 꽃은 더 이상 그에게 아름다움이나 여성성을 나타내는 존재가 아니라 일반적인 인식의 대상인 사물일 뿐이다. 이 같이 기존 사회·윤리적 관념을 배제한 순수한 이미지의 추구는 이후 「처용」연작에 이르러서는 객관적인 ...

주제어

#1960년대 모더니즘 시 김춘수 오규원 황동규 

학위논문 정보

저자 이정우
학위수여기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구분 국내석사
학과 교육학과 국어교육전공
발행연도 1999
총페이지 ii, 99p.
키워드 1960년대 모더니즘 시 김춘수 오규원 황동규
언어 kor
원문 URL http://www.riss.kr/link?id=T9465942&outLink=K
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