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부모 요인(부모의 자녀에 대한 생활의 감독, 규칙의 일관성), 친구 요인(음주하는 친구 수, 음주에 대한 동조압력)과 청소년의 음주(음주 빈도, 음주량, 문제성 음주)와의 관계를 밝히고, 부모 · 친구 요인이 청소년음주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청소년 음주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련된 문헌들을 살펴보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D여중과 D남중, 송파구에 위치한 J여고, J남고 학생들 5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음주행위에 관한 사항, 부모요인, 친구요인을 조사하였다. 음주행위에 관한 사항은 처음 술 마신 시기, 주로 함께 술 마시는 대상, 평균적 술잔 수 등 음주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과 본 논문의 종속변인이 되는 음주빈도, 음주량, 문제성 음주를 조사하였다. 부모 요인으로 부모의 자녀에 대한 생활의 감독과 규칙의 일관성은 Lempers(1989)가 개발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친구 요인은 음주하는 친구 수, 친구의 음주에 대한 동조압력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
본 연구는 부모 요인(부모의 자녀에 대한 생활의 감독, 규칙의 일관성), 친구 요인(음주하는 친구 수, 음주에 대한 동조압력)과 청소년의 음주(음주 빈도, 음주량, 문제성 음주)와의 관계를 밝히고, 부모 · 친구 요인이 청소년음주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청소년 음주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련된 문헌들을 살펴보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D여중과 D남중, 송파구에 위치한 J여고, J남고 학생들 5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음주행위에 관한 사항, 부모요인, 친구요인을 조사하였다. 음주행위에 관한 사항은 처음 술 마신 시기, 주로 함께 술 마시는 대상, 평균적 술잔 수 등 음주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과 본 논문의 종속변인이 되는 음주빈도, 음주량, 문제성 음주를 조사하였다. 부모 요인으로 부모의 자녀에 대한 생활의 감독과 규칙의 일관성은 Lempers(1989)가 개발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친구 요인은 음주하는 친구 수, 친구의 음주에 대한 동조압력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과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사용하였고, 성별, 중 · 고등학생간의 음주빈도, 음주량, 문제성 음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교차분석을, 부모의 감독, 규칙의 일관성, 친구 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test를 실시하였다. 부모 · 친구 요인과 청소년 음주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피어슨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요인들의 청소년 음주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남학생이 49.2%, 여학생이 50.8%, 중학생이 44.8%, 고등학생이 54.4%의 비율을 보여 대체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여주었다. 2. 조사 대상자의 음주행위에 관한 사항 음주빈도에 있어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음주빈도가 잦았고,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음주빈도가 잦았다. 음주량도 음주빈도와 마찬가지로 여학생보다는 남학이 많았고,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많았다. 문제성 음주에서도 음주빈도, 음주량과 같이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심각하였다. 즉 남학생이고 고학년일수록 술을 자주 마시고 많은 양을 마시며, 술로 인해 사회적, 개인적으로 문제를 더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부모 요인 청소년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요인으로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생활의 감독과 규칙의 일관성을 측정하였는데 부모의 감독은 그리 높지 않은 점수를 보여주었고,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고등학생보다는 중학생이 감독의 평균 점수가 높았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규칙의 일관성도 높지 않은 점수를 나타냈고, 남학생과 여학생, 중학생과 고등학생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점수의 차이는 없었다. 4. 친구 요인 청소년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친구요인은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평균의 차이가 없었고, 중학생과 고등학생간에는 평균에 있어서 차이를 보여주었다. 5. 부모 · 친구 요인과 청소년 음주와의 관계 부모 · 친구 요인과 음주빈도와의 관계는 부모의 감독과 음주빈도가 부적상관관계, 친구 요인과 음주빈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규칙의 일관성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부모가 자녀의 생활에 대한 감독 수준이 낮고, 음주하는 친구 수가 많고, 친구의 동조압력이 높으면 음주빈도는 잦아진다고 할 수 있다. 부모 · 친구 요인과 음주량과의 관계는 친구 요인과 음주량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모의 감독과 규칙의 일관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음주량은 부모의 감독이나, 규칙의 일관성보다는 친구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 친구 요인과 문제성 음주와의 관계는 부모의 감독과 규칙의 일관성이 문제성 음주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구 요인과 문제성 음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부모의 감독 수준이 낮고, 규칙의 적응이 일관되지 않고, 음주하는 친구 수가 많고, 음주에 대한 동조압력이 많으면 청소년의 문제성 음주의 정도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모의 감독, 규칙의 일관성과 친구 요인은 부적 상관관계를 가져 부모의 감독 정도가 높고 규칙의 적응이 일관되면 친구 요인의 영향은 감소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6. 부모 · 친구 요인이 청소년 음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감독, 규칙의 일관성, 친구 요인의 음주빈도에 대한 설명력은 11%, 음주량에 대한 설명력은 8%, 문제성 음주에 대한 설명력은 25%였다. 통계적으로 음주빈도, 음주량, 문제성 음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친구 요인이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으로 나누어서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이 감독, 규칙의 일관성, 친구 요인의 음주빈도에서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음주빈도, 음주량, 문제성 음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친구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알콜 중독이나 약물 중독에 개입된 일부 청소년이 아니라 전체 청소년을 위한 보편적인 음주예방 프로그램이 시급하다. 본 논문의 결과에서 보듯이 청소년의 음주는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를 시작하는 연령도 낮았고, 음주빈도와 음주량에 있어서도 심각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음주로 인해 신체적, 개인적으로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도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제는 청소년의 음주가 청소년전반에 걸친 문제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음주예방은 술을 못 마시게 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들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 증진과 이후 건전한 성인으로서의 발달을 그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음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 후에 개입하는 것보다 청소년이 음주를 하기 전에 개입하여 그들에게 음주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교육하고 음주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을 다루어 청소년 음주를 예방하는 접근법이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이 음주에 개입되기 전에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보편적 예방 프로그램이 시행되어야 한다. 둘째, 청소년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친구 요인을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음주나 약물사용과 관련된 친구의 동조압력을 인식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기술과 약물사용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교정하는 약물거부 기술과 같이 친구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청소년 음주 예방 프로그램에 부모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결과에서 보듯이, 부모의 감독과 규칙의 일관성은 청소년 음주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친구 요인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청소년 음주에 대한 보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음주를 예방하는 프로그램에 부모와 청소년이 함께 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키고 부모의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부모 요인(부모의 자녀에 대한 생활의 감독, 규칙의 일관성), 친구 요인(음주하는 친구 수, 음주에 대한 동조압력)과 청소년의 음주(음주 빈도, 음주량, 문제성 음주)와의 관계를 밝히고, 부모 · 친구 요인이 청소년음주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여 청소년 음주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논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련된 문헌들을 살펴보고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 종로구에 위치한 D여중과 D남중, 송파구에 위치한 J여고, J남고 학생들 53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음주행위에 관한 사항, 부모요인, 친구요인을 조사하였다. 음주행위에 관한 사항은 처음 술 마신 시기, 주로 함께 술 마시는 대상, 평균적 술잔 수 등 음주와 관련된 일반적인 사항과 본 논문의 종속변인이 되는 음주빈도, 음주량, 문제성 음주를 조사하였다. 부모 요인으로 부모의 자녀에 대한 생활의 감독과 규칙의 일관성은 Lempers(1989)가 개발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친구 요인은 음주하는 친구 수, 친구의 음주에 대한 동조압력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의 일반적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과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사용하였고, 성별, 중 · 고등학생간의 음주빈도, 음주량, 문제성 음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교차분석을, 부모의 감독, 규칙의 일관성, 친구 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T-test를 실시하였다. 부모 · 친구 요인과 청소년 음주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피어슨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고. 요인들의 청소년 음주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조사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남학생이 49.2%, 여학생이 50.8%, 중학생이 44.8%, 고등학생이 54.4%의 비율을 보여 대체적으로 고른 분포를 보여주었다. 2. 조사 대상자의 음주행위에 관한 사항 음주빈도에 있어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음주빈도가 잦았고,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음주빈도가 잦았다. 음주량도 음주빈도와 마찬가지로 여학생보다는 남학이 많았고,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많았다. 문제성 음주에서도 음주빈도, 음주량과 같이 중학생보다는 고등학생이 여학생보다는 남학생이 심각하였다. 즉 남학생이고 고학년일수록 술을 자주 마시고 많은 양을 마시며, 술로 인해 사회적, 개인적으로 문제를 더 자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부모 요인 청소년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요인으로는 부모의 자녀에 대한 생활의 감독과 규칙의 일관성을 측정하였는데 부모의 감독은 그리 높지 않은 점수를 보여주었고,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고등학생보다는 중학생이 감독의 평균 점수가 높았고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규칙의 일관성도 높지 않은 점수를 나타냈고, 남학생과 여학생, 중학생과 고등학생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점수의 차이는 없었다. 4. 친구 요인 청소년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친구요인은 남학생과 여학생간의 평균의 차이가 없었고, 중학생과 고등학생간에는 평균에 있어서 차이를 보여주었다. 5. 부모 · 친구 요인과 청소년 음주와의 관계 부모 · 친구 요인과 음주빈도와의 관계는 부모의 감독과 음주빈도가 부적상관관계, 친구 요인과 음주빈도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규칙의 일관성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부모가 자녀의 생활에 대한 감독 수준이 낮고, 음주하는 친구 수가 많고, 친구의 동조압력이 높으면 음주빈도는 잦아진다고 할 수 있다. 부모 · 친구 요인과 음주량과의 관계는 친구 요인과 음주량이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부모의 감독과 규칙의 일관성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음주량은 부모의 감독이나, 규칙의 일관성보다는 친구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 친구 요인과 문제성 음주와의 관계는 부모의 감독과 규칙의 일관성이 문제성 음주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친구 요인과 문제성 음주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부모의 감독 수준이 낮고, 규칙의 적응이 일관되지 않고, 음주하는 친구 수가 많고, 음주에 대한 동조압력이 많으면 청소년의 문제성 음주의 정도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부모의 감독, 규칙의 일관성과 친구 요인은 부적 상관관계를 가져 부모의 감독 정도가 높고 규칙의 적응이 일관되면 친구 요인의 영향은 감소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6. 부모 · 친구 요인이 청소년 음주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전체 학생들을 대상으로 감독, 규칙의 일관성, 친구 요인의 음주빈도에 대한 설명력은 11%, 음주량에 대한 설명력은 8%, 문제성 음주에 대한 설명력은 25%였다. 통계적으로 음주빈도, 음주량, 문제성 음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친구 요인이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으로 나누어서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고등학생보다 중학생이 감독, 규칙의 일관성, 친구 요인의 음주빈도에서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 음주빈도, 음주량, 문제성 음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친구 요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알콜 중독이나 약물 중독에 개입된 일부 청소년이 아니라 전체 청소년을 위한 보편적인 음주예방 프로그램이 시급하다. 본 논문의 결과에서 보듯이 청소년의 음주는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를 시작하는 연령도 낮았고, 음주빈도와 음주량에 있어서도 심각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음주로 인해 신체적, 개인적으로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도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제는 청소년의 음주가 청소년전반에 걸친 문제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음주예방은 술을 못 마시게 하는 것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청소년들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 증진과 이후 건전한 성인으로서의 발달을 그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음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한 후에 개입하는 것보다 청소년이 음주를 하기 전에 개입하여 그들에게 음주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교육하고 음주의 원인이 되는 요인들을 다루어 청소년 음주를 예방하는 접근법이 효과적일 것이다. 그러므로 청소년들이 음주에 개입되기 전에 모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보편적 예방 프로그램이 시행되어야 한다. 둘째, 청소년의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친구 요인을 줄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음주나 약물사용과 관련된 친구의 동조압력을 인식하고 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기술과 약물사용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교정하는 약물거부 기술과 같이 친구의 영향을 줄일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청소년 음주 예방 프로그램에 부모의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의 결과에서 보듯이, 부모의 감독과 규칙의 일관성은 청소년 음주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친구 요인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어 청소년 음주에 대한 보호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음주를 예방하는 프로그램에 부모와 청소년이 함께 할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키고 부모의 참여를 유도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dolescence drinking prevention programs by identifying a relationship among parent, adolescent, and friend factors on drinking related problems and understanding influence of parent · friend factors on adolescence's drinking behavio...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dolescence drinking prevention programs by identifying a relationship among parent, adolescent, and friend factors on drinking related problems and understanding influence of parent · friend factors on adolescence's drinking behaviors. In order to reach this purpose, existed literature was reviewed and survey research with adolescence was conducte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532 students form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The survey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regarding drinking behaviors, parent factors, and friend factors. In detail, drinking related items included drinking frequency, drinking amount, problematic drinking. Parental influences were measured by Lampers' Parental rule application consistency and supervision scale, which was modified for this study. Peers influences were measured by a number of drinking friends and drinking-related peer pressure.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 1. Students who are male and in higher grade tend to drink more often with considerable amount and often go through social and private problems. 2. Students with a lower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have more friends who drink and experience much higher drinking-related peer pressure. 3. Peers influence are more related to amount of drinking than parental supervision or consistency of family rule application. 4. Students who have a lower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inconsistency of family rule application, more many friends who drink, and more higher peer pressure tend to more involve in problematic drinking. 5. When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is high and family rule application is consistent friends' influence on drinking is reduced. 7. Regardless of students' grades peer influences are significantly their related to drinking frequency, drinking amount, and problematic drink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pported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 1. Drinking prevention program for students in general is urgently needed. As found in this research, problems related to drinking are not owned by problem students only. Rather, drinking impacts on the students who are normal, so that they easily turn to students with physical and private problems. Therefore, preventive intervention with program for general students, before adolescent problems caused by drinking occur, is more important than treatment intervention after the problem shows up. 2. A program which can teach students to reject the peer influences should be developed. 3. Incentives of parents' participation in adolescence drinking prevention program is needed. As shown in this study, the parent factor acts on preventive factor for adolescent drinking, so that the developed program should include some activities that both adolescences and their parents work togeth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adolescence drinking prevention programs by identifying a relationship among parent, adolescent, and friend factors on drinking related problems and understanding influence of parent · friend factors on adolescence's drinking behaviors. In order to reach this purpose, existed literature was reviewed and survey research with adolescence was conducted.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532 students form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The survey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regarding drinking behaviors, parent factors, and friend factors. In detail, drinking related items included drinking frequency, drinking amount, problematic drinking. Parental influences were measured by Lampers' Parental rule application consistency and supervision scale, which was modified for this study. Peers influences were measured by a number of drinking friends and drinking-related peer pressure. Following 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 1. Students who are male and in higher grade tend to drink more often with considerable amount and often go through social and private problems. 2. Students with a lower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have more friends who drink and experience much higher drinking-related peer pressure. 3. Peers influence are more related to amount of drinking than parental supervision or consistency of family rule application. 4. Students who have a lower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inconsistency of family rule application, more many friends who drink, and more higher peer pressure tend to more involve in problematic drinking. 5. When level of parental supervision is high and family rule application is consistent friends' influence on drinking is reduced. 7. Regardless of students' grades peer influences are significantly their related to drinking frequency, drinking amount, and problematic drink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pported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 1. Drinking prevention program for students in general is urgently needed. As found in this research, problems related to drinking are not owned by problem students only. Rather, drinking impacts on the students who are normal, so that they easily turn to students with physical and private problems. Therefore, preventive intervention with program for general students, before adolescent problems caused by drinking occur, is more important than treatment intervention after the problem shows up. 2. A program which can teach students to reject the peer influences should be developed. 3. Incentives of parents' participation in adolescence drinking prevention program is needed. As shown in this study, the parent factor acts on preventive factor for adolescent drinking, so that the developed program should include some activities that both adolescences and their parents work together.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