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품행장애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중등특수교육전공 임시순 이 연구는 품행장애 청소년의 도덕적 발달 관점에서 첫째, 품행장애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세 가지 가설적 이야기를 제시한 후 도덕적 위반 상황에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입장에서 도덕적 정서와 행동 반응을 비교하고, 둘째, 품행장애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 귀인을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중·고등학교 3곳에 재학중인 1985년도에서 1987년도에 출생한 15~17세이며 DSM-IV(1994) 준거에 ...
국문초록 품행장애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중등특수교육전공 임시순 이 연구는 품행장애 청소년의 도덕적 발달 관점에서 첫째, 품행장애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세 가지 가설적 이야기를 제시한 후 도덕적 위반 상황에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입장에서 도덕적 정서와 행동 반응을 비교하고, 둘째, 품행장애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 귀인을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중·고등학교 3곳에 재학중인 1985년도에서 1987년도에 출생한 15~17세이며 DSM-IV(1994) 준거에 따라 품행장애로 진단 받은 남자 청소년 30명과 일반 청소년 30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도덕적 정서 반응과 도덕적 정서 귀인에 관한 다양한 정서 반응과 정서 귀인을 살펴보고자 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도덕적 위반 행동에 관한 세 가지 이야기에 제시된 가해자 입장에서의 도덕적 정서 반응과 피해자 입장에서의 도덕적 정서 반응. 그리고, 피해자 입장에서의 도덕적 정서 반응과 도덕적 정서 귀인을 품행장애 청소년 집단과 일반 청소년 집단간의 검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본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해자 입장에서의 정서 반응은 품행장애 청소년 집단과 일반 청소년 집단을 비교하면, 기쁨 정서에서 일반청소년은 22.2%, 품행장애 청소년 집단에서는 38.9%로 나타났다. 또한 품행장애 청소년 집단에서의 죄책감 정서는 44.5%로 응답한 반면, 일반 청소년 집단에서는 55.6%가 도덕적 위반 상황에서 가해자 입장이라면 미안해하고 죄책감을 느끼게 될 것이라는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피해자 입장에서의 도덕적정서 반응 결과에서 일반 청소년 집단에서는 분노(46.7%)를 가장 많이 나타내었고, 품행 장애 청소년 집단의 경우에서는 적절한 공감적 반응에 의한 분노 반응보다는 당황하거나 두려워하는 반응(50%)이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해자 입장에서의 도덕적 정서 귀인은 일반 청소년의 경우, 물건에 대한 손익과 관련한 물질적 결과(46.7%)로 도덕적 정서 귀인을 가장 많이 보였다. 한편, 품행장애 청소년의 경우에는 가해자 입장에서의 정서 반응을 공평성이나 공정성과 관련된 도덕적 이유(24.4%), 물질적 결과(26.7%) 그리고 타인의 감정에 관심이 없고 타인의 피해에 대하여 만족감을 느끼는 무관심(30.0%)으로 귀인을 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피해자 입장에서의 도덕적 정서 귀인은 일반 청소년 집단은 공평성 또는 공정성과 관련된 도덕(28.9%) 귀인이 가장 많은 비율이 나타났고, 품행장애 청소년 집단은 제시된 상황 속의 인물과 동일한 감정을 느끼는 공감(38.9%) 귀인에 가장 많은 비율이 나타났다. 그리고 도덕적 이유로 설명하는 비율은 일반 청소년 집단(28.9%)이 품행장애 청소년 집단(17.8%)보다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국문초록 품행장애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중등특수교육전공 임시순 이 연구는 품행장애 청소년의 도덕적 발달 관점에서 첫째, 품행장애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세 가지 가설적 이야기를 제시한 후 도덕적 위반 상황에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입장에서 도덕적 정서와 행동 반응을 비교하고, 둘째, 품행장애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도덕적 정서 귀인을 비교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중·고등학교 3곳에 재학중인 1985년도에서 1987년도에 출생한 15~17세이며 DSM-IV(1994) 준거에 따라 품행장애로 진단 받은 남자 청소년 30명과 일반 청소년 30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도덕적 정서 반응과 도덕적 정서 귀인에 관한 다양한 정서 반응과 정서 귀인을 살펴보고자 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도덕적 위반 행동에 관한 세 가지 이야기에 제시된 가해자 입장에서의 도덕적 정서 반응과 피해자 입장에서의 도덕적 정서 반응. 그리고, 피해자 입장에서의 도덕적 정서 반응과 도덕적 정서 귀인을 품행장애 청소년 집단과 일반 청소년 집단간의 검증을 통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본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해자 입장에서의 정서 반응은 품행장애 청소년 집단과 일반 청소년 집단을 비교하면, 기쁨 정서에서 일반청소년은 22.2%, 품행장애 청소년 집단에서는 38.9%로 나타났다. 또한 품행장애 청소년 집단에서의 죄책감 정서는 44.5%로 응답한 반면, 일반 청소년 집단에서는 55.6%가 도덕적 위반 상황에서 가해자 입장이라면 미안해하고 죄책감을 느끼게 될 것이라는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피해자 입장에서의 도덕적정서 반응 결과에서 일반 청소년 집단에서는 분노(46.7%)를 가장 많이 나타내었고, 품행 장애 청소년 집단의 경우에서는 적절한 공감적 반응에 의한 분노 반응보다는 당황하거나 두려워하는 반응(50%)이 가장 많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해자 입장에서의 도덕적 정서 귀인은 일반 청소년의 경우, 물건에 대한 손익과 관련한 물질적 결과(46.7%)로 도덕적 정서 귀인을 가장 많이 보였다. 한편, 품행장애 청소년의 경우에는 가해자 입장에서의 정서 반응을 공평성이나 공정성과 관련된 도덕적 이유(24.4%), 물질적 결과(26.7%) 그리고 타인의 감정에 관심이 없고 타인의 피해에 대하여 만족감을 느끼는 무관심(30.0%)으로 귀인을 하는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넷째, 피해자 입장에서의 도덕적 정서 귀인은 일반 청소년 집단은 공평성 또는 공정성과 관련된 도덕(28.9%) 귀인이 가장 많은 비율이 나타났고, 품행장애 청소년 집단은 제시된 상황 속의 인물과 동일한 감정을 느끼는 공감(38.9%) 귀인에 가장 많은 비율이 나타났다. 그리고 도덕적 이유로 설명하는 비율은 일반 청소년 집단(28.9%)이 품행장애 청소년 집단(17.8%)보다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Moral Emotions in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Si-Soon Im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special education, Kong 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Seung-Chul Kwak, Ph.D In view of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s mor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first...
ABSTRACT Moral Emotions in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Si-Soon Im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special education, Kong 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Seung-Chul Kwak, Ph.D In view of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s mor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first to suggest three hypotheses for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and adolescents, and in morally violent circumstances to compare offender's moral emotions to that of victim. Second, this study aims to compare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s moral attributions with adolescents. The objects for this study are thirty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classified on the basis of DSM-IV(1984) standards and thirty ordinary ones. They are chosen from three middle school and three high school respectively and their ages are ranged from fifteen to seventeen, that is, born from in 1985 to in 1987. In this study, interviews were implemented to find out a variety of moral emotions and moral attributions on moral emotions and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s to examine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and normal adolescents in a position of offender to that in a position of victim suggested by three hypotheses concerning morally violent behavior.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re appears differences in moral emotions in a position of offender between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and normal adolescents. The former is revealed to have more emotions of pleasure, while the latter has more emotions of regret and guilt. Second, regarding the result of moral emotions in a position of victim, normal adolescents's group expressed mostly indignant, while conduct disordered adolescents's group expressed mostly embarrassed or scared rather than indignant brought by properly sympathized response. Third, with regard to moral sentimental reversion in a position of offender, normal adolescents show their moral attributions which relates to profit and loss on products. In contrast,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were found it relatively low due to moral reason relating to equality and fairness. Moreover, they show their tendency to attributed relatively high due to outcome and emotional distancing. Fourth, concerning moral attributions in a position of victim, for normal adolescents, moral attributions relating to equality and fairness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Meanwhile, for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s group, the empathized attributions which have common emotion with the character of the given situation account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addition, normal adolescents is higher than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for the proportion to explain by moral reason.
ABSTRACT Moral Emotions in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Si-Soon Im Department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Graduate School special education, Kong 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 Seung-Chul Kwak, Ph.D In view of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s moral development, this study aims first to suggest three hypotheses for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and adolescents, and in morally violent circumstances to compare offender's moral emotions to that of victim. Second, this study aims to compare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s moral attributions with adolescents. The objects for this study are thirty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classified on the basis of DSM-IV(1984) standards and thirty ordinary ones. They are chosen from three middle school and three high school respectively and their ages are ranged from fifteen to seventeen, that is, born from in 1985 to in 1987. In this study, interviews were implemented to find out a variety of moral emotions and moral attributions on moral emotions and attribu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s to examine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and normal adolescents in a position of offender to that in a position of victim suggested by three hypotheses concerning morally violent behavior.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re appears differences in moral emotions in a position of offender between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and normal adolescents. The former is revealed to have more emotions of pleasure, while the latter has more emotions of regret and guilt. Second, regarding the result of moral emotions in a position of victim, normal adolescents's group expressed mostly indignant, while conduct disordered adolescents's group expressed mostly embarrassed or scared rather than indignant brought by properly sympathized response. Third, with regard to moral sentimental reversion in a position of offender, normal adolescents show their moral attributions which relates to profit and loss on products. In contrast,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were found it relatively low due to moral reason relating to equality and fairness. Moreover, they show their tendency to attributed relatively high due to outcome and emotional distancing. Fourth, concerning moral attributions in a position of victim, for normal adolescents, moral attributions relating to equality and fairness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Meanwhile, for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s group, the empathized attributions which have common emotion with the character of the given situation account for the highest proportion. In addition, normal adolescents is higher than conduct-disordered adolescents for the proportion to explain by moral reason.
Keyword
#품행장애 청소년 도덕적 정서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