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중등학교의 상담 활동 실태와 상담 활동의 수행 정도 그리고 상담 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교사의 특성에 따라 즉 성별, 학교급별, 경력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상담 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붕환(1989)이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전라남도에 근무하고 있는 중학교 교사 300명, 고등학교 교사 300명 총 600명의 대상자를 선정한 후 수집한...
이 연구는 중등학교의 상담 활동 실태와 상담 활동의 수행 정도 그리고 상담 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교사의 특성에 따라 즉 성별, 학교급별, 경력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상담 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붕환(1989)이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전라남도에 근무하고 있는 중학교 교사 300명, 고등학교 교사 300명 총 600명의 대상자를 선정한 후 수집한 430부의 자료를 교사의 배경 변인별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교 상담 활동은 전체적으로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상담실 운영도 개선하여 운영하자는 의결이었다. 상담실 운영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이 상담실은 설치 운영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상담실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상담실 운영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시급하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상담실의 필요성과 함께 상담 교사의 필요성도 전체 응답 교사의 91.9%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상담 활동의 저해 요인으로 전문 상담 교사의 부족과 상담 시설의 미비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상담 활동이 저조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중학교 교사들은 이성 문제를 고등학교 교사들은 장래 문제를 중요 영역으로 꼽아 대조를 보이고 있었다. 상담 학생에 대흔 자료 준비는 선입견을 가질 수 있으므로 하지 않은 것이 좋으며 상담 기법으로 절충식 방법을 선호하고 상담 결과에 대해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상담 교사의 자격 조건으로 연수를 받고 자격을 취득한 교사를 원하였고 상담 기법이 뛰어난 교사가 상담을 맡아야 한다는 의견을 보여 학생들과 유대 관계가 좋은 사람보다 우선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상담 교사의 인성적 자질로 사랑이 있어야 하며 자상한 성격을 가진 교사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교사의 상담 활동으로 현재 상담 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가 84.2%이며 상담 횟수도 주 1회 정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 활동장소로는 상담실보다는 교무실을 주로 이용하였고 고등학교는 교사가 불러서 보다는 학생이 스스로 원해서 중학교는 교사가 불러서 상담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교사의 82.3%가 상담 활동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들이 상담활동에 대해 대체로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현장 교사들은 상담실이 설치 운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상담실 운영 실태와 상담 활동이 저조하기 때문에 전문 상담 교사가 상담실을 책임지고 뛰어난 상담 기법으로 학생들의 고민을 해결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상담 교사는 사랑이 넘치고 자상한 성격을 가진 교사가 맡아 학생들이 원해서 찾아와 상담 활동이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바랬고 상담 결과에 학생, 학부모가 만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중등학교의 상담 활동 실태와 상담 활동의 수행 정도 그리고 상담 교사의 역할과 자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교사의 특성에 따라 즉 성별, 학교급별, 경력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상담 활동을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붕환(1989)이 사용한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전라남도에 근무하고 있는 중학교 교사 300명, 고등학교 교사 300명 총 600명의 대상자를 선정한 후 수집한 430부의 자료를 교사의 배경 변인별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학교 상담 활동은 전체적으로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상담실 운영도 개선하여 운영하자는 의결이었다. 상담실 운영의 필요성에 대해 대부분의 교사들이 상담실은 설치 운영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고 있었고, 상담실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상담실 운영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시급하다고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상담실의 필요성과 함께 상담 교사의 필요성도 전체 응답 교사의 91.9%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상담 활동의 저해 요인으로 전문 상담 교사의 부족과 상담 시설의 미비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상담 활동이 저조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중학교 교사들은 이성 문제를 고등학교 교사들은 장래 문제를 중요 영역으로 꼽아 대조를 보이고 있었다. 상담 학생에 대흔 자료 준비는 선입견을 가질 수 있으므로 하지 않은 것이 좋으며 상담 기법으로 절충식 방법을 선호하고 상담 결과에 대해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상담 교사의 자격 조건으로 연수를 받고 자격을 취득한 교사를 원하였고 상담 기법이 뛰어난 교사가 상담을 맡아야 한다는 의견을 보여 학생들과 유대 관계가 좋은 사람보다 우선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상담 교사의 인성적 자질로 사랑이 있어야 하며 자상한 성격을 가진 교사를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교사의 상담 활동으로 현재 상담 활동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교사가 84.2%이며 상담 횟수도 주 1회 정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 활동장소로는 상담실보다는 교무실을 주로 이용하였고 고등학교는 교사가 불러서 보다는 학생이 스스로 원해서 중학교는 교사가 불러서 상담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교사의 82.3%가 상담 활동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부모들이 상담활동에 대해 대체로 이해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현장 교사들은 상담실이 설치 운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면서 상담실 운영 실태와 상담 활동이 저조하기 때문에 전문 상담 교사가 상담실을 책임지고 뛰어난 상담 기법으로 학생들의 고민을 해결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상담 교사는 사랑이 넘치고 자상한 성격을 가진 교사가 맡아 학생들이 원해서 찾아와 상담 활동이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바랬고 상담 결과에 학생, 학부모가 만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method to activate counseling, by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actual realities of middle school counseling, the extent of practice it, and teachers' role and gift, based on teachers' qualities such as gender, the degree of school, and career. To 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method to activate counseling, by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actual realities of middle school counseling, the extent of practice it, and teachers' role and gift, based on teachers' qualities such as gender, the degree of school, and care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analyzed the data from 600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of Chonnam Province(300 middle school teachers, 300 high school teachers, and among them 430 data were selected) by using the modification of questionnaire which Cho Bungwhan(1989) used.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First, according to teachers' opinions,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are on the whole not well-performed, and the management of the counseling room should be improved. Furthermore, most them felt the need for counseling room in school. And they perceived the aid of system in order to exert the counselling's function to the full. Second, 91.9% of teachers who answered in this study agreed the need for counseling teacher. And they pointed out the shortage of special counseling teachers and the insufficiency of counseling facilies as the obstructing elements of counseling activities. Furthermore they perceived that students' counseling activities were low. As the main content of counseling, middle school teachers chose the problem of the other sex relationship, while high school teachers selected future problem. And they felt it's better not to prepare the material for counseling students, for they may have preconception about students. And they like eclectic method as the counseling techniques and they perceived that this method would be helpful on the counseling result. Third, they wanted those teachers who acquired certification for counseling through study and training as the qualification condition. Furthermore, they prefer those counseling teachers who have excellent counselling technique to wh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students. And it made clear that they selected love as the counseling teacher's characteristic disposition and preferred thoughtful teachers. Fourth, 84.2% of teachers who answered this questionnaires said they were now doing counseling activities once a week. Teacher's room was the main counseling place. Furthermore, in many cases in high school, students themselves wanted counseling. And in middle school, teachers did it rather than students wanted. It made clear that 82.3% of teacher had in counseling activies and parents of student understood about counseling activities generally. In conclusion, working teachers thought that school should have counseling room. And they conceived that schools should have special counseling teachers who have excellent counseling technique, because the actual realities of counseling management and counseling activities were low. Furthermore they wanted eagerly the counseling teachers who have full of love and thoughtful character to have responsibility of counseling. Finally, they expected that students and parents of them would be satisfied the results of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method to activate counseling, by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 about the actual realities of middle school counseling, the extent of practice it, and teachers' role and gift, based on teachers' qualities such as gender, the degree of school, and care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analyzed the data from 600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of Chonnam Province(300 middle school teachers, 300 high school teachers, and among them 430 data were selected) by using the modification of questionnaire which Cho Bungwhan(1989) used. The following is the conclusion. First, according to teachers' opinions,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are on the whole not well-performed, and the management of the counseling room should be improved. Furthermore, most them felt the need for counseling room in school. And they perceived the aid of system in order to exert the counselling's function to the full. Second, 91.9% of teachers who answered in this study agreed the need for counseling teacher. And they pointed out the shortage of special counseling teachers and the insufficiency of counseling facilies as the obstructing elements of counseling activities. Furthermore they perceived that students' counseling activities were low. As the main content of counseling, middle school teachers chose the problem of the other sex relationship, while high school teachers selected future problem. And they felt it's better not to prepare the material for counseling students, for they may have preconception about students. And they like eclectic method as the counseling techniques and they perceived that this method would be helpful on the counseling result. Third, they wanted those teachers who acquired certification for counseling through study and training as the qualification condition. Furthermore, they prefer those counseling teachers who have excellent counselling technique to wh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students. And it made clear that they selected love as the counseling teacher's characteristic disposition and preferred thoughtful teachers. Fourth, 84.2% of teachers who answered this questionnaires said they were now doing counseling activities once a week. Teacher's room was the main counseling place. Furthermore, in many cases in high school, students themselves wanted counseling. And in middle school, teachers did it rather than students wanted. It made clear that 82.3% of teacher had in counseling activies and parents of student understood about counseling activities generally. In conclusion, working teachers thought that school should have counseling room. And they conceived that schools should have special counseling teachers who have excellent counseling technique, because the actual realities of counseling management and counseling activities were low. Furthermore they wanted eagerly the counseling teachers who have full of love and thoughtful character to have responsibility of counseling. Finally, they expected that students and parents of them would be satisfied the results of counseling.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