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는 세계화·정보화시대 라는 사실에 모두가 동의할 것이다. 세계화는 ‘영어의 사용’을, 정보화는 ‘인터넷의 사용’을 부추겨왔다. 이 결과 우리의 언어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맞이할 수밖에 없었다. 우리가 살아가는 거의 모든 공간에서 외래어의 사용빈도는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래서 유행에 가장 민감한 거리의 상호에서는 외래어의 사용이 점점 증가하여 우리 고유어의 사용이 급속히 줄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영향은 앞으로 이를 보고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을 부추기게 될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들이 성인...
21세기는 세계화·정보화시대 라는 사실에 모두가 동의할 것이다. 세계화는 ‘영어의 사용’을, 정보화는 ‘인터넷의 사용’을 부추겨왔다. 이 결과 우리의 언어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맞이할 수밖에 없었다. 우리가 살아가는 거의 모든 공간에서 외래어의 사용빈도는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래서 유행에 가장 민감한 거리의 상호에서는 외래어의 사용이 점점 증가하여 우리 고유어의 사용이 급속히 줄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영향은 앞으로 이를 보고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을 부추기게 될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 받게 되는 영향을 생각하면 아름다운 우리의 국어가 사라지고 마침내는 우리의 고유한 문화까지도 사라지게 될까 심히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논자는 상주면 지역의 상호언어를 조사하여 어종별, 고객 연령별, 사용 연수별, 업종별, 상호를 외국어로 지은 이유별, 문자별 분류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이 상호언어가 초등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국어 교육적 관점에서 바람직한 상호언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첫째, 상호의 어종별 분류에 의하면 전체 상호 121개 중 한자어 단독으로 쓰 이거나 한자어와 다른 언어의 복합어로 쓰인 경우가 83개 68.59%를 이루고 있다. 이는 상주면이 여름철을 제외하고는 외지인들이 많이 들어오지 않아 외부 문화의 영향이 적으며 전통적인 한자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고객 연령별로 분류에 의하면 30, 40대 이상을 주 고객으로 하는 상호에서는 한자어 상호가 10, 20대를 주 고객으로 하는 상호에서는 영어나 고유 어 상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셋째, 사용 연수별 분류에 의하면 상호를 정한지 오래 될수록 한자어 상호가 상호를 정한지 최근이 될수록 영어 상호가 많다. 이는 최근의 영어 교육과 널리 보급된 인터넷의 영향으로 영어 상호가 한자어 상호를 대체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업종별 분류에 의하면 전통적인 업종(식당, 여관 등) 일수록 한자어 상호를 최근에 생긴 업종 (슈퍼, 통닭 등) 일수록 영어와 기타언어의 혼종어 상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섯째, 상호를 외국어로 지은 이유별 분류에 의하면 35개의 외국어 상호 중 업종 및 상품의 특성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다가 25개 71.43%를 차지하고 있다. ‘슈퍼’, ‘게임’ 등 업종과 상품을 나타내는 말에 영어가 많기 때문이다. 여섯째, 상호의 문자별 실태를 보면 상주면에서는 115개 95.03%로 한글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상주면에는 외국인들의 거주가 없고 주 고객층이 30, 40대의중년층이므로 이들과 친숙한 한글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일곱째, 상호의 조어별 분류에 의하면 조어 구조는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된 합성어가 119개 98.34%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비해 구나 절 형태의 상호는 2개 1.65%가 존재하고 있다. 한자어가 많은 상주지역 상호의 특성상 다양한 형태의 상호를 만들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상주면 학생들의 상호에 대한 의식을 조사해본 결과 ‘슈퍼마켓’, ‘문구점’, ‘옷가게’의 이름을 선택할 때 고유어를 선택한 학생이 총 60번 답변 중 7번 11.66%로 나왔고 영어를 선택한 학생이 12번 20%로 나왔다. 또 한자어 및 한자어와 기타언어의 혼종어는 26번 43.33%나 나왔다. 이것은 영어 중시 교육 등으로 상주면 학생들이 고유어 보다 영어에 친숙함을 느끼고 있으며 주변 상호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상호 언어 교육을 통해 상호를 비판적으로 보고 새로운 상호를 창작하도록 지도하였다. 첫째, 우리말 상호의 좋은 점과 중요성을 지도하여 설문에서 학생들의 우리말 상호를 선택하는 횟수가 지도 전의 7번 11.66%에서 33번 55%로 증가하였다. 둘째, 상호 언어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보고 평가할 수 있게 지도하여 실제 상호 언어의 문제점을 알고 이를 고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게 하였다. 셋째, 업종 및 특성화 내용 생각하기 → 소비자 및 사회문화 생각하기 → 상호 구조 생각하기 → 상호 짓기 → 평가하기 → 상호 다시 쓰기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상호를 창작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밝고 건강한 말이 사용되는 아름다운 상호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21세기는 세계화·정보화시대 라는 사실에 모두가 동의할 것이다. 세계화는 ‘영어의 사용’을, 정보화는 ‘인터넷의 사용’을 부추겨왔다. 이 결과 우리의 언어환경은 급격한 변화를 맞이할 수밖에 없었다. 우리가 살아가는 거의 모든 공간에서 외래어의 사용빈도는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래서 유행에 가장 민감한 거리의 상호에서는 외래어의 사용이 점점 증가하여 우리 고유어의 사용이 급속히 줄어들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의 영향은 앞으로 이를 보고 자라나는 우리 아이들에게 무분별한 외래어 사용을 부추기게 될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들이 성인이 될 때까지 받게 되는 영향을 생각하면 아름다운 우리의 국어가 사라지고 마침내는 우리의 고유한 문화까지도 사라지게 될까 심히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논자는 상주면 지역의 상호언어를 조사하여 어종별, 고객 연령별, 사용 연수별, 업종별, 상호를 외국어로 지은 이유별, 문자별 분류를 통해 실태를 파악하고 이 상호언어가 초등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후 국어 교육적 관점에서 바람직한 상호언어 교육을 실시하였다. 첫째, 상호의 어종별 분류에 의하면 전체 상호 121개 중 한자어 단독으로 쓰 이거나 한자어와 다른 언어의 복합어로 쓰인 경우가 83개 68.59%를 이루고 있다. 이는 상주면이 여름철을 제외하고는 외지인들이 많이 들어오지 않아 외부 문화의 영향이 적으며 전통적인 한자어가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고객 연령별로 분류에 의하면 30, 40대 이상을 주 고객으로 하는 상호에서는 한자어 상호가 10, 20대를 주 고객으로 하는 상호에서는 영어나 고유 어 상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셋째, 사용 연수별 분류에 의하면 상호를 정한지 오래 될수록 한자어 상호가 상호를 정한지 최근이 될수록 영어 상호가 많다. 이는 최근의 영어 교육과 널리 보급된 인터넷의 영향으로 영어 상호가 한자어 상호를 대체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업종별 분류에 의하면 전통적인 업종(식당, 여관 등) 일수록 한자어 상호를 최근에 생긴 업종 (슈퍼, 통닭 등) 일수록 영어와 기타언어의 혼종어 상호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다섯째, 상호를 외국어로 지은 이유별 분류에 의하면 35개의 외국어 상호 중 업종 및 상품의 특성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다가 25개 71.43%를 차지하고 있다. ‘슈퍼’, ‘게임’ 등 업종과 상품을 나타내는 말에 영어가 많기 때문이다. 여섯째, 상호의 문자별 실태를 보면 상주면에서는 115개 95.03%로 한글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 상주면에는 외국인들의 거주가 없고 주 고객층이 30, 40대의중년층이므로 이들과 친숙한 한글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일곱째, 상호의 조어별 분류에 의하면 조어 구조는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된 합성어가 119개 98.34%를 차지하고 있다. 이에 비해 구나 절 형태의 상호는 2개 1.65%가 존재하고 있다. 한자어가 많은 상주지역 상호의 특성상 다양한 형태의 상호를 만들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상주면 학생들의 상호에 대한 의식을 조사해본 결과 ‘슈퍼마켓’, ‘문구점’, ‘옷가게’의 이름을 선택할 때 고유어를 선택한 학생이 총 60번 답변 중 7번 11.66%로 나왔고 영어를 선택한 학생이 12번 20%로 나왔다. 또 한자어 및 한자어와 기타언어의 혼종어는 26번 43.33%나 나왔다. 이것은 영어 중시 교육 등으로 상주면 학생들이 고유어 보다 영어에 친숙함을 느끼고 있으며 주변 상호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상호 언어 교육을 통해 상호를 비판적으로 보고 새로운 상호를 창작하도록 지도하였다. 첫째, 우리말 상호의 좋은 점과 중요성을 지도하여 설문에서 학생들의 우리말 상호를 선택하는 횟수가 지도 전의 7번 11.66%에서 33번 55%로 증가하였다. 둘째, 상호 언어를 비판적인 관점에서 보고 평가할 수 있게 지도하여 실제 상호 언어의 문제점을 알고 이를 고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게 하였다. 셋째, 업종 및 특성화 내용 생각하기 → 소비자 및 사회문화 생각하기 → 상호 구조 생각하기 → 상호 짓기 → 평가하기 → 상호 다시 쓰기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상호를 창작할 수 있도록 지도하여 밝고 건강한 말이 사용되는 아름다운 상호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There is no doubt that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tization. Globalization urged the use of English and informatization instigated the use of the Internet. As a result, our language environment had to embrace a sudden change. The use frequency of the words of foreign origi...
There is no doubt that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tization. Globalization urged the use of English and informatization instigated the use of the Internet. As a result, our language environment had to embrace a sudden change. The use frequency of the words of foreign origin is on the rapid rise in nearly all the spaces where we lead our lives. The use of the words of foreign origin in shop names, which are the most sensitive to vogue,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fore, the use of our own language is rapidly declining. The impact of such a problem will clearly urge our children, who will grow looking at this trend, the indiscreet use of the words of foreign origin. If we think of the impacts that those children will receive until they become adults, a serious concern that our beautiful Korean will disappear and our unique culture will be abandoned exists. To solve such problems, the author of this paper has identified the shop name situation in the Sangju-myeon area by investigating the shop names in that area by language type, customer age, shop name use period, business type, reason to make shop name in a foreign language and letter. Also, the impacts of such shop names on the elementary school pupils have been analyzed, and then, desirable shop name language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from the Korean educational perspective. Firs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language type in shop names, 83 shop names or 68.59% of a total of 121 shop names use Chinese words or compound words mixed with other languages. This implies that the impact of outside world culture is small, because not many outsiders come to this area, except for summer, and thus Chinese words are greatly used. Secondly, according to customers' age, the shop names whose main customers are at least 30s and 40s mainly use the Chinese words, and the shop names whose main customers are in their teens and 20s, English or Korean is mainly used. Thirdly, according to shop name use period, as shop names are old, Chinese words are used more, while recent shops use more English. This implies that English shop names are replacing the Chinese words shop names, due to the impacts of recent English education and the widely diffused Internet. Fourthly,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business type, traditional businesses, such as restaurants and motels use more Chines words, while recently established businesses (super marts, fried chickens, etc) use mainly English and the mixture of other languages. Fifthly,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reason to make shop names in foreign languages, a consideration of business type and products' features accounts for most at 71.43%, or 25 shop names of 35 shop names. The reason is because English is mainly used for the words indicating business types and products, such as "super" and "game. Sixthly, regarding situation of shop names by letter, Hangul is the mostly used at 95.03% or in 115 shop names in Sangju-myeon. In Sangju-myeon, no foreigners reside, and main customers are the middle aged people in their 30s and 40s. Therefore, Hangul that is familiar to them is the mostly used. Seventhly,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coinage, compound words combined with at least two words account for 98.34% or 119 shop names. Meanwhile, only two shop names use phrases or clauses at 1.65%.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shop names in Sangju area where Chinese words are used greatly, it could have been difficult to create various types of shop names.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Sangju-myeon students' awareness of shop names, when the students select shop names of supermarkets, stationery shops and clothing shops, the number of responses of students who selected native language is 7 or 11.66%, that of those who selected English is 20 or 20%. The Chinese words and the mixture of Chinese words and other languages account for 43.33% or 26. This implies that the students in Sangju-myeon feel friendliness with English than native language, and they are sharply impacted by surrounding shop names, due to education attaching importance to English. Based on the result, a guidance to create new shop names via critical views of shop names using shop name language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First, through guidance of good points and importance of the shop names written by the Korean language, the frequency selecting the shop names written in Korean rose from 11.66% (7) to 55% (35). Secondly, by guidance to view and assess shop names in a critical point of view, the students came to understand the problems in shop name language, and keep remembering to correct those problems. Thirdly, through such processes as thinking of business type and specialization content → thinking of consumers and social culture → thinking of shop name structure → shop name creation → evaluation → rewriting shop name, the beautiful shop names for which bright and sound words could be used were able to be created by guiding to do so.
There is no doubt that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globalization and informtization. Globalization urged the use of English and informatization instigated the use of the Internet. As a result, our language environment had to embrace a sudden change. The use frequency of the words of foreign origin is on the rapid rise in nearly all the spaces where we lead our lives. The use of the words of foreign origin in shop names, which are the most sensitive to vogue, is gradually increasing; therefore, the use of our own language is rapidly declining. The impact of such a problem will clearly urge our children, who will grow looking at this trend, the indiscreet use of the words of foreign origin. If we think of the impacts that those children will receive until they become adults, a serious concern that our beautiful Korean will disappear and our unique culture will be abandoned exists. To solve such problems, the author of this paper has identified the shop name situation in the Sangju-myeon area by investigating the shop names in that area by language type, customer age, shop name use period, business type, reason to make shop name in a foreign language and letter. Also, the impacts of such shop names on the elementary school pupils have been analyzed, and then, desirable shop name language education has been implemented from the Korean educational perspective. First,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language type in shop names, 83 shop names or 68.59% of a total of 121 shop names use Chinese words or compound words mixed with other languages. This implies that the impact of outside world culture is small, because not many outsiders come to this area, except for summer, and thus Chinese words are greatly used. Secondly, according to customers' age, the shop names whose main customers are at least 30s and 40s mainly use the Chinese words, and the shop names whose main customers are in their teens and 20s, English or Korean is mainly used. Thirdly, according to shop name use period, as shop names are old, Chinese words are used more, while recent shops use more English. This implies that English shop names are replacing the Chinese words shop names, due to the impacts of recent English education and the widely diffused Internet. Fourthly,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business type, traditional businesses, such as restaurants and motels use more Chines words, while recently established businesses (super marts, fried chickens, etc) use mainly English and the mixture of other languages. Fifthly,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reason to make shop names in foreign languages, a consideration of business type and products' features accounts for most at 71.43%, or 25 shop names of 35 shop names. The reason is because English is mainly used for the words indicating business types and products, such as "super" and "game. Sixthly, regarding situation of shop names by letter, Hangul is the mostly used at 95.03% or in 115 shop names in Sangju-myeon. In Sangju-myeon, no foreigners reside, and main customers are the middle aged people in their 30s and 40s. Therefore, Hangul that is familiar to them is the mostly used. Seventhly, according to classification by coinage, compound words combined with at least two words account for 98.34% or 119 shop names. Meanwhile, only two shop names use phrases or clauses at 1.65%.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shop names in Sangju area where Chinese words are used greatly, it could have been difficult to create various types of shop names. As a result of a survey on the Sangju-myeon students' awareness of shop names, when the students select shop names of supermarkets, stationery shops and clothing shops, the number of responses of students who selected native language is 7 or 11.66%, that of those who selected English is 20 or 20%. The Chinese words and the mixture of Chinese words and other languages account for 43.33% or 26. This implies that the students in Sangju-myeon feel friendliness with English than native language, and they are sharply impacted by surrounding shop names, due to education attaching importance to English. Based on the result, a guidance to create new shop names via critical views of shop names using shop name language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First, through guidance of good points and importance of the shop names written by the Korean language, the frequency selecting the shop names written in Korean rose from 11.66% (7) to 55% (35). Secondly, by guidance to view and assess shop names in a critical point of view, the students came to understand the problems in shop name language, and keep remembering to correct those problems. Thirdly, through such processes as thinking of business type and specialization content → thinking of consumers and social culture → thinking of shop name structure → shop name creation → evaluation → rewriting shop name, the beautiful shop names for which bright and sound words could be used were able to be created by guiding to do so.
Keyword
#상호언어 상호짓기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